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차전지·바이오·수소 '특화단지 3관왕'…미래 선점한 포항 2025-01-23 16:00:05
세포막단백질연구소, 그린백신실증지원센터 등 포항형 혁신 바이오 연구개발(R&D)인프라와 연계해 인허가 특례 등 지원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백신 허브로 발돋움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포항시의 숙원사업인 ‘포스텍 의대·스마트 병원’이 설립되면 시너지 효과로 명실상부 동해안 의료 혁신 거점도시이자 바이오...
포항 벤처창업, 순천 푸드·뷰티…'그린바이오 허브' 꿈꾼다 2024-12-23 18:23:21
그린백신실증지원센터, 세포막단백질연구소, 포항지식산업센터가 있어 기술 지원이 가능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경남 진주시는 최근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조성 용역’을 통해 육성 전략을 수립했다. 시는 ‘그린바이오 10차산업 육성지구 조성’을 비전으로 융합기술 확보, 강소기업 육성, 글로컬 시장 진출 시스템...
뉴아인 "전기로 뼈전이 암 치료…세계 최초로 전자약 개발 중" 2024-12-18 19:31:49
“전류가 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하고 세포막에 구멍을 뚫어 항암제 약물 침투를 돕는다는 등의 연구 결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뉴아인도 같은 분야 전자약을 개발 중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뼈에 전이된 암 치료에 사용하는 전자약이다. 아직은 초기 개발 단계지만, 세계 최초 연구다. 김 대표는 “뼈는 전기에...
강스템바이오텍, 관계사 합병으로 엑소좀 등 신규 먹거리 확보 2024-11-28 17:21:15
기반 기술도 확보한다. 프리모리스테라퓨틱스는 세포막을 활용해 원하는 약물을 탑재할 수 있는 인공나노소포체 DDS 양산 기술(NAnoCourier)을 구축했다. 해당 기술은 탑재 약물종류에 제한이 없고, 생체친화적이다. 이를 통해 암 형성을 억제하는 분자인 안티센스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ASO) 및 화학 성분 항암물질을...
"단돈 '3000원'인데 가글액보다 좋아"…치과 의사의 '추천템' 2024-11-21 22:55:04
완화에 사용되는 구강 살균 소독제다. 세균의 세포막을 손상시켜 세균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구강 내 세균이 치아에 부착하는 것을 막아 플라그 형성을 억제하는 기능도 있다. 사랑니 발치, 임플란트 등 잇몸 수술을 한 경우에 주로 쓰인다. 장 원장은 "치주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치과치료를 하면서 또 구강용품을 쓰...
AI 활용해 단백질 입체구조 분석하고 설계…신약·백신 개발 활성화 2024-11-13 16:02:20
전문가들은 거대복합체와 세포막에 존재하는 막단백질의 생산 및 결정화가 매우 어려워 입체 구조를 규명하는 데 많은 한계점을 가져왔다. 최근 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입체 구조 해석 방법은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고 실험적으로 확보된 단백질 입자의 구조 데이터, AI를 활용한 데이터 처리, 그리고 알파폴드의 입체...
포항, 국립 의공학연구센터 유치 나섰다 2024-10-16 17:19:23
시설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포막단백질을 초고화질로 실시간 분석할 수 있는 미래 신약 개발용 핵심 연구 장비다. 포스텍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BOIC)에는 차세대 면역항암제와 자폐증 등 난치성 질환 치료제를 연구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 입주해 있다.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에는 독일과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역대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116회 걸쳐 195명 영예 2024-10-09 19:19:43
= 세포막 내 수분과 이온 통로 발견, 인체 세포로 수분과 이온이 왕래하는 현상 규명. ▲ 2002년 : 존 펜(미국), 다나카 고이치(일본), 쿠르트 뷔트리히(스위스). =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 분자의 질량과 3차원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 ▲ 2001년 : 윌리엄 S. 놀즈, K. 배리 샤플리스(이상 미국), 노요리...
"지질나노입자에 실록산 결합하면 mRNA 전달력 6배 높아져" 2024-10-02 14:06:11
원자가 크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결합이 느슨해 세포막을 좀더 잘 통과할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mRNA가 원하는 조직에 도달해 표적 세포에 잘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연구 교신저자인 마이클 미첼 펜실베니아대 교수는 "LNP 화학구조를 조금만 바꾸면 mRNA를 특정 기관에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신약 개발의 핵심…세포를 이용한 약물 전달 기술에 주목해야 2024-09-10 16:01:18
및 세포막에 부착해 세포를 약물 수송체로 이용하는 것으로, 항암제 등을 안정적으로 표적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자체에서 약물이 생성되는 전략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준범 고려대 교수팀은 중간엽줄기세포가 종양 내부로 이동하는 특성을 활용한 항암제를 개발하고 있다. 종양에 도달한 중간엽줄기세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