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삼성바이오에피스, 10조 골다공증·골세포종 시장 첫 진출 2025-02-16 17:10:12
골거대세포종약 ‘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의 시판 허가를 받으면서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연합집행위원회(EC)로부터 프롤리아와 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미국 제약사 암젠이 개발한 프롤리아와 엑스지바는 성분(데노수맙)이 같지만 용량과 투약 주기가...
프롤리아·졸레어 올해 특허 만료…바이오시밀러 경쟁 격화 전망 2025-02-16 06:00:02
특허 만료에도 주목하고 있다. 2028년 특허 만료 예정인 키트루다는 흑색종, 비소세포폐암, 두경부암 등 치료에 사용한다. 2023년에는 매출 250억 달러(약 36조원)를 달성하며 전 세계 매출 1위 의약품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삼성바이오에피스는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후보물질 'SB27'의 글로벌 임상 3상 시험을...
셀트리온, 신규 완제의약품 공장 착공허가…2027년 생산 개시 2025-02-14 17:03:43
세포배양, 정제 등의 과정을 거쳐 생산하는 원료의약품(DS)과 이를 환자에게 투여할 수 있도록 제형화한 DP로 구분된다. 이번 DP 공장은 연간 약 800만개의 액상 바이알을 제조할 수 있는 규모로 기존 제1공장 인근 부지에 지어진다. 셀트리온은 지난 2023년 9월 증설을 결정하고 지난해 설계와 시공사 선정을 거쳐 이번달...
리가켐바이오, 다안바이오와 항암 타깃 신규 항체 도입 계약 2025-02-13 14:06:59
지속적인 신규 ADC 후보물질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며, 이미 다수의 임상 프로그램들을 통해 입증된 우수한 ADC 플랫폼을 바탕으로 시장 내 차별화된 ADC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조병철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대표는 “이번 계약은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의 항체 기반 치료제 개발에 새로...
이엔셀, 듀센 근이영양증 치료제 후보물질 안전성 이상 無 2025-02-13 10:35:11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이번 EN001 임상 1상 결과에 대해 “줄기세포 치료제로 듀센 근이영양증 임상 시험을 진행한 국내 첫 사례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EN001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할 수 있게 돼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며 “앞으로 추가 임상을 통해 임상적 유효...
이엔셀, 듀센 근이영양증 환자 대상 EN001 임상 1상 결과 발표 2025-02-13 09:33:31
임상적 유효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이지훈 교수는 이번 EN001 임상 1상 결과에 대해 “줄기세포 치료제로 듀센 근이영양증 임상 시험을 진행한 국내 첫 사례로,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EN001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확인할 수 있게 돼 고무적”이라며 “앞으로 추가 임상을 통해 임상적 유효성을 확보하게 된다면 EN001은...
지놈앤컴퍼니, 英 제약사에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기술이전 2025-02-12 10:15:45
1상을 개시할 예정이며, 미국과 유럽으로도 IND 및 임상시험신청(CTA) 승인을 받아 임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엘립시스 파마의 글로벌 신약 개발 총괄 및 최고 의료 책임자인 토비아스 아르케나우(Tobias Arkenau) 교수는 “CNTN-4를 표적하는 항체 EP0089(GENA-104)를 도입하게 되어 기쁘다”라며 “CNTN-4를 표적하는 것은...
씨위드 금준호 대표 "소고기 2㎏으로 100t 친환경 배양육 만든다" [긱스] 2025-02-11 17:31:30
우수하고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세포 배양을 두껍게 할 수 있어 3㎝ 두께의 스테이크도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선 배양육 판매가 불가능했다. 관련법과 식품 인허가 체계가 없었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제도화가 시작된 건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배양육 원료를 기준·규격 인정 대상에 추가하면서부터다. 금...
"소고기 2㎏을 100톤으로 만드는 마법"…미래고기 기업의 비밀 2025-02-11 14:43:57
우수하고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세포 배양을 두껍게 할 수 있어 3㎝ 두께의 스테이크도 만들 수 있다. 지금까지 국내에선 배양육 판매가 불가능했다. 관련법이나 식품 인허가 체계가 없었기 때문이다. 본격적으로 제도화가 시작된 건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배양육 원료를 기준·규격 인정 대상에 추가하면부터서다....
강스템바이오텍 "아토피치료제 日허가 첫번째 문턱 넘었다" 2025-02-11 10:16:41
강스템바이오텍의 아토피 치료용 줄기세포치료제가 일본에서 허가를 받기 위한 첫 번째 문턱을 넘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자사 동종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치료제가 일본 후생노동성의 인증을 받은 특정인정재생의료등위원회로(이하 위원회)부터 1종 재생의료 제공계획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1종 재생의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