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통상임금 장래효 선언에도… 노조들 소급청구 소송 나서는 이유 2025-02-11 16:48:11
판시함으로써 변경된 판례 법리의 소급효를 제한하였다(원칙적 장래효). 다만 이 사건 및 이 판결 선고 시점에 이 판결이 변경하는 법리가 재판의 전제가 되어 통상임금 해당 여부가 다투어져 법원에 계속 중인 사건들(병행사건)에 한해서는 구체적 사건의 권리구제를 목적으로 하는 사법의 본질상 새로운 법리를 소급...
통상임금 다음은 '경영성과급' 평균임금…더 큰 폭탄 터진다 2025-02-04 16:54:54
소급효가 제한되는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정기상여금 외에 다른 수당에 대해서도 통상임금성이 인정될 것인지, 기존에 제기된 통상임금 소송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지, 임금체계 개편은 어떤 방향으로 할 것인지 등 판결의 파장에 대하여 예의주시하고 있다. 일부 노동조합은 과거 소급분까지 연장·야간근로 수당을...
벤츠 '배출가스 조작'…고법 "642억 과징금은 적법" 2025-01-15 17:33:12
과징금 산정 과정에도 소급효금지원칙 위반 등 위법도 없다”고 설명했다. 서울고법 관계자는 “이번 항소심 판결은 환경당국의 배출가스 인증 절차, 부정 인증 및 인증 불일치 판매 관련 인증 취소, 과징금 산정 및 부과 등 환경행정에 실무상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며 “유사 행정사건, 형사사건의 판단에도 참고가 될...
'배출가스 조작' 벤츠코리아, 600억대 과징금 소송 2심 패소 2025-01-15 15:47:35
없고, 과징금 산정과정에도 소급효금지원칙 위반 등 위법도 없다"고 판시했다. 서울고법 관계자는 "이번 항소심 판결은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과 관련해 환경 당국의 배출가스 인증 절차, 부정 인증 및 인증 불일치 판매 관련 인증취소, 과징금 산정 및 부과 등 배출가스 규제와 관련된 환경행정에 실무상 지침을 제공할 수...
통상임금 전합 판결, 기업이 당장 해야할 일들 2025-01-14 17:07:07
청구취지를 확장한 부분에도 소급효가 미치는 것인지 여부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원칙적으로 명시적 일부청구의 경우 청구취지를 확장하는 경우 소를 추가로 제기한 것으로 보고 있다(대법 2008마260 결정). 그렇다면 소를 추가로 제기한 청구취지 확장 부분에도 소급효가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
1953년 제정 근로기준법에 통상임금 정의가 없는 이유 2025-01-14 17:06:50
비록 소급효를 일부 제한하긴 했으나 종전 전원합의체 판결에 따라 형성된 법률관계가 전면 부정되자 망연자실한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하루만 근무해도 주고 364일 넘게 근무해도 주지 않는 돈이 어떻게 통상임금이 될 수 있는지 여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경제적 효과는 2013년 판결이 훨씬 커서...
[단독] 현대차 노조도 통상임금 투쟁…"대법 판결 무력화" 2025-01-14 15:13:31
변호사는 "대법원의 소급효 제한을 사실상 무력화한 것"이라며 "노조가 추가 소송 카드를 꺼낼 경우 대법원의 소급효 제한의 법적 효력이 다른 통상임금 소송에서 다퉈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노조 관계자는 "소송을 제기한 현대차 근로자들이 대법원서 이겼지만, 해당 소송에 참여하지 않은 근로자들이나 노조...
통상임금 '고정성' 기준 폐지…"기업은 임금구조 다시 짜야" [율촌의 노동법 라운지] 2025-01-02 07:00:03
통상임금 산정부터 적용된다고 밝히면서 소급효를 제한했다. 하지만, 대법원이 종전부터 일관되게 밝혀온 통상임금의 법리에 따라 노사 간 협상과 합의를 통해 임금수준의 총액을 결정해온 다수의 사업장에서는 향후 예상치 못한 막대한 비용부담에 직면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사 간의 협의 과정에서 많은 갈등...
통상임금 대법 판결에 대한 세 가지 오해 2024-12-31 15:59:23
과거에도 판례 변경의 소급효를 제한하는 판결을 여러 차례 선고하였고, 그러한 대법원 입장의 규범력은 하급심 판결들로부터 일관되게 지지를 받았다. 따라서 대법원이 판례변경의 소급효를 제한하고 장래효를 선언한 것은 규범력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이 판례를 변경하면서 장래효를 선언한 것은 기업이 당할 수...
대법, 평등원칙 따라 '선택적 장래효' 내놨다지만… 2024-12-31 15:59:14
및 당시 법원에 계속 중인 병행사건에는 소급효가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다(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판결,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3다302838 판결). 대법원 보도자료에 따르면 장래효를 채택한 판결 중 병행사건에까지 소급효가 미치도록 ‘선택적’ 장래효를 채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