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어두워진 정부 경기 진단…"내수 회복 지연·하방압력 증가" (종합) 2025-02-14 11:44:09
무역수지 적자(-19억 달러)의 영향으로 둔화가 예상된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작년보다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구입 빈도가 높은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2.5%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 물가도 여행비 등이 상승하면서 3.2% 올랐다. 정부는 "1분...
어두워진 정부 경기 진단…"내수 회복 지연·고용 애로 지속" 2025-02-14 10:00:03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됐다는 진단이다. 1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는 85.9로 전월보다 1.4p 하락했다.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의 영향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10.3% 감소했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가격 상승 폭 확대 등으로 작년보다 2.2% 상승했다.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9% 올랐다. 정부는 "1분기 민생·경제...
4월로 미룬 관세, 일곱 번째 6100 돌파…GS "마지막 강세 콜"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2025-02-14 07:58:11
국채 금리가 급락세를 보였고, 주식은 치솟았습니다. S&P500 지수는 다시 6100을 돌파했습니다. 그렇지만 월가에선 2월 후반 월 증시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개장 전 발표된 1월 PPI는 예상보다 나빴습니다. 어제 1월 소비자물가(CPI)처럼 높게 나왔죠. ▶PPI(전월 대비) : 0.4% (예상 0.3%, 12월 0.5%)...
美 CPI에 놀란 금리…금값 3천달러 가시권 [마켓인사이트] 2025-02-13 17:33:01
마켓인사이트에서는 박상현 iM증권 전문위원과 매크로 환경 점검하고, 오재영 KB증권 수석연구원과 원자재 투자전략 세워봤습니다. *주요 이벤트 (한국시간) -美 1월 생산자물가지수 (13일 밤) -삼성증권·LIG넥스원 실적 (14일) -美 1월 소매판매·산업생산 (14일 밤) <한국경제TV 마켓인사이트>는 증시가 열리는 매일...
트럼프 "금리 더 내려라" 압박 VS 파월 "금리 인하 없을 것" [HK영상] 2025-02-13 10:50:26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 상승해 4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2024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소비자 기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주거, 식품, 가스 가격이 많이 올라 상승세가 가속된 것으로 밝혀졌다. 전월 대비 CPI 상승률은 0.5%로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면서 더욱...
美 CPI 호조에 인플레 둔화…금리 인하 기대 하락 2025-02-13 08:42:41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좋게 나오며 금리 인하 기대감이 낮아짐. 3월 기준금리 동결 기대감이 97%까지 상승했고, 연내 1회의 기준금리 인하만 가능할 것으로 예측됨. - 에이피알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인 매출액 7200억 원, 영업이익 1200억 원을 달성했으며, 해외 매출이 4000억 원을 돌파함. 올해 매출액 목표치는 1조...
CPI 쇼크에 미증시 혼조... 카카오 실적발표 - 와우넷 오늘장전략 2025-02-13 08:31:19
지수는 전장보다 16.53포인트(-0.27%) 내린 6,051.97에 거래를 마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09포인트(0.03%) 오른 19,649.95에 보합권으로 마감 - 롱보우 애셋매니지먼트의 제이크 달러히드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은 연준이 추가 (금리) 인하를 전혀 하지 않을 가능성을 되새겨보고 있으며 이는 오늘...
[뉴욕유가] 러-우크라戰 종식 가능성에 나흘만에 급락…WTI 2.7%↓ 2025-02-13 05:23:02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달 대비 0.5% 상승해 시장의 전망치(0.3%)를 상회한 것도 국제유가를 끌어내린 이유로 분석된다. 높은 CPI는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금리 인하를 어렵게 해 경제활동을 둔화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원유 수요도 줄어들 수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의회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마켓칼럼] 적에는 관세, 동맹에는 안보 비용 청구 2025-02-11 12:37:27
만만한 환경은 아닐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양호한 미국 경기와 트럼프 경계감으로 연준의 추가 금리 인하에 제동이 가해지는 가운데 고용에 이어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도 대기해 있다. 물론 인플레를 다시 걱정할 숫자는 아니지만 더딘 행보가 예상된다. 따라서 엔화 강세가 환율 하락에 기여하나 미중 갈등과 연준...
트럼프 관세, 미 증시에 단기적 호재? [레버리지셰어즈 인사이트] 2025-02-10 15:02:59
미국 소비자들이 가격 부담을 지게 된다. 즉, 관세는 단순한 보호무역 정책이 아니라, 환율과 소비자 부담이라는 복잡한 경제적 효과를 동반한다. 출처: 카토 연구소, "Defending Globalization" 그러나 국가 A의 중앙은행이 자국 통화를 방어하기 위해 미국 달러 자산을 매각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미국 달러의 강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