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본격 시작된 '분석의 시간'…남은 쟁점은 2025-01-29 06:00:01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등 블랙박스를 확보했다. 이후 이달 초까지 인양 작업을 거쳐 엔진과 랜딩기어, 조종 계통 스위치 등 주요 부품을 수거해 정밀 분석에 착수했다. 또 운항·정비 및 관제 자료를 확보하고, 공항 폐쇄회로(CC)TV와 현장 목격자의 촬영물, 인터뷰 등을 통해 사고 직전의 상황을...
"최고의 동체 착륙…참사 원인은 둔덕" 파일럿 출신 유튜버 주장 2025-01-03 09:49:27
것 아니냐'는 의문에 대해 "사고 비행기 사진을 자세히 보면, 양쪽에서 화염이 터지고 있는 걸로 봤을 때 양쪽 엔진이 다 나갔다고 보시면 된다. 이렇게 되면 비행기의 랜딩 기어가 내려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재테크읽어주는 파일럿'은 "매뉴얼 기어 익스텐션은 자유낙하 시키는 것인데 수동으로 내릴 수...
국토부 "설계 때부터 콘크리트 둔덕…음성기록장치 자료 추출중"(종합2보) 2024-12-31 21:19:44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로 말하는 것"이라고 선을 긋고서 "조종석에서 어떻게 레버 작동이 안 했는지 등에 대한 상황은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히는 블랙박스 분석 통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당일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통신 끊기고 랜딩기어 고장은 셧다운 탓?…충돌 전 의문점 2024-12-31 17:35:57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었을 것"이라며 "랜딩기어를 수동으로 내릴 수 있는 비상장치도 작동에 최소 1분 30초 정도가 필요해 급히 동체로 착륙할 수밖에 없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사고기가 '메이데이'를 선언한 후 착륙을 멈추고 고도를 높이는 복행 후 급히 선회해 랜딩기어를 내리지 못한 채 활주로 반대...
국토부 "최초부터 콘크리트 둔덕…개량 때 30㎝ 보강" [종합] 2024-12-31 17:06:52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로 말하는 것"이라고 선을 긋고서 "조종석에서 어떻게 레버 작동이 안 했는지 등에 대한 상황은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히는 블랙박스 분석 통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당일 진행한...
국토부 "최초부터 콘크리트 둔덕…양쪽 엔진 고장나면 랜딩기어 문제"(종합) 2024-12-31 16:47:39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엔진이 고장 나고, 랜딩기어가 안 나왔다는 전제로 말하는 것"이라고 선을 긋고서 "조종석에서 어떻게 레버 작동이 안 했는지 등에 대한 상황은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히는 블랙박스 분석 통해 결론을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당일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해외 전문가들 "특이 공항설계 많이 봤지만 최악"(종합2보) 2024-12-31 16:23:16
박사는 아울러 비행기 날개에 있는 플랩과 슬랫 등 비행통제장치 역시 이중의 유압식 구조로 돼 있기에 작동이 돼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두 개의 독립된 유압시스템을 조류 충돌이 동시에 마비시킨다는 것은 매우 희박한 일"이라면서 "이 사고에는 이보다 더 많은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버트 섬왈트 미국...
국토부 "최초부터 콘크리트 둔덕…양쪽 엔진 고장나면 랜딩기어도 문제" 2024-12-31 16:07:01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사고 당일 브리핑에서는 "엔진 고장과 랜딩기어 고장은 일반적으로 상호 연동되는 경우가 없다"고 설명한 바 있다. 국토부는 외형이 일부 손상된 채 수거된 비행자료기록장치(FDR)는 "추가적 기술 점검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조종실음성기록장치(CVR)와...
해외 전문가들 "무안공항 설계는 최악" 2024-12-31 11:28:44
박사는 아울러 비행기 날개에 있는 플랩과 슬랫 등 비행통제장치 역시 이중의 유압식 구조로 돼 있기에 작동이 돼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두개의 독립된 유압시스템을 조류 충돌이 동시에 마비시킨다는 것은 매우 희박한 일"이라면서 "이 사고에는 이보다 더 많은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버트 섬왈트 미국...
[제주항공 참사] 해외 전문가들 "특이 공항설계 많이 봤지만 최악"(종합) 2024-12-31 11:15:06
브라운 박사는 아울러 비행기 날개에 있는 플랩과 슬랫 등 비행통제장치 역시 이중의 유압식 구조로 돼 있기에 작동이 돼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두개의 독립된 유압시스템을 조류 충돌이 동시에 마비시킨다는 것은 매우 희박한 일"이라면서 "이 사고에는 이보다 더 많은 원인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버트 섬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