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역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115회 걸쳐 229명 영광 2024-10-07 18:48:41
: 하랄트 하우젠(독일),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뤽 몽타니에(이상 프랑스) =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 규명(하우젠).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바레-시누시.몽타니에) ▲ 2007년 : 마리오 카페키, 올리버 스미시스(이상 미국), 마틴 에번스(영국) = 포유동물의 배아줄기세포와 DNA 재조합 연구 ▲ 2006년 : 앤드루 파이어,...
역대 227명째 노벨생리의학상…올해는 '팬데믹 해결사' 듀오 2023-10-02 19:33:20
: 하랄트 하우젠(독일),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뤽 몽타니에(이상 프랑스) =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 규명(하우젠).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바레-시누시.몽타니에) ▲ 2007년 : 마리오 카페키, 올리버 스미시스(이상 미국), 마틴 에번스(영국) = 포유동물의 배아줄기세포와 DNA 재조합 연구 ▲ 2006년 : 앤드루 파이어,...
노벨 생리의학상 역대 수상자는…113회 걸쳐 225명 영광 2022-10-03 18:59:50
: 하랄트 하우젠(독일),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뤽 몽타니에(이상 프랑스) =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 규명(하우젠).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바레-시누시.몽타니에) ▲ 2007년 : 마리오 카페키, 올리버 스미시스(이상 미국), 마틴 에번스(영국) = 포유동물의 배아줄기세포와 DNA 재조합 연구 ▲ 2006년 : 앤드루 파이어,...
노벨 생리의학상 역대 수상자는 2021-10-04 19:15:33
▲ 2008년: 하랄트 하우젠(독일), 프랑수아즈 바레-시누시, 뤽 몽타니에(이상 프랑스) = 자궁경부암 유발 바이러스 규명(하우젠). 에이즈 바이러스 발견(바레-시누시.몽타니에) ▲ 2007년: 마리오 카페키, 올리버 스미시스(이상 미국), 마틴 에번스(영국) = 포유동물의 배아줄기세포와 DNA 재조합 연구 ▲ 2006년: 앤드루...
[K-바이오 프런티어] 타깃-성분 멀티 전략으로 천연물 신약 도전장 낸 엠테라파마 2020-11-16 09:12:01
이는 뇌신경에 독성을 일으키는 α-시누클린 응집체를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뇌질환이 악화되는 것을 막는다. 둘째는 미토콘드리아 기능 회복이다. 세포의 에너지 공장으로 불리는 미토콘드리아 생성을 촉진하는 작용제 역할을 해 세포 내 미토 콘드리아 수를 늘려준다. 셋째는 세포자살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IP3R,...
이중항체 기술로 파킨슨 치료제 본격 개발 2019-01-21 17:43:38
시누클린 단백질을 차단하는 항체를 가진 이중항체다. 뇌에는 병원균으로부터 뇌를 보호하기 위해 혈액이 직접 통과할 수 없도록 막아주는 혈뇌장벽이 있다. 이를 뚫고 약물을 전달하는 게 뇌질환 치료제의 성패를 좌우한다. 이 대표는 “최근 열린 jp모간 헬스케어콘퍼런스에서 abl301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며...
파킨슨병 `완전치료`길 열리나…"뇌 속 구리 관여" 2018-03-11 21:42:56
시누클린 단백질이 응집된 뒤 신경세포에 유입되면서 독성을 일으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알파-시누클린 응집이 잘 발생하는 뇌의 흑질 부분에 구리 이온이 다른 부분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자구조 연구와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등을 다각적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뇌 속 구리 이온 관여' 파킨슨병 발병 연결고리 규명 2018-03-11 12:00:08
시누클린 단백질이 응집된 뒤 신경세포에 유입되면서 독성을 일으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알파-시누클린 응집이 잘 발생하는 뇌의 흑질 부분에 구리 이온이 다른 부분보다 많이 존재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분자구조 연구와 세포독성에 대한 연구 등을 다각적으로 진행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연구팀, 파킨슨병 악화 막는 방법 찾았다 2016-01-21 09:33:32
`알파시누클린`을 얼마나 잘 다루느냐에 악화 여부가 달렸다.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이 뇌 세포 사이를 넘나들며 퍼지면 신경세포가 퇴행하고 사멸하기 때문이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필휴 교수팀은 파킨슨병 동물모델에 사람의 `중간엽 줄기세포`를 투여한 결과 알파시누클린 단백질의 세포 사이 전달은 물론 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