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큐어버스, 뇌질환 신약개발 속도…지씨씨엘·그래디언트와 협력 2025-01-24 10:17:28
저분자 화합물 기반 신약이다. 신경염증을 조절하는 keap1/Nrf2 신호전달 경로를 활용한다. 기존 주사제형 치료제와 달리 경구 복용 제형으로 개발돼 환자 편의성을 향상했다. 최근 글로벌 제약사 안젤리니파마와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그래디언트의 자회사인 그래디언트 바이오컨버전스와 뇌질환 및 희귀...
서울대병원-POSTECH, 3D 뇌혈관 장벽 모델 개발 2025-01-22 10:39:07
염증 반응이 악화되는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뇌혈관 장벽이 신경염증과 질병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증명했다. 또한, 기존의 2D 모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밀착연결 단백질(VE-cadherin)의 배열과 조직화 과정을 3D 모델을 통해 명확히 재현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 모델을 통해 VE-cadherin이 뇌혈관...
눈 통해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한국 연구팀이 해냈다 2024-11-22 16:03:07
뇌 속 특정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여 신경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점차 기억력 감퇴 등 인지 장애를 유발하는 질환이다. 한번 손상된 뇌는 되돌릴 수 없다. 조기 진단과 모니터링으로 질환 진행을 늦추는 게 최선의 치료법이다. 알츠하이머병을 진단할 땐 뇌척수액 생검 등 침습적 검사나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큐어버스, 이탈리아 제약사에 치매신약 기술 이전…최대 5천억원 2024-10-21 13:12:20
기전인 'Keap1/Nrf2' 신호 경로를 통해 신경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 신호 경로는 세포에서 염증을 막는 물질을 만들도록 돕는데, 나이가 들면 잘 동작하지 않아 치매나 파킨슨병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해 약물 10여종이 임상을 진행 중이지만 부작용이 큰 상황다. 이와 달리 CV-01은 약...
디앤디파마텍 "파킨슨 치료제, FDA 임상 2상 시험계획 승인" 2024-09-03 09:44:57
퇴행성 뇌 질환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지는 신경염증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전이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GLP-1은 혈당 조절에 중요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해 식욕 억제를 돕는 호르몬으로 심장병·퇴행성 뇌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번 임상 2상에서는 NLY01의 유효성 등을 평가할...
샤페론, 치매 분야 최고 권위 국제학회 AAIC에 참가 2024-07-26 09:46:09
베타 플라크’ 축적을 억제해 신경염증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 결과들을 발표할 예정이다. 샤페론은 전임상에서 혈액내 단백체 분석을 통해 누세린의 약물 효능을 예측 평가할 수 있는 동반 진단용 바이오마커 발굴에도 성공했다. 현재 해당 바이오마커를 통한 치매 동반 진단을 기반으로 누세린의 효능평가를 치매...
부광약품 2분기 25억 영업손실…자회사 연구비에 적자 지속 2024-07-25 15:30:34
중추신경계(CNS) 제품, 간질환 치료제 '레가론',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 치료제 '덱시드' 등 전략 품목에 대한 처방 성장률은 2.2%로 나타났으나, 지난해 4분기(7.0%), 지난 1분기(4.9%)에 이어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광약품은 '덱시드', '치옥타시드' 등 주력...
이슬기 디앤디파마텍 대표, BIX2024서 'GLP-1 계열 비만약' 주제 발표 2024-07-04 15:23:39
성장하고 있다. 최근 GLP-1 약물이 미세아교세포를 타겟하여 신경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작용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파킨슨병 및 알츠하이머병에서도 활발한 임상 개발이 진행 중이다. 두 번째 발표는 '실질적 MASH 치료를 위한 혁신 개발 전략'을 주제로 GLP-1을 기반으로 GCG(글루카곤), GIP(위 억제 펩타이드)...
노화한 뇌세포 젊게…국내 연구진, 치매 치료 가능성 제시 2024-04-12 10:35:19
기능이 떨어지면서 신경염증 및 뇌인지 기능 장애가 유도되고 치매의 진행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미세아교세포에 나노입자가 높은 효율로 섭취된다는 점에 착안해 미세아교세포의 활성 정도를 조절하는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알츠하이머를 겪는 동물 모델에 적용한 결과, 나노입자가 전달한...
부광약품, 항바이러스제·해열제 부진에 실적 대폭 악화 2024-02-08 16:54:44
다만 간질환 치료제 '레가론',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 치료제 '덱시드' 등 처방 의약품의 매출은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올해 향정신약물 신약 '라투다' 발매를 위해 메디컬 부서 조직을 신설했다"며 "이 제품의 매출을 늘려 더 좋은 실적이 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