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산 열대과일 재배지 북상…대형마트도 속속 선보여 2024-11-03 06:15:01
27도의 아열대성 기후에서 자라 국내 기후와 맞지 않았지만, 최근 전북 고창에서 동일한 품질로 물량 안정성이 높아져 판매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마트는 제주산 망고도 과일 선물 세트 등에 포함해 판매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8월 제주산 패션프루트(백향과)를 선보여 준비한 물량 3천500팩을 모두 소진했다. 홈플러스...
"가을전어 귀한 몸"…대형마트서 안 팔거나 물량 반토막 2024-10-20 06:15:03
덕분에 잘 자랐다. 흰다리새우는 아열대 지역에서 양식이 잘된다. 지난해 새우는 긴 장마와 일교차 등 기상이변과 함께 새우 양식장에 전염병이 돌아 폐사가 늘어 물량이 많이 감소했다. 올해 새우 양식의 경우 성장은 더디지만, 질병에 강한 새우 치어로 변경해 물량이 늘어났다. 이에 따라 작년과 비교해 물량이 내달...
"배추만 비싼게 아냐"…금값된 오징어 2024-10-13 10:00:40
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제주 연안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아열대성 어종의 종수, 개체수, 밀도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제주도 내 수산물 시장에서 아열대 어종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수산과학원은 전했다. 지난해는 국립수산과학원이 표층 수온을...
"오징어 왜 이렇게 비싸요?"…씨마른 국민생선들 '초비상' 2024-10-13 09:50:13
난류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수산과학원은 제주 연안에서 수온 상승에 따라 아열대성 어종의 종수, 개체수, 밀도 모두 뚜렷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미 제주도 내 수산물 시장에서 아열대 어종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고 전했다. 수산과학원은 2100년까지 우리 바다 수온이...
오징어 사라져가는 동해…56년간 수온 1.9도 올랐다 2024-10-13 06:35:00
난류성 어종인 방어, 전갱이, 삼치는 지난 40년간 어획량이 꾸준히 증가했다. 김 연구관은 "과거에 방어는 제주도 연안에서 많이 잡히다 수온 상승으로 어장이 북상하고 있어 지금은 동해 남부 쪽에서도 많이 잡힌다"고 말했다. 이어 "근래 서해에서 꽃게 어획량도 많아졌다"며 "이는 수온이 상승해 꽃게가 살기에 알맞은...
고수온 양식피해 '역대 최대'…"내성 품종개발 추진" 2024-09-22 06:33:01
내성 품종 발굴은 양식 생물을 고수온에 노출시켜 살아남은 개체를 선발한 뒤, 이를 어미로 키워 후대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수과원은 또 고수온에 강한 아열대 어종과 국내 서식종을 교배해 고수온 대응 신품종 개발도 진행 중이다. 수과원 관계자는 "아열대 바리과 어류인 대왕바리 수컷과 자바리(다금바리)...
온몸 뒤덮은 잠자리떼에 '경악'..."앞이 안보여" 2024-09-11 16:42:07
볼 수 있다. 아열대성으로 가을철에는 남쪽 지방으로 가는데 이동 와중에 집어등 불빛에 이끌려 선박 주위로 몰려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선장은 "잠자리 떼가 제주 섬 방향에서 온게 아니라 먼바다 쪽에서 계속 날아들었다"며 "바다를 날아다니다가 배 불빛을 보고 몰려든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 어선 덮친 잠자리 떼…"수만마리 몰려들어" 2024-09-11 08:00:01
고충을 덧붙였다. 이 잠자리들은 아열대성 된장잠자리로 파악됐다. 봄철 우리나라에 들어와 머물던 잠자리 떼가 여름이 지나자 남쪽으로 이동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전과 다른 잠자리 떼 규모에 전문가들도 놀라움을 전하고 있다. 김동순 제주대 교수는 "이렇게 대량으로 이동하는 것이 과거에 있었다고 하면 아마...
'네가 왜 여기에'...동해까지 온 아열대 생물 2024-08-28 16:14:56
먼 바다에 서식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한반도 인근 해역에서도 종종 보인다. 8월 초 포항 인근 바다에 청새치와 만타가오리(쥐가오리)가 돌아다니는 모습이 확인되기도 했다. 청새치나 만타가오리 모두 주로 아열대 해역에서 사는 해양생물이다. 한 어업 관계자는 "기후변화와 함께 최근 고수온 현상으로 동해에서도...
인간 유전자의 70% 가진 '제브라피쉬'…암·대사질환·희귀질환 연구에 큰 도움 2024-08-13 16:13:29
제브라 다니오는 잉어과에 속하는 아열대성 물고기이다. 이 물고기엔 인간 유전자의 70% 이상이 보존돼 있고 인간과 유사한 뇌와 장 등의 주요 조직을 잘 갖추고 있으며, 대사 활동, 신경 및 면역 시스템 등의 주요 생리 작용 등도 잘 보존돼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제브라피쉬는 1970년대 조지 스트레이싱어와 동료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