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썩은 소시지의 맹독, 젊음의 묘약이 되다 2025-01-16 18:24:06
명의 사람이 갑자기 안면마비가 오고 숨이 가빠지더니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다. 원인은 소시지에서 검출된 ‘바실루스 보툴리누스’. 신경계 말단을 건드려 신체를 마비시키는 무시무시한 균이다. 세계 1, 2차 대전 당시 생화학 무기로 활용하려 했던 이 균이 치료용, 더 나아가 미용시술용으로 진화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어떻게 이런 일이"…20대 여성 귓속에서 발견된 것이 '경악' 2025-01-15 21:05:57
"심하면 귀 출혈, 현기증, 중이염은 물론이고 안면신경 약화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위험하다"고 했다. 한편, 귀에 벌레가 들어간 게 의심될 때는 귀가 바닥 쪽을 향하게 눕는 것이 좋은 대처법이다. 그런 다음 반대쪽 귀를 손바닥으로 탁탁 친다. 진동에 민감한 벌레가 위협을 피하려고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 "하부 뇌종양 감마나이프 수술, 효과 높고 안전" 2024-11-04 16:04:17
중 경정맥공 신경초종 환자는 47명, 설하신경 신경초종 환자는 13명이었다. 세부 질환별로 보면 종양 억제 효과가 나타난 비율은 각각 91.5%(47명 중 43명), 92.3%(13명 중 12명)였다. 전체 환자 60명의 감마나이프 수술 후 무질병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96.5%, 91.5%, 89.0%였다. 중증 삼킴곤란, 운동능력 실조,...
"얼굴 녹아내려 끔찍"…미용 시술 받은 30대女 '비명' 2024-10-25 19:55:06
보톡스는 '보툴리눔 독소'라는 신경독소를 주입해 근육의 활동을 일시적으로 저하하는 시술이다. 독소가 신경세포로 들어가면 일시적으로 근육이 이완되면서 크기가 줄어든다. 이를 통해 눈가나 미간 주름을 펴고, 턱이나 종아리에 튀어나온 근육을 다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부작용도 존재한다. 눈꺼풀 처짐, ...
"입이 다물어지지 않았다"…오종혁 구안와사 투병기 [건강!톡] 2024-10-22 10:32:13
증상을 말한다. 이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로 뇌졸중·뇌종양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추성 안면신경마비(중풍)와는 구분하여 치료한다. 얼굴 신경 마비는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구분하는데 뇌 속에서 얼굴 근육으로 연결되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에 이상이 생긴 것을 중추성 얼굴 신경 마비라고 한다. 중추성은 뇌졸중이...
최민환 "7살 아들 코골이 심해져"…병원 갔다가 '화들짝' [건강!톡] 2024-10-12 10:32:51
기간 쉬게 되면서 얼굴 길이가 길어지는 등의 안면골 변형도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 성장 호르몬 분비가 감소할 수 있고, 과잉행동·주의력장애(ADHD) 발병에 대한 위험도 커진다. 숙면을 취하지 못해 피곤이 누적되고 신경이 예민해지기 때문이다. 커져 있는 아데노이드를 줄이는 방법은 절제술뿐이다. 아데노이드 비대증...
"안면마비까지 왔어요"…최희도 고백한 '극한 고통' 뭐길래 [건강!톡] 2024-10-09 08:14:48
신경에서 발현되느냐에 따라 증상이 드러나는 피부 분절이 다르다는 점이다. 바이러스가 안면 신경에 근처에 숨어있었다면 얼굴에 물집이 생겼다가 안면 마비로 이어지고, 흉부 부근의 신경에서 발현되면 몸통에 고름이 번지는 식이다. 항바이러스 치료제와 진통제 투여 등의 방법으로 치료한다.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한방치료 경험-‘한의사 독립운동사’ 아는 국민, 한방 실손보험 급여대상 확대에도 ‘긍정’ 반응 2024-08-29 16:19:29
기능성 소화불량, 월경통, 안면신경마비, 뇌혈관질환후유증, 비염 등 6개 질환에 대한 한방 첩약 급여화와 함께 실손보험에서 보상해주는 제도가 시범사업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는 매우 고무적이다. 특히 실손보험에서 첩약과 약침이 보장되고, 건강보험사업으로 한방 첩약 시범사업의 본사업 전환이 매우 중요하다. 6개...
[천자칼럼] 기내식 라면의 민폐 2024-08-02 17:31:58
냄새는 밀폐된 공간에서 다른 승객들의 신경을 더 건드린다. 샌드위치처럼 조용히 먹을 수 있는 음식과 달리 라면은 먹을 때 ‘후루룩’ ‘쩝쩝’ 소리를 내게 돼 옆 사람에게 불쾌감을 주고 수면을 방해한다. 이런 위험과 민폐에도 불구하고 기를 쓰고 먹을 만큼 기내식 라면이 맛있을까. 고도가 높을수록 기압이 떨어져...
세계인 주름살 펴는 K보톡스…균주 도용 두고 '7년째 내전중' 2024-06-16 17:53:02
멀츠는 ‘순수 톡신’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신경독소 중에서도 순도가 높은 독소를 활용해 내성이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2022년 FDA 승인을 받은 미국 레반스의 ‘댁시파이’는 지속성을 무기로 삼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보통 한 달가량 지속되는 기존 보툴리눔 톡신과 달리 댁시파이는 6개월까지 효능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