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우주 교통사고 막는 앙상블 AI, 플라즈마와 만났다 [이해성의 퀀텀 솔러스] 2025-02-03 10:59:13
검증에 나선다. KAIST는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최원호 교수팀이 인공위성과 우주 탐사선의 엔진인 홀 추력기의 추진 성능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발표했다. 홀 추력기는 연비가 높아 적은 전기를 쓰면서 위성이나 우주선을 크게 가속할 수 있다. 이런 장점 때문에 연료 절약이 중요한 우주...
"체코 원전 수출도 취소되나"…계엄 후폭풍에 속타는 원전업계 2024-12-05 11:00:09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정치권 지형이 크게 바뀐다 하더라도 이전처럼 탈원전 정책을 밀어붙일 순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정용훈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는 "2017년과 다르게 원전이 국내·외에서 대세가 되어 있어 탈원전 당시와는 환경이 달라 이전과 같이 급격한 정책...
원전 '팀 코러스' 첫발…체코수주 확정 청신호 2024-11-05 18:37:12
했다. 정용훈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미국으로서는 서방 세계에서 원전 전주기를 다룰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나라인 한국에 이겨도, 져도 문제”라며 “웨스팅하우스를 부드럽게 압박하는 한편 서방 세계가 협력해 러시아 중국을 견제하자는 의미를 동시에 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슬기/황정환/정영효 기자...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설루션 적용시 처분장 70% 줄여" 2024-07-29 15:45:07
나왔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한국형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설루션을 공개했다. 학회는 정범진 학회장, 단국대 에너지공학과 문주현 교수, 사용후핵연료관리핵심기술개발단 사업지원본부 박홍준 본부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윤종일 교수, 한국원자력연구원...
[사설] 24조 수주 쾌거, 새 성장엔진 'K원전'의 반가운 부상 2024-07-17 17:24:02
달할 것”(영국 국가원자력연구원)이란 분석까지 나왔다. 탈원전을 외치던 프랑스 등 주요 선진국이 ‘원전 비중 확대’로 급선회한 배경이다. ‘체코 낭보’로 한국 경제는 든든한 새 성장동력을 얻었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취약해진 원전 인프라 완전 복원부터 서둘러야 한다. 혁신형 SMR 원전기술에 전력투구하는 등...
이종호 장관 "GPU·D램 수명 끝나간다…지능형 반도체가 AI시대 새 길" 2024-07-16 17:50:35
고대역폭메모리(HBM)나 플래시메모리뿐 아니라 M램, F램 등 차세대 반도체를 넣을 수 있다. ■ 약력 △1966년 경남 합천 출생 △경북대 전자공학과 졸업 △서울대 전자공학과 박사 △미국 MIT 마이크로시스템 기술연구소 박사후연구원 △원광대 전기공학과 교수 △경북대 전자전기컴퓨터학부 교수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美엔비디아·에이브럼스X 뛰어넘자" 정부, 초격차 신규R&D 투자 2024-05-02 14:30:43
한편, 산업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성지현 교수를 새 민간위원으로 위촉했다. 강경성 1차관은 "2025년 산업·에너지 신규 R&D 사업은 민간이 단독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도전·혁신 연구와 파급력 있는 경제적 성과 창출을 위한 R&D에 예산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wise@yna.co.kr (끝)...
"韓, 6년 후엔 핵폐기물 처리 한계" 2024-04-22 18:12:27
원자력계 석학인 정용훈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사진)는 22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금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 법안에서 여야가 이견을 보이는 부분은 본질이 아니다”며 “하루빨리 타협점을 찾아 우리 세대에서 부지 선정 절차를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978년부터 원전을 가동해 25기를...
"K배터리 기술 유출 걱정할 때 아냐…中 고급인재 유치 전략 시급" 2024-03-31 18:18:03
△2차전지 △첨단 이동수단 △차세대 원자력 △첨단 바이오 △우주항공·해양 △수소 △사이버보안 △인공지능 △차세대 통신 △첨단로봇·제조 △양자 분야 등이다. 서울대 2차전지혁신연구소장을 맡고 있는 강기석 재료공학부 교수는 하이니켈 배터리 상용화의 주역 중 한 명으로 꼽힌다.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셀 제...
SMR규제연구 추진단장에 김인구씨 2024-02-14 19:05:02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책임연구원(사진)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김 단장은 1990년부터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 재직하며 연구정책단장·원자력심사단장·부원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겸임 교수도 맡고 있다. 단장의 임기는 3년이다. 원안위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SMR 규제연구 추진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