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아세안 FTA 이행위윈회…디지털·공급망 이슈 반영 논의 2024-03-12 06:00:05
그간 양허표상 오류 등을 주장하며 비준을 늦춰왔다. 한편, 한국은 이번 회의를 계기로 아세안 사무국과 별도 면담을 갖고 RCEP 기여금 공여 계획과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안창용 정책관은 "아세안은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파트너로, FTA 및 RCEP를 통해 경제협력을 고도화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 RCEP 회원국들과 이행체계 구축·협력 방안 논의 2022-08-25 11:00:06
이번 공동위원회에서 RCEP 사무국 설립방안과 상품 양허표 및 원산지 기준에 사용되는 HS코드 최신화 방안, 공동위원회 작업 계획 등 RCEP 이행 이슈에 대해 논의했다. 또 RCEP의 원활한 이행 및 역내 중소기업의 RCEP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회원국의 경험을 교환하고 향후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함께 2019년...
쌀 수입 장벽 높였다…수입 관세율 513% 확정 2021-01-22 10:10:58
22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한민국 양허표 개정 내용을 관보에 공포했다. 농식품부는 "고율의 수입관세율이 적용되면서 국내 쌀 산업을 보호할 수 있게됐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지난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관세화했지만, 쌀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20년간 관세화를 유예했다....
쌀 수입관세율 513% 확정…관세화 절차 6년여 만에 완료 2021-01-22 10:01:33
완료됐다고 밝혔다. 양허표는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자국의 모든 물품에 대한 수입관세 등을 명시해 WTO에 공식적으로 약속한 것이다. 모든 회원국은 자국의 양허표를 준수할 의무가 있다. 이번 개정에 따라 쌀 관련 품목에 대해 513%의 관세율을 적용하되, 저율관세할당물량(TRQ) 40만8천700t(관세율 5%)은 관세화...
WTO, '한국 쌀 관세율 513%' 승인 인증서 발급 2020-01-28 11:00:04
양허표를 승인하는 인증서를 발급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인증서는 우리나라의 쌀 관세율 513%를 확정하는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 쌀 관세화에 이의를 제기한 미국·중국 등 5개국과 검증 협의를 마무리한 바 있다. 이 인증서는 이들 5개국이 모두 이의를 철회함에 따라 발급됐다. 농식품부는 "WTO 인증서...
정부 "농산물 관세·보조금 축소 실현 가능성 희박" 2019-07-29 16:49:35
국내 보조금 한도는 1995년 만들어진 'WTO 국별양허표'에 실려 있다. 농식품부는 "현행 농산물 관세율은 WTO 협정문과 일체를 이루는 문서로, 미국과의 양자적인 문제로 변경되는 것이 아니다"라며 "WTO 협정문을 수정하려면 회원국과의 컨센서스(의견 공감)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따라서 우리나라...
터키 영화·건설시장 개방…FTA 서비스·투자 협정 발효 2018-07-31 11:00:04
높은 수준의 개방을 약속했다. 양허표에 기재한 분야만 개방하는 포지티브 방식을 채택했지만, 향후 터키가 다른 국가와 네거티브 방식의 협정을 체결할 경우 우리와 네거티브 후속협상을 개시할 것을 명시했다. 투자 협정은 모든 분야의 자유화를 전제로 하되 개방하지 않을 분야의 유보 목록을 작성하는 네거티브...
[시론] 중국의 사드 보복, 제대로 대응하려면 2017-03-06 17:36:54
측 서비스양허표에 따르면 중국은 해외여행 알선 서비스에 대해 ‘시장접근 보장’과 ‘비차별 대우’를 약속했다. 시장접근을 보장했다는 의미는 여행알선업자들의 숫자를 제한하거나 이들의 거래액수, 영업횟수, 고용인원, 설립의 법적 형태, 외국자본 참여비율 등을 제한하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이개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밥쌀용 쌀 수입 중단해야" 2016-01-10 19:04:12
쌀 양허표에서 1994년 우루과이라운드(ur) 협상 이후 관세화 유예 기간에 저율관세 할당물량이 적용되던 밥쌀용 쌀 비중 30% 규정을 삭제해 통보했기 때문에 밥쌀용 쌀 수입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다.은정진 기자 silver@hankyung.com [한경닷컴 바로가기] [스내커] [슈퍼개미] [한경+ 구독신청] ⓒ '성공을 부르는...
음향·의료 등 IT제품 201개 내년 7월부터 관세인하 2015-12-17 06:27:39
5년(심전계, MRI기기 등 11개)에서 7년(헤드폰·이어폰, 마이크, 스피커 등17개)의 이행기간을 확보해 업계의 민감성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앞으로 협정 이행을 위해 WTO 양허표 수정, 법령 개정, 국내 비준 절차등 국내외 절차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cool@yna.co.kr(끝)<저 작 권 자(c)연 합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