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형 어선이 어쩌다 침몰까지...4명 사망·6명 실종 2025-02-09 17:40:42
자루그물 양측에 날개 그물이 붙어 있는 어구를 1척이 끌어 해저 부근 어류, 갑각류 등을 잡아 올리는 선박이다. 사고 어선은 8일 낮 12시 55분 부산 감천항을 출발해 전남 흑산도 인근에서 갈치, 병어 등을 잡고 오는 23일 낮 12시 25분 부산으로 복귀할 일정이었던 것으로 해경은 파악했다. 외국인 생존 선원은 "항해...
새만금개발청, 100만평 이상 제2산단 개발 나선다 2025-01-24 09:35:17
시작할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 분석할 수 있는 통합관제센터도 들어선다. 새만금 산단의 친환경적 개발을 도모하고자 새만금호 안에 방치된 어구를 제거하는 등 공유수면 관리에도 힘쓰기로 했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은 하루게 다르게 발전, 변화하고 있다"며 "기업 유치를...
수협 "기후변화로 올해 수산물 생산 소폭 감소 전망" 2025-01-03 11:41:24
올해 소득이 7천22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원은 근해어업의 경우 기후변화로 인한 어종 변화로 생산 불확실성이 지속돼 한계 업종이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인건비와 어구 비용 상승 압박으로 어업경영의 어려움이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새해 달라지는 것]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벼 재배면적 감축 2024-12-31 10:00:08
시행 = 양식업 면허 유효기간 만료 전 심사·평가를 실시한다. 평가항목은 어장 환경과 관리 실태다. ▲ 감척어선을 활용한 불법·페어구 수거사업 추진 = 버려지던 감척어선을 재활용해 중국 불법 범장망(대형 어구의 일종)을 철거하고 먼바다의 폐어구를 수거하는 전문 수거선으로 투입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이준석 "분뇨차? 특정 안했는데…이재명 지지자들 긁힌 듯" 2024-12-23 16:15:40
"상투적인 표현이자 관용적인 어구"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쓰레기차는 당연히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현 상황"이라며 "그다음에 오는 것이 분뇨차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이렇게 딱 얘기했는데 누구를 특정한 건 아니다"고 했다. 이어 "반헌법적인 대통령의 계엄 뒤에 오는 지도자는 적어도 헌법을 준수하고 수호할...
中국방부, '대만 겨냥 훈련하나' 질문에 "상황 따라 변화" 2024-12-13 11:42:41
수무상형(水無常形)"이라는 손자병법의 어구를 언급했다. 병법에는 고정된 형태가 없다는 의미로, 통상 '상황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는 말로 쓰인다. 우 대변인은 "훈련을 개최하는지와 언제 개최하는지는 우리가 자신의 필요와 투쟁 형세에 근거해 자주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라며 "훈련을 하는지 안 하는지와...
기후변화로 하천 쓰레기 바다유입 증가 우려…차단시설 확대한다 2024-12-11 11:00:02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해양폐기물관리위원회는 해수부 장관과 관계부처 차관급 공무원, 공공기관장 등 13명과 민간위원 9명으로 구성됐으며 2021년부터 운영 중이다. 위원회는 폐어구 발생 예방 등 주요 정책과제 이행 현황과 유엔 플라스틱 국제협약 정부간 협상회의 진행 동향에 대한 정보도 공유할 예정이다. ykim@yna.co.kr...
고수온에 수산물 폐사증가…양식어종 바꾸고 양식장 이전 지원 2024-12-05 11:00:05
수 있도록 하고 정치망(함정형 어구)으로 잡은 작은 참다랑어를 키워 판매할 수 있도록 정치망 가두리 시설의 면적 제한도 완화한다. 해수부는 내년에 어종·지역별로 구체적인 대책을 구상하고, 정책 지원을 위한 '해양수산 기후변화대응센터' 설립을 검토할 계획이다. ke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부유물 감기는 사고 예방하세요"…해수부 '현황도' 제작해 배포 2024-12-02 16:48:22
폐어구과 폐그물 등이 선박의 추진기에 감기면 큰 사고로 이어진다. 선박 운항 중단은 물론 선체 전복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 최근 5년간 감김사고는 연평균 368건이 발생해 기관손상 사고(연평균 873건)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해수부는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생한...
"부유물 감김 사고 잦은 곳 피하세요"…해수부, 현황도 배포 2024-12-02 11:00:01
떠다니는 폐어구나 폐그물 등이 선박의 추진기에 감겨 발생하는 사고로, 최근 5년 동안 '기관 손상에 의한 사고' 다음으로 발생 빈도가 높았다. 해수부는 "부유물 감김 사고는 선체 전복 등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해수부는 지난 2019년부터 작년까지 발생한 부유물 감김 사고 데이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