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견과·오징어 등 마른안주값 '껑충' 2025-05-18 17:44:42
오징어 어획량이 큰 폭으로 줄면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근해 살오징어 생산량은 1년 전보다 42% 줄어든 1만3546t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2000년대 연평균과 비교하면 15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수확량이 줄어든 것은 고수온 영향이 컸다. 오징어가 살기 좋은 최적의 수온은 12~18도다. 여름철...
호프집서 가볍게 마른안주만 시켰다가…직장인들 '당혹' 2025-05-14 06:00:02
38.84%나 올랐다. 마른오징어 가격이 뜀박질하는 것은 오징어 어획량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결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연근해 살오징어 생산량은 1년 전보다 42% 줄어든 1만3546t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 2000년대 연평균 20만t가량 잡히던 오징어는 지난해 '15분의 1' 수준으로 어획량이 큰...
외식인플레에 대형마트 회 잘팔려…연어·참치·광어 '3대장' 2025-05-11 06:25:01
생선을 회로 내놓는다. 봄(3∼4월)에는 남해안 도다리 어획량이 늘어나는 시기에 맞춰 도다리회, 여름(5∼8월)에는 농어회(점농어)와 민어회에 주력한다. 가을(9∼11월)에는 전어, 겨울(12∼2월)에는 방어회가 '겨울철 별미'로 자리 잡았다. 대형마트들은 사전 계약이나 대량 매입으로 물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해...
"꽃게 파티는커녕 먹지도 못할 판"…초비상 상황 벌어졌다 2025-05-09 13:54:15
급감했다"고 보도했다. 봄어기(4∼6월) 꽃게잡이철 첫 달 어획량이 1만㎏을 밑돈 것은 2020년(6119㎏) 이후 5년 만이다.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꽃게 어획량이 급감한 주요 원인으로 낮은 수온을 지목했다. 연평어장 수온은 지난달 8∼11.9도를 기록해 전년동기(8.6∼12.6도)대비 대체로 1도 안팎으로 낮았고,...
제철 쭈꾸미·꽃게가 사라졌다...수온 변화 때문에 2025-05-09 09:28:36
봄 제철을 맞은 주꾸미와 꽃게의 어획량이 급감했다. 이례적인 저수온 현상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8일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2월 말부터 4월까지 서해안 지역의 주꾸미 판매량은 404t으로, 2020년(2007t)보다 약 80% 줄어들었다. 수협이 위탁판매량 기준이다. 전북에선 151t에서 13t으로 10분의 1 수준까지...
동원그룹, 1분기 영업이익 13.5%↑"식품·수산사업 수익 개선" 2025-05-08 15:45:32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수산 부문은 참치 어획량 감소로 매출이 소폭 줄었으나, 어가 상승으로 수익이 개선됐다. 동원산업의 별도 기준 1분기 매출은 2.1% 감소한 3천206억원이고, 영업이익은 38.2% 증가한 1천35억원이다. 건설 부문 계열사 동원건설산업은 건축·인프라 부문의 원가율 개선과 수익성 중심의 ...
동원산업, 1분기 영업익 1,248억…전년비 13.5%↑ 2025-05-08 15:36:25
540억 원으로 각각 6.8%, 8.2% 증가했다. 수산 부문은 참치 어획량 감소로 매출액이 소폭 줄었으나, 어가 상승으로 수익성이 크게 개선됐다. 동원산업의 별도 기준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 감소한 3,206억 원에 그친 반면, 영업이익은 38.2% 증가한 1,035억 원을 기록했다. 건설 부문 계열사 동원건설산업은 부동...
'봄 꽃게철' 옛말 되나...어획량 90% 급감 2025-05-08 07:43:05
달 어획량이 1만㎏에도 미치지 못한 것은 2020년(6천119㎏) 이후 5년 만이다.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꽃게 어획량 급감 원인으로 낮은 수온을 지적했다. 연평어장 수온은 지난달 8∼11.9도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8.6∼12.6도)보다 대체로 1도 안팎 낮았다. 이로 인해 서해 먼바다에서 겨울을 보낸 꽃게들이...
봄철 주꾸미가 사라졌다...바다에 무슨 일이? 2025-05-07 08:07:08
151t에서 13t으로 급감했다. 연간 주꾸미 어획량은 2020년 3천327t에서 작년 1천748t으로 47.5% 줄었다. 봄에 잡는 주꾸미 감소 폭이 더 컸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올해 늦추위로 수온이 유난히 낮아 난류성 어종인 주꾸미가 제대로 어군을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해의 수온 관측치는 지난 2월...
올봄 주꾸미 위판량 5분의 1로 줄어…'봄 주꾸미' 옛말 2025-05-07 07:01:01
연간 주꾸미 어획량을 보면 2020년 3천327t에서 작년 1천748t으로 47.5% 줄었다. 봄에 잡히는 주꾸미의 감소 폭이 더 컸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올해 늦추위로 수온이 유난히 낮아 난류성 어종인 주꾸미가 제대로 어군을 형성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연안 수온 정보에 따르면 서해의 수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