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려대 의대 “암세포 증식 82% 줄이는 유전자가위 개발” 2025-01-22 14:06:10
특정 염기서열을 절단해 잘린 유전자를 제거하거나, 해당 부위에 유전자를 추가 또는 새로운 유전자로 교정하는 유전자 편집기술이다. 최근 크리스퍼(CRISPR)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유전자 교정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높은 효율과 정밀도를 가진 유전자 편집 도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크리스퍼 시스템은...
알지노믹스, 200억원 규모 상장 전 투자유치 완료 2024-12-23 17:45:34
대표 기술은 RNA 치환효소를 기반으로 한 RNA 편집·교정 기술이다. 마치 RNA 문장 전체를 재집필하는 것과 같이 표적 RNA 부위 이하 전 부분을 치료용 RNA로 치환할 수 있다. 알지노믹스 기술은 기존의 DNA·RNA 편집기술들과는 달리 외부의 단백질이나 세포 내부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특히 오탈자만 수정하는...
세브란스 "폐암 환자 EGFR 항암제 내성 변이 분석 기술 개발" 2024-11-22 16:21:20
김영광 가톨릭대의대 병리학교실 교수팀이 차세대 유전자교정 기술 '프라임 편집기'를 적용해 폐암 환자의 돌연변이 유발·검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약물에 대한 내성 수준까지 확인하는 데에 성공했다고 22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 최신호에 실렸다. ...
'마이크로RNA 발견'에 노벨 생리의학상…희소 유전병 치료길 열어 2024-10-07 20:24:30
과정에 영향을 주는 작은 RNA다. 유전자 단위인 염기 20~24개로 이뤄졌다. 앰브로스 교수는 예쁜꼬마선충이라는 미생물을 활용해 유전자 연구를 하다가 mRNA 생성을 억제하는 특정 유전물질을 발견했다. 이번 노벨생리의학상으로 이끈 miRNA다. 러브컨 교수는 선충 모델을 통해 이 유전물질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밝혀냈다....
그린진, 세계 최초 non-GMO 제초제 저항 식물 제작 성공 2024-09-26 18:00:05
유전 정보를 가진 자체 DNA를 가지고 있다. 현재 DNA 교정기술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크리스퍼 카스(CRISPR-Cas)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특정 DNA 서열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가이드 RNA를 엽록체 내부로 보낼 수 없다. 이 때문에 엽록체 DNA 교정에는 사용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국내외 연구진들에 의해 개발된...
[ESMO 2024]그래디언트 "세계 최대 오가노이드 뱅킹으로 유럽시장 공략" 2024-09-14 01:04:01
그래디언트바이오컨버전스는 암 환자의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결과, 임상 정보 등과 결합한 세계 최대 규모의 오가노이드 뱅킹 서비스를 보유했다. 세브란스병원 등 국내 대형병원들의 임상연구윤리센터(IRB)를 통과해 상업적 활용에도 문제가 없다. 이 대표는 "임상 현장에서 신규 표적이나 바이오마커 등을 발굴할 때...
유전자 가위와 RNA의 만남…에스티팜 美서 기술 홍보전 2024-05-17 13:01:08
Casx와 교정해야 할 염기를 인식하는 가이드 RNA(sgRNA)가 핵심이다. sgRNA는 Casx라는 효소가 특정 유전자 부분을 절단할 수 있게 가이드해 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특히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100mer(100mer는 아미노산을 100번 붙여 만든 펩타이드)이상의 고순도 sgRNA의 생산이 필요한데 기존의 ASO나 siRNA...
[이지 사이언스] 유전자가 무기?…'바이오 안보' 문제 현실로 2024-03-30 08:00:02
담은 '염기서열' 데이터 수집을 위한 국제 데이터베이스 협력체를 구성한 바 있으며, 2018년에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180만 종의 진핵생물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한 글로벌 컨소시엄 '지구 바이오게놈 프로젝트'(EBP)가 출범했다. hyuns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에스바이오메딕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기술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에 적용할 것" 2024-02-19 13:18:56
혈우병 환자 세포에서 유전자 교정 연구를 해 왔으며, 그 결과를 세계적인 학술지인 셀스템셀(2015), 네이처 프로토콜(2016), 스템셀리포트(2019), EMM (2019), 바이오머터리얼스(2022) 등에 책임 교신저자로 연달아 발표했다. 최근 범부처 과제 및 과기정통부 중견 연구과제 수주를 통해 이러한 유전자 교정 기술과 회사...
고대의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편집 시대 연다…동물모델 개발 2024-01-05 10:11:29
교정엔 크리스퍼 기술을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다. 이 때문에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 4종류 아데닌(A), 구아닌(G), 티민(T), 시토신(C) 중 시토신(C)을 티민(T)으로 교정하는 효소(DdCBE)와 아데닌(A)을 구아닌(G)으로 교정하는 기술(TALED) 등이 개발됐다. 그동안 DdCBE로는 마우스 모델 제작에 성공했지만 아직 TALED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