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감각을 깨우는 K팝·감각을 감싸는 클래식…그 안에서 꽃 핀 상상력 [리뷰] 2025-02-16 11:00:32
서초동 예술의전당, 15일 신천동 롯데콘서트홀에서 'SM 클래식스 라이브 2025 위드 서울시립교향악단'을 개최했다. SM클래식스는 서울시향과 협업해 SM 가수들의 명곡을 오케스트레이션한 음원을 꾸준히 선보여왔다. 이번 공연은 SM 창립 30주년을 맞아 그간 공개했던 음악들을 서울시향의 수준 높은 연주로 감상할...
[뉴스 한줌] 우스터미술관 특별전···인상파 걸작들, 여의도에 떴다 2025-02-14 19:45:37
삼성문화재단 대표, 정지영 더현대 사장 등 문화예술계 인사도 참석했다. 전시 공간은 총 6부으로 나눠 관객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1,2부에는 인상주의가 탄생해 꽃피우는 과정에서 나온 모네, 알프레드 시슬레, 카미유 피사로, 메리 카사트 등 같은 시대 활동한 인상주의 대표 화가들의 작품이 전시됐다. 3,4부에는 미국...
[오늘의 arte] 예술인 QUIZ : '미술 실험'하는 작가 2025-02-11 18:31:24
(예술인 QUIZ 정답은 피에르 위그) 꼭 읽어야 할 칼럼● 호주의 다양한 커피 문화 호주는 다양한 이민자 문화가 공존하며, 커피와 외식 산업에서도 그 다양성이 반영된 다문화 사회다. 원주민인 어보리진은 식민 역사 속에서 차별과 학대를 겪었으며, 이에 대해 사과와 화해의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호주의 정체성을...
“위대한 시작, 천지를 창조하다”…‘6 days+알파’ 출간 2025-02-10 15:34:47
‘선악과’는 더 이상 한 그루의 나무에 열매로 매달려 있지 않다. 김명자 작가는 “우리가 진실과 편의 사이에서, 도덕과 탐욕 사이에서, 신앙과 자기합리화 사이에서 매 순간 내리는 선택 속에 존재한다”며 “우리는 신앙을 이야기하면서도 신의 뜻보다 인간의 논리를 앞세우고, 도덕을 논하면서도 편의와 이익을 위해...
[오늘의 arte] 예술인 QUIZ : 현역 최고령 지휘자 2025-02-07 18:27:14
예술인 QUIZ 정답은 헤르베르트 블롬스테) 꼭 읽어야 할 칼럼● 밥 제임스 쿼텟 퓨전 재즈의 거장 밥 제임스는 내한 공연을 통해 세련된 연주와 따뜻한 감성을 선보였다. 특히 우크라이나 출신 색소포니스트 안드리 츠무트의 희망을 담은 연주와 한국 팬들을 위한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 편곡이 깊은 감동을 더했다....
"굿바이, 카터"…앤디 워홀·밥 딜런이 가장 사랑한 예술가, 마지막을 배웅하다 2025-02-06 17:08:30
예술적 재능은 목재 공예에서 시작한다. 대공황의 여파로 ‘만능 재주꾼’이 필요했던 부친의 땅콩 농장에서 목공의 기본기를 익혔다. 어릴 적에 나무를 깎아 백악관의 미니어처 모형을 만들 정도로 능숙했다. 해군에서 복무하던 시절에는 생활비를 아끼기 위해 가구를 직접 만들어 사용했다. 미술과의 인연도 1940년대...
‘제2회 아르떼 문학상’ 공모 2025-02-05 15:18:45
한국경제신문 지면을 통해 결과를 발표합니다. 상금은 5000만원이며, 책 출간 후 판매 인세가 이를 넘으면 그 차액을 당선자에게 지급합니다. ‘아르떼’는 한국경제신문의 문화 사업을 아우르는 브랜드입니다. 한경은 ‘국내 최대 문화예술 포털’ 아르떼 웹사이트와 ‘넘버원 문화예술 케이블채널’ 한경arteTV, ‘국내 대표...
흙으로 빚은 60년 인체조각 외길…임송자가 풀어낸 삶의 의미 2025-02-03 18:07:30
보편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자신만의 예술을 우직하게 밀고 나갔다. 추상 조각의 대가인 스승의 가르침을 따르면서도, 다른 방식의 성취를 일군 것이다. 박춘호 김종영미술관 학예실장은 “그 세대 작가들이 세계 속의 한국 미술을 모색할 때 임송자는 다소 늦은 나이에 이탈리아 로마 유학을 선택했다”며 “동시대 양...
베를린 도심에 양떼가 나타났다 2025-01-30 17:02:40
카셀예술학교에서 미술을, 베를린예술대에서 건축을 공부했다. 베를린, 빈, 런던, 로스앤젤레스(LA), 밴쿠버 등에서 강의하며 독일 브라운슈바이크공대 순수미술 교수로 재직 중인 그를 인터뷰했다. ▷지속 가능성 및 생태계와의 공존이 중요한 시기에 미술계가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하고 있다. 한국 독자를 위해 당신의...
씨네필도 당황···극장을 나서야 비로소 영화가 시작된다 2025-01-27 07:00:10
된다. 는 예술영화에 제법 익숙한 관객들에게조차 많은 물음표를 띄우는 작품이다. 숲에서 나무를 올려다보는 앵글로 한참을 진행되는 오프닝을 본 뒤에, 이제 영화가 시작되려나 싶지만 이번에는 또 나무를 패는 사내가 한참 보여진다. 발단-전개-위기-절정-결말의 플롯에 익숙한 관객들은 이야기의 시발점이 되는 사건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