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태양에서 63광년 떨어진 별에 한국어 이름 '마루·아라' 붙었다 2023-06-12 16:00:21
약 0.6배인 항성과 목성보다 8배 무거운 외계행성으로 이뤄져 있다. 항성과 행성의 거리는 태양과 지구 사이 평균 거리(1AU)의 2500배다. 천체에 한국어 이름이 붙는 것은 2019년 12월 명명된 백두(Baekdu)와 한라(Halla)에 이어 두 번째다. 백두와 한라는 태양으로부터 약 520광년 떨어진 ‘UMi’ 외계 행성계에 있다. UMi...
[사이테크+] "우리은하에 생명체 존재 가능영역 외계행성 수억개 달할 듯" 2023-05-30 10:43:12
왜소항성(M dwarfs)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은 액체 상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골디락스 궤도'를 도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우리은하에서 가장 흔한 형태의 별은 질량이 태양의 절반 정도이고 온도가 훨씬 낮은 적색 왜소항성이다. 수십억 개의 외계행성이 이런 왜소항성 주위를 돌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 은하 이어 두번째로 가까운 초대질량블랙홀 포착될까 2022-11-29 10:41:54
왜소은하로 분류돼 있다. 지난해 말 은하 중심으로 접근하는 별의 속도가 빨라지는 점을 근거로 초대질량블랙홀이 존재하는 것으로 제시됐지만 강착원반에서 방출되는 빛이 포착되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강착 활동이 없어 빛이 방출되지 않으면 현재의 망원경 기술로는 블랙홀을 포착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블랙홀...
우리 은하 항성 약 18억개 정보 담은 카탈로그 공개(종합) 2020-12-03 23:16:09
이와함께 은하의 중심과 정반대 방향에 있는 외곽의 항성 움직임을 통해 100억년 전 고대 은하 원반의 유물을 관측하고, 약 3억~9억년 전 궁수자리 왜소 은하와 우리 은하간 충돌에 가까운 조우의 증거도 추가로 확보했다. 가이아 위성이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온 가이아 '데이터 처리·분석 컨소시엄'(DPAC)...
하버드대 연구팀 "태양, 쌍둥이 별 가진 쌍성이었다" 2020-08-19 11:01:52
확인하고 이와 비슷하게 붙잡혀 있는 다른 왜소행성까지 찾아낸다면 오랫동안 받아들여져 온 단일 항성 역사를 제치고 쌍성 모델이 힘을 얻게 될 것"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사라진 짝별의 행방과 관련, "별 형성 클러스터를 지나던 별들의 중력으로 태양에서 짝별이 분리됐으며 우리은하 어딘가에 존재할 것"이라면서 "쌍성...
흔적 없이 사라진 별 먼지 속에 숨었나 블랙홀 됐나 2020-06-30 19:01:00
약 7천500만광년 떨어진 물병자리의 왜소은하 '킨먼'(Kinman·PHL 293B)의 '밝은 청색변광성'(luminous blue variable)이 그 주인공으로, 아일랜드 트리니티대학의 박사과정 대학원생 앤드루 앨런이 이끄는 연구팀이 사라진 것을 발견해 '왕립 천문학회 월보'(MNRAS) 최신호에 발표했다. 킨먼...
우리 은하 원반에 충돌한 왜소은하가 태양 형성 촉발 2020-05-26 00:01:00
우리 은하 원반에 충돌한 왜소은하가 태양 형성 촉발 사지타리우스 은하 세 차례 충돌과 별 급증 시기 일치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지구가 속해있는 행성계의 별인 태양은 우리 은하와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왜소 위성 은하인 '사지타리우스'(Sagittarius)의 충돌로 별이 대거 만들어질 때 생겨났을 수...
블랙홀의 '잃어버린 고리' 중간질량 블랙홀 존재 확인 2020-04-01 11:20:33
곳에 포착됐는데, 항성질량 블랙홀일 가능성을 떨쳐내지는 못했다. 린 박사는 이와 관련, "이번에 발견된 블랙홀은 별을 집어삼키는 중이어서 항성질량 블랙홀일 수도 있는 다른 후보들과 달리 큰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라는 강력한 증거를 제공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라고 강조했다. 중간질량 블랙홀이라는 점이 최종...
우리은하 끝에 다른 '피' 가진 젊은 성단 존재 2020-01-09 16:45:35
자체가 이례적인 데다 인근 왜소 은하의 물질로 형성돼 관심을 끌고 있다. 플랫아이언 연구소 산하 '전산 천체물리학 센터'(CfCA)에 따르면 이 센터 연구원 에이드리언 프라이스-웰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8일(현지시간) 하와이 호놀룰루에서 열린 미국천문학회(AAS) 235차 회의에서 우리은하 외곽서 발견된 새...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2019-12-17 16:34:08
연간 태양 100개 질량 이상의 비율로 별을 만드는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starburst galaxy)를 닮았다"면서 수십만개의 초신성 폭발을 가져왔을 이런 폭발적 별 생성은 "우리은하 전체 역사에서 가장 역동적 사건 중의 하나였을 것"이라고 했다. 우리은하는 현재 연간 태양 1~2개 질량의 비율로 별을 만들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