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지구 종말을 준비하는 이들이 진짜 원하는 것 2024-12-27 17:27:03
바이러스, 외계의 침공 등 상상력을 가미한 재난 상황은 인기 소재다. 그런데 재난 자체가 중요한 경우는 드물다. 궁지에 몰린 인간 군상의 어두운 내면이 진짜 주제인 작품이 대다수다. 최근 출간된 은 세상의 끝이 임박했다고 믿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다른 창작물과 차이가 있다면 실제 벌어지는 일을 다뤘다는 점이다....
[토요칼럼] 외계인은 어느 은하의 행성에 있을까 2024-05-10 18:10:53
2000억 개 이상 있다. 물리학계에 따르면 우리은하 말고 외계 은하가 우주에 1700억 개 이상 있다고 한다. 1개 은하엔 항성들이 1000억 개 이상 있는 게 보통이다. 그렇다면 최소 170해 개 이상의 항성이 우주에 있다는 뜻이 된다. 이 항성들에 딸린 지구와 같은 행성은 이보다 몇 배나 많을 것이다. 이쯤 되면 어떤 은하의...
드라마 덕에 대박난 SF 소설, SF 소설 덕에 풍성해진 무대 2024-05-01 17:53:03
컴퓨터 엔지니어 출신인 류츠신은 소설 에 외계 문명이 지구를 공격해오는 이야기를 담았다. 문화혁명을 비롯해 중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이 나온다.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이 “를 읽고 나니 백악관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사소해 보였다”고 말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SF의 노벨문학상’으로 불리는 휴고상을 받...
[이지 사이언스] 넷플릭스 '삼체'로 엿본 우주와 외계인 존재 2024-04-27 08:00:03
생명체의 존재를 상상하는 원동력이 됐다. 특히 외계 생명체를 발견하려는 시도는 현대 천문학의 주요 관심사였다. 1960년 미국 국립전파천문대의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가 시도한 외계 문명 탐사 작업 '오즈마' 프로젝트는 전파 망원경으로 우주 인공 전파의 수신을 시도했지만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이 프로젝...
[오늘의 arte] 예술인 QUIZ : 중국 SF소설의 지평을 넓힌 작가 2024-04-10 20:13:56
뒤 외계 문명과 인류의 전면전까지 그리는 대서사시다. 이 삼체가 최근 넷플릭스 8부작 드라마로 제작됐다. (정답은 하단에) 도서 이벤트 : 이야기 미술관 루브르박물관과 오르세미술관 도슨트로 활동하는 이창용의 신작 이 나왔다. 화가의 생애, 작품 탄생 배경 그리고 그림에 숨겨진 이야기 등을 이 책을 통해 보여준다....
[이 아침의 소설가] 'SF소설계 노벨상' 탄 엔지니어 출신…류츠신 2024-03-25 18:19:45
한 외계 문명이 지구를 공격해오는 이야기를 그렸다. 미국에도 번역 출간돼 아시아 작가 최초로 휴고상 최우수 장편상을 받았다. 류츠신은 중국 현대사에 대한 깊은 성찰을 바탕으로 근미래의 중국 사회를 묘사해 중국 SF의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3부작도 문화대혁명에서부터 수백 년 뒤 외계 문명과 인류의...
한국판 어벤져스···극적 재미·액션 강도 커진 '외계+인' 2부 2024-01-05 05:43:06
로봇 ‘가드’(김우빈)와 외계 프로그램 '썬더’(목소리 연기 김대명)는 ‘신검’을 통해 ‘시간 여행’을 하면서, 시대를 가리지 않고 탈옥하는 ‘요괴’를 다시 잡아들여 가둔다. 2022년 7월 선보인 ‘외계+인’ 1부가 ‘참패’란 말이 나올 정도로 흥행이 부진했던 요인 중 하나는 이런 상상력에서 비롯된 설정의...
외계인 뼈 닮은 우주선 부품…"사람이 만든 것보다 10배 강력" 2024-01-02 18:50:14
비행체, 목성형 외계행성 관찰 우주망원경 등을 설계하고 있다. 라이언 매클랜드 NASA GSFC 연구원은 “사람이 보름에 걸쳐 설계할 부품을 AI는 1분 만에 만들어낸 뒤 반복 수정한다”며 “외계인의 뼈처럼 보이는 이 부품의 무게 대비 강성 비율이 인간이 설계한 부품보다 10배 이상 뛰어난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발 하라리 "AI는 인공 아닌 외계지능이다" [단독 인터뷰 전문] 2024-01-01 18:32:54
AI는 인공(artificial) 지능의 줄임말이지만, 나는 AI를 외계(alien) 지능의 줄임말이라고 보는 게 더 말이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AI는 마치 외계 생명체의 지능인 것마냥 의사 결정 방식이 인간과는 급진적으로 다르기 때문이다. '인공적으로 구현된,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고하는 지능이다?' 전혀 그렇...
"과거 5000년 걸린 진화…AI가 5년 안에 끝낼 수도" 2024-01-01 18:25:21
AI는 인공(artificial)보다는 외계(alien) 지능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하라리 교수에게는 매주 수십 건의 인터뷰 요청 메일이 쏟아진다. 이를 관리하는 별도 팀까지 둔 그는 ‘AI 시대, 미래 세대를 위한 조언’이 주제라는 이야기에 이 인터뷰를 수락했다. 하라리 교수는 최근 청소년을 위해 인류의 역사를 쉽게 풀어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