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책마을] 양자컴퓨터로 살아난 '슈뢰딩거의 고양이' 2025-01-31 18:51:05
UC버클리에서 양자역학을 가르쳤던 배경을 짚으며 저자는 이를 암시한다. 양자 행렬역학을 처음 구현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이를 구체화하고 발전시킨 수학자 폴 디랙을 소개하며 이야기의 문을 연다.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무너지는 블랙홀을 예측한 펜로즈-호킹 특이점 정리, 블랙홀의 가장자리에서 양자역학 법칙에...
올해 노벨 물리학상 'AI 머신러닝' 연구…역대 수상자는 2024-10-08 19:16:03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기여 ▲ 2004년: 데이비드 그로스·데이비드 폴리처·프랭크 윌첵(이상 미국) =...
'역사상 가장 위험했던' 민간인 우주비행 완수…이정표 세웠다 2024-09-16 03:43:18
스페이스X를 축하한다"며 "오늘의 성공은 민간 우주산업의 큰 도약과, 활발한 미국 우주 경제를 구축하려는 NASA의 장기 목표를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자(CEO)는 엑스 계정의 배경 사진을 폴라리스던 팀의 우주유영 사진으로 바꿨고, 이날 이들의 귀환 소식을 전하며 "지구에 돌아온 것을...
[책마을] 노벨상 수상자들에 물었다 "당신의 뇌는 다른가" 2024-05-03 19:08:12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물리학 교수는 우주배경복사 관측 장치인 BICEP를 개발한 인물이다. 그는 ‘노벨상을 탈 뻔한 작가’로 본인을 소개한 전작 로 유명해진 과학자이자 작가다. 저자는 현재 살아있는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9명을 인터뷰했다. 도대체 그들의 두뇌는 무엇이 다른가를 알기 위해서. 아인슈타인처럼 세계를...
[책마을] 호킹의 결론 "인간은 우주 역사를 알 수 없다" 2023-12-22 17:27:19
마치 누군가 정교하게 설계한 것처럼 우주는 ‘지나치게’ 생명에 우호적이었다. 암흑에너지와 우주배경복사, 중력 등이 조금만 어긋났어도 인간이 나타날 수 없었다. 우주의 기원을 함수로 풀어낸 그의 이론은 이를 설명하지 못했다. 호킹은 훗날 이렇게 말했다. “는 잘못된 관점에서 쓴 책입니다. 신과 같은 관점에서...
5번째 여성 수상자 나온 177번째 노벨물리학상…역대 수상자는 2023-10-03 19:42:41
극초단파 우주배경복사의 흑체 형태와 이방성(異方性) 발견, 은하와 별의 기원 연구에 기여 ▲ 2005년: 로이 글로버(미국) = 양자 광학이론 이용, 빛의 결맞음 이론 정립 공헌 존 홀(미국)·테오도어 헨슈(독일) = 레이저 정밀 분광학 개발 기여 ▲ 2004년: 데이비드 그로스·데이비드 폴리처·프랭크 윌첵(이상 미국) =...
'빅뱅' 증명한 조지 스무트 교수, 이화여대서 특강 2023-09-21 12:13:16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의 발견’을 이끈 공로로 2006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스무트 교수는 1989년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쏴 올린 코비(COBE) 위성 관측을 통해 우주배경복사 온도가 방향에 따라 10만분의 1 정도의 아주 미세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스무트 교수가 발견한 우주의 미세한...
노벨 물리·화학상 수상자 5명, 이달 서울에 모인다 2023-09-11 16:01:13
쏴 올린 인공위성 COBE를 관측해 우주배경복사 온도가 방향에 따라 10만분의 1 정도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대폭발(빅뱅)한 후 차갑게 식어가며 확장을 거듭해 균질한 온도(약 2.7K)에 이르렀다는 이론이다. 스무트 교수가 발견한 우주의 미세한 비균질성은 우주와 은하, 별의 기원에 대한...
고체·액체·기체·플라즈마 이어…'제5원소' 발견 2023-08-07 18:12:02
천구측량(SDSS) 자료를 이용했다. 적색이동은 우주 팽창때문에 우리로부터 계속 멀어지는 천체로부터 나온 빛의 파장이 원래보다 더 길게 우리에게 도착하는(더 붉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적색이동 값이 더 큰 천체일수록 더 오래 전에 있었고 우리로부터 더 멀어져 가고 있는 천체란 뜻이다. SDSS는 2000년에 시작한...
"쓰팔·쓰레고침·쓰인물"…스레드 열풍에 신조어 등장 [조아라의 IT's fun] 2023-07-15 10:00:01
현재 사용하는 이름과 소개, 링크 등이 그대로 복사됐다. 앱 다운로드부터 가입에 이르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30초에 불과할 정도로 간단했다. 강력한 '연동 기능'은 스레드가 단숨에 1억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배경으로도 풀이된다. 월간 20억명 넘는 인스타그램 사용자 10명 중 1명만 가입해도 트위터와 대등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