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철강왕' 창과 트럼프 방패의 대결…'관세 전쟁'의 끝은 [최종석의 차트 밖은 유럽] 2025-02-16 07:30:02
중국산 철강이 3국을 거쳐 미국으로 우회 수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가뜩이나 중국발 과잉 공급과 업황 악화에 시달리던 한국 철강기업들에는 큰 악재가 됐습니다. 글로벌 철강 시장은 중국 기업들의 입김이 세진 지 오래됐습니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생산력 기준으로 글로벌 10위 이내에 중국...
김동연 경기도지사, 광주경영자총협회 특강 '민생회복지원금 정책 일관성 문제' 제기 2025-02-14 17:36:04
대해 우회적으로 반대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 지사는 앞서 지난해 12월 기자회견에서 '대한민국 비상 경영'을 위한 3가지 조치(슈퍼추경, 트럼프 2기 대응을 위한 수출안전판 구축, 기업 기 살리기)를 제안하면서 '30조 슈퍼추경'을 정치권에서 처음으로 화두로 꺼냈다. 지난 1월에는 다시...
트럼프, 4월 1일 이후 상호관세 부과-[굿모닝 글로벌 이슈] 2025-02-14 07:52:34
우회 수출도 허용하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관세율 도출을 위한 연구를 맡게 되며, 오는 4월 1일까지 완료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로이터는 이번 발표가 다른 국가들과의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의도로 보인다고 해석했으며, 다른 나라들이 관세를 내리면 미국도 관세를 낮출...
값싼 이란産 원유 수입 막힌 中…韓 정유·석화업계는 방긋 2025-02-13 17:57:29
실행한다는 정책에 서명했다. 미국은 이란이 중국에 원유를 수출할 때 관여하는 금융회사도 제재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도 이란 원유 수출을 통제했다. 2018년 5월 하루 381만 배럴이던 이란의 산유량은 2020년 200만 배럴로 줄었지만, 작년 말에는 330만 배럴로 뛰었다. 중국이 매일 수입하는 원유 1...
'깜짝 실적'에 배당까지 나선 HMM, 주가는 제자리…왜? [종목+] 2025-02-13 06:30:01
막힌 상태에서 중국 제조업체들의 밀어내기 수출에 따른 운송수요 증가가 겹친 결과다. 호실적은 1분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작년 12월에 기대 이상으로 반등한 SCFI는 시차를 감안했을 때 올해 1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면서 “현재 HMM의 1분기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이 같은 시황...
트럼프, 中 철강 우회수출까지 조준…韓 부담 가중되나 2025-02-12 10:53:05
中 철강 우회수출까지 조준…韓 부담 가중되나 '녹이고, 붓는' 단계부터 따져…철강도 '태생지' 엄격히 따져 미 접근 막힐 中철강, 한 추가 유입될 수도…제3국시장 경쟁 격화 전망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에서 수입되는 철강 제품에 25%의 관세를 일률적으로...
[파월, 금리인하 속도조절...테슬라 6.3%↓] - 와우넷 오늘장전략 2025-02-12 08:31:15
폴란드에 더해 호주 및 이집트 등 다른 국가로의 수출 물량이 늘어나면서 2025년 지상 방산 부문 해외 매출액은 전년대비 20.9% 증가할 것 - 방위산업 최선호주 의견을 유지한다. 명확한 실적 성장성과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수출 파이프라인을 고려했을 때 여전히 과소평가 된 기업. 2024년까지 드러난 지상방산 부문의...
[인터뷰] 여한구 "韓, 방산 협력·투자로 美에 철강 관세 면제 설득해야" 2025-02-12 05:39:46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철강의 환적과 우회 수출을 우려한다. ▲ 미국이 중국 철강 제품에는 워낙 관세를 많이 때리다 보니 미국에 직접 들어오는 것(중국산 철강)은 없는데 중국의 값싼 철강이 한국, 일본, EU 등에서 범람하면서 철강 가격을 끌어내리고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 인식이다. 트럼프 1기...
트럼프 '호주 관세면제 고려'에 철강 수출국들 對美협상 각축전? 2025-02-12 01:25:10
중국이 과잉 생산한 철강을 관세 면제 국가를 통해 우회 수출했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인식이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철강 관세 시행 당시 미국 철강산업의 가동률을 최소 80%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미국 철강산업 가동률은 2021년 일시적으로 80%를 달성했으나...
트럼프 관세전쟁 철강부터 정조준…'침체의 늪' K-철강 설상가상(종합) 2025-02-11 18:05:08
맞고 있다. 이에 중국의 직접적인 대미 철강 수출량은 지난해 기준 8억달러로 한국(29억달러)에 크게 못 미칠 정도로 미국 시장 점유율이 낮다. 결국 중국의 남아도는 철강 물량으로 인해 전 세계 철강 공급 과잉은 더욱 심해지고, 연쇄적으로 한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 하락과 수익성 악화를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