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국내 연구팀, 액체·고체 특징 모두 가진 '전자결정' 첫 발견 2024-10-17 00:00:01
했다. 그는 "주기율표 2족 원소인 '알칼리 토금속'을 도핑하면 전자가 더 많이 주입되는 차이가 생긴다"며 "이런 것들을 통해 고체물리의 근본적 부분을 탐구하려는 게 연구실의 또 다른 중요한 연구 방향"이라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카자흐스탄, 전기차 배터리용 핵심 광물 생산에 가속" 2024-09-14 14:53:39
러시아를 우회하는 유럽행 화물수송로 개발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옛 소련 구성국의 하나인 카자흐스탄은 국토 면적이 세계 9위지만 인구는 약 2천만명으로 상대적으로 적다. 멘델레예프 원소 주기율표상 원소를 거의 모두 보유하고 있으며, 철합금과 금 그리고 구리는 이미 상당량을 수출하고 있다. yct9423@yna.co.kr...
카자흐스탄, 배터리 공급망서 틈새 시장 모색 2024-09-14 00:16:05
"사람들은 카자흐스탄이 매우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는 매우 오랫동안 시장에 공급해 왔습니다"라고 카나트 샤라파예프 산업부 장관은 말했다. 국토 면적 기준으로는 세계에서 9번째로 크지만 인구가 적은 이 중앙아시아 국가는 주기율표 원소의 90%가 매장되어 있으며 이미 합금철, 금, 구리의...
유리기판 깨뜨린 주성엔지니어링 "주성은 유리기판 만드는 기업 아니다" 2024-07-07 11:09:41
화합물 반도체는 실리콘 대신 주기율표상 3족과 5족에 해당하는 원소를 결합한 것이다. 물질의 특성상 공정을 미세화하지 않아도 전자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기존에 쓰이던 4족 원소를 대체할 수 있는 재료로 손꼽힌다. 이를 활용한 공정 수율이 낮다는 단점을 지적받아왔다. 이에 대해 황...
"러, 우크라 돈바스에 풍부한 금·리튬 개발 계획" 2024-05-27 20:00:45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 전체가 우리 발밑에 있다"고 말할 정도다. 하지만 도네츠크 지역은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친러시아 반군의 내전이 벌어진 2014년부터 군사적 충돌이 빈발해 석탄을 제외한 다른 광물 지질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금 매장량도 상당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고대 스키타이족의 금 유적도 돈바스...
영화속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인공지능.. ㈜카이로스랩 나준채 대표 2024-05-08 09:40:11
결정되는데, 주기율표에서 금속원소를 섞어 만들 수 있는 조합 수가 매우 방대하여 다양한 특성을 파악하는 데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탄소와 수소만을 결합하더라도 결합 개수에 따라 60만 개 이상의 조합이 나온다. 이런 소재 개발은 여러 세대에 걸쳐서 변화됐다. 1세대에서는 우연히 경험적...
'실수의 반전'…세렌디피티에서 탄생한 2차원 신소재의 미래 [긱스] 2023-11-21 15:35:33
금속을 뜻하는 ‘M’과 알루미늄(Al) 등이 포함된 주기율표상 13족, 14족 원소 그룹 ‘A’ 그리고 탄소나 질소를 뜻하는 ‘X’를 합친 이름이죠. 이 맥스라는 물질은 과거부터 오랜 기간 연구된 물질입니다. 어느 날 이 맥스 물질을 연구하던 미국 드렉셀대학 유리 고고치 교수팀이 이 분말을 우연히 불화수소산(불산)에 넣...
"세대 갈등의 시대…지금은 다름을 인정하는 和가 절실한 때" 2023-09-17 18:15:37
나트륨(Na)과 염소(Cl)는 원소 주기율표 상에서 멀리 떨어져 있지만 합쳐져 소금을 만들어내지 않습니까. 서로 다른 두 속성이 만나 합쳐지면 힘이 생기고 그 속성이 다를수록 더 큰 힘이 분출됩니다. 하지만 우리 역사와 사회는 아직 이를 터득하지 못한 듯합니다. 한국의 약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장학사업에 몰두하는...
[윤성민 칼럼] 스탠퍼드 중퇴생 vs 서울대 중퇴생 2023-03-13 17:48:34
살 때 원소주기율표를 외우고 열 살 때 닌텐도 게임기를 개조해 휴대폰을 만들 정도로 천재인 러셀이 스탠퍼드대 물리학과에 다닌 기간은 3개월에 불과하다. 한국 명문대생도 적잖은 수가 대학을 중퇴한다. 지난해 서울대·고려대·연세대(SKY) 자연계열 학생 중 1421명이 중퇴했다. 2020년 893명, 2021년 1096명 등 매년...
미국서 채굴·제련한 희토류 일본으로 수출…'중국 패싱' 본격화 2023-02-23 14:56:26
공개하지 않았다. 희토류(稀土類)는 원소 주기율표의 원소기호 57번 란나텀에서 71번 루테튬까지 란타넘족 원소 15개와 스칸듐, 이트륨 2개를 더한 총 17개 원소를 뜻한다. 화학적 성질이 매우 안정적이고 열 전도율 등이 높아 다양한 첨단산업에 쓰인다. 특히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면서 영구자석용 NdPr의 수요가 급증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