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명왕성과 그 위성 카론은 짧은 입맞춤으로 맺어진 단짝" 2025-01-07 08:18:42
기자 = 태양계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된 명왕성(Pluto)과 그 위성 카론(Charon)은 원시 명왕성과 카론이 키스하듯 충돌해 일시적으로 붙었다가 떨어지면서 중력으로 서로에게 붙잡혀 만들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애리조나대 달·행성 연구소 아딘 덴턴 박사팀은 7일 과학 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사이테크+] "300만년밖에 안 된 어린 별 주변서 지구 10배 외계행성 포착" 2024-11-21 05:00:01
지구보다 10.7배 크고, 질량은 목성의 약 30% 수준인 거대한 외계행성이 8.83일에 한 바퀴씩 별을 공전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별을 둘러싸고 있는 원시 행성 원반(protoplanetary disk) 중 별에 가까운 내부 원반은 거의 고갈돼 있으며, 바깥쪽 원반은 지구 방향으로 오는 별빛을 가리지 않게 기울어져 있...
"소행성 '베누' 기원은 바다일 가능성…생명체 필수물질 많아" 2024-06-28 11:33:13
이상 존재하지 않는 작고 원시적인 해양 세계에서 떨어져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오시리스-렉스 프로젝트의 수석 연구원인 단테 로레타는 "베누의 다른 원소, 화합물과 함께 인산염의 존재와 상태는 이 소행성에 과거 물이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베누는 과거 더 습한 세계의 일부였을 수 있지만 이 가설은...
[사이테크+] "초저질량 별 주변서 탄화수소 풍부한 원시 행성 원반 발견" 2024-06-10 07:48:50
별 주변서 탄화수소 풍부한 원시 행성 원반 발견" 국제연구팀 "JWST로 520광년 밖 원시 행성 원반서 13가지 탄화수소 포착"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520광년 밖에 있는 태양 10분의 1 크기의 초저질량 별(VLMS)에서 메탄·에탄 등 다양한 탄화수소가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시 행성...
450광년 떨어진 별 근처에서 지구 바닷물 3배 수증기 포착 2024-03-01 18:16:36
주위 원시행성 형성 원반에 지구 바닷물의 3배가 넘는 수증기가 포함된 것을 발견했다. 젊은 별 주변의 원반을 구성하는 먼지 알갱이 등은 서로 결합하면서 큰 천체를 만든다. 물은 이들이 더 효율적으로 달라붙게 해 행성 형성에 기여한다. 파치니 박사는 “45억 년 전 우리 태양계에서처럼 물의 존재가 행성 발달에 어떤...
[사이테크+] "450광년 밖 별 주위서 수증기 다량 포착…지구 바닷물의 3배" 2024-03-01 06:00:04
바닷물의 3배" 국제연구팀 "45억년 전 태양계 원시행성 형성 과정 물 역할 규명할 단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지구에서 450광년 떨어진 황소자리의 한 젊은 별 주위에 있는 원시행성 형성 원반에서 지구 바닷물보다 3배 이상 많은 물이 포함된 수증기 구름이 포착됐다. 이탈리아 밀라노대 스테파노 파치니 박사...
[사이테크+] "50광년 밖 태양 9분의 1 크기 별에서 지구 13배 행성 발견" 2023-12-01 08:50:10
따라 결정된다. 행성 형성 이론은 원시 행성 원반의 가스와 먼지 질량은 중심별 질량과 밀접하게 비례하기 때문에 질량이 가장 작은 적색왜성(M유형 왜성)의 근접 궤도에는 해왕성(지구 질량의 17배)보다 큰 외계행성은 존재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텍사스주 맥도널드 천문대에 있는 지름 10m의...
[사이테크+] 100광년 밖 행성 6개로 이루어진 외계 행성계 발견 2023-11-30 09:05:51
해왕성보다 작은 외계행성과 이런 구성을 가진 외계 행성계가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밝혀낼 기회를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루케 연구원은 "외계 행성계의 1%만 공명 궤도를 가졌을 것으로 추정하며 HD110067은 전혀 훼손되지 않은 채 살아남은 외계 행성계의 원시적 구성을 보여준다"면서 "그것이 바로 HD110067이 특별하고...
[사이테크+] 수성 지하에도 생명 존재 가능?…"극지서 소금빙하 증거 발견" 2023-11-20 06:00:09
행성과학연구소(PSI) 알렉스 로드리게스 박사팀은 20일 국제학술지 '행성 과학 저널'(The Planetary Science Journal)에서 미항공우주국(NASA) 수성탐사선 '메신저'(Messenger) 관측 데이터에서 북극 주변 라디틀라디 충돌구와 에미네스큐 충돌구에서 소금빙하로 보이는 구조 증거와 지하의 휘발성 물질로...
[그래픽] 테이아-지구 충돌 시뮬레이션 결과 2023-11-02 22:40:56
전 원시지구(Gaia)와 충돌해 달이 만든 화성 크기의 원시행성 '테이아'(Theia)의 잔해가 지하 2천900㎞ 맨틀에 남아 거대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Caltech) 첸위안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2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원시지구와 테이아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