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리기판 깨뜨린 주성엔지니어링 "주성은 유리기판 만드는 기업 아니다" 2024-07-07 11:09:41
기판에서도 메모리, 비메모리를 쌓아올릴 수 있다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황 회장은 "그동안 주성엔지니어링이 국내 메모리 반도체 회사에 메모리 제조용 ALD 장비만 납품하는 기업이라는 인식이 있었다"며 "로직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 등 다양한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장비 판매를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특수가스 강자 원익머트 "그린수소 승부수" 2024-02-05 17:43:53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LED(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 등을 제조할 때 쓰인다. 반도체산업 초창기엔 전량 수입하던 것을 2003년 원익머트리얼즈가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 대표는 올해 전략으로 “생산효율을 높이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강화, 저탄소용 산업가스 개발 등에 주력할...
0.001% 오차도 불허…반도체 특수가스 강자 원익머트리얼즈 [민지혜의 알토란 中企] 2024-02-05 13:50:37
특수가스는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발광다이오드(LED), 태양전지 등을 제조할 때 쓰인다. 반도체 시장이 형성되던 초창기엔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던 것을 2003년 원익머트리얼즈가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현재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한 대표는 올해...
리튬계열 설 자리 없어진다...차세대 ESS 유망 기업은 [긱스] 2024-01-25 09:53:28
어려운가? 태양광, 풍력 등을 비롯해 많은 재생에너지 기술이 혁신을 거듭해왔고, 언제나 기대보다 더 빠르게 비용 절감을 이뤄왔다. 그런데도 재생에너지는 간헐성이라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태양 빛이나 바람이 언제나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한 출력 제한의 문제는 재생에너지 도입을 주저하게 하는 가장 큰...
고효율·장수명 다 잡았다…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2024-01-16 19:00:00
소자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와 기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장점을 모두 갖춘 발광소자가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이태우 교수 연구팀이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 발광 소재를 결합해 오래가면서도 고효율인 하이브리드 탠덤 발광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16일 밝혔다. 태양전지 소재로 주...
8월 과기인상에 김윤희 경상대 교수 2023-08-02 18:39:23
유기반도체 소재 원천기술을 개발해 유기태양전지 등 차세대 전자소자 상용화 가능성을 높인 공로를 인정받았다. 유기태양전지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반도체 소자다. 태양 빛을 받아 전자를 만드는 전자주개 물질과 전자주개에서 전기를 받는 받개 물질로 구성된다. 이 중 전자 받개는 저분자 물질을 활용...
8월 과기인상에 김윤희 교수…유기태양전지 상용화 가능성 높여 2023-08-02 12:00:00
과기인상에 김윤희 교수…유기태양전지 상용화 가능성 높여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8월 수상자로 김윤희 경상국립대학교 화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김 교수는 효율과 안정성 높은 유기반도체 소재 원천기술을 개발해 유기태양전지...
반도체 장비 넘어 태양광·배터리로 영토확장 2023-06-12 17:52:47
태양전지 소재인 실리콘 웨이퍼는 태생적으로 전지화(電池化)의 위험을 안고 있다. 자칫 태양전지 패널에서 수집된 태양광이 웨이퍼를 따라 후면까지 흐르며 단락되기 쉬워서다. 이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웨이퍼 가장자리에 절연을 위한 에칭 공정을 필수적으로 시행한다. 코스닥시장 상장 중견기업 AP시스템은...
아주대, 박성준.김종현 교수 연구팀 '유연 고내구성의 반투명 유기 태양전지를 개발' 2023-06-12 17:49:21
소재의 유기 태양전지 전극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건물과 차량의 외벽, 비닐하우스의 지붕, 웨어러블 기기 등 그동안 태양광 발전이 어려웠던 곳에도 안정적으로 태양전지를 적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12일 아주대학교는 박성준 교수(전자공학과)·김종현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팀이...
"기후변화 위기를 막아라"…신기술 개발에 힘 쏟는 산학협력단 2023-05-16 15:51:39
플러스에너지빌딩 혁신기술 연구센터는 태양전지의 고질적 한계인 ‘과열 현상’을 해결할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생산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기후 위기 극복에 기여한 사례로 꼽힌다. 인하대 나노셀룰로스 미래복합재 창의연구단은 나노셀룰로스를 사용해 친환경 고강도 구조 복합재를 개발했다. 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