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고려대 의대 “암세포 증식 82% 줄이는 유전자가위 개발” 2025-01-22 14:06:10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에서만 유전자 절단을 유도했다. 결과적으로 세포 증식을 69.7% 감소시켜 암 표적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김 교수는 “eCas12f1에 탈아미노효소나 전사조절인자를 융합함으로써 아데노신 염기 편집과 유전자 발현 조절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라며 “eCas12f1은 작은 크기와...
에스바이오메딕스, 국제학술지 EMM 통해 ‘세포-유전자 치료제’ 기술 발표 2025-01-20 17:46:30
환자로부터 유도된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에 보다 안전한 유전자 가위를 사용하여 기능이 향상된 8번 유전자를 삽입 및 교정하는 전략을 성공적으로 소개하였다. 연구팀은 기존의 유전자 가위가 아닌 염색체의 한쪽 가닥만 절단하는 변이형 유전자 가위 (Cas9 D10A nickase)를 사용함으로써 이전의 기술보다 더...
엘앤씨바이오, 스킨부스터로 보폭 넓힌다…'엘라비에리투오' 시판 2025-01-15 16:16:46
개발하는 기업이다. 면역 거부반응 인자를 사전에 제거하는 무세포화 기술을 통해 안전한 인체조직 이식재를 만든다. 대표 제품에는 메가덤(동종 진피 이식재), 메가카티(동종 초자연골 의료기기), 메가너브(신경이식재) 등이 있다. 지난해 하반기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조직이식재로 시판 허가를 받은 스킨부스터...
[이지 사이언스] 245조원 가치…'신규 모달리티' 주목하는 제약·바이오 업계 2025-01-11 08:00:03
'엔허투'가 대표적 ADC 기반 의약품이다. 엔허투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2(HER2)를 표적으로 하는 항체 '트라스투주맙'과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종양 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약물 '데룩스테칸'을 연결한 치료제다. mAb 기반 치료제로는 머크가 개발한 블록버스터 의약품 '키트루다'가 있...
식약처, 소아 연골무형성증 희귀약 '복스조고주' 허가 2024-12-31 11:00:17
인자 수용체3'(FGFR-3)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는 골 성장 관련 유전 질환이다. 복스조고주는 소아 연골무형성증 환자에서 과분화된 FGFR-3 신호를 억제해 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유도함으로써 연골 내 뼈 형성을 촉진하는 치료제다. 지금까지는 소아 연골무형성증 환자에 대한 치료제가 없었다. 식약처는 "해당...
세브란스 "폐암 환자 EGFR 항암제 내성 변이 분석 기술 개발" 2024-11-22 16:21:20
정도에게서 확인되는 표피생장인자수용체(EGFR) 변이는 ‘티로신키나제 억제제(TKI) 등 표적치료제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다. 다만 표적치료제는 치료 초기 효과가 좋다가 1~2년 뒤 다른 돌연변이가 생기는 내성 탓에 효과가 떨어지는 게 문제다. 지금은 약물 내성과 돌연변이 간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약제에...
"홍삼 속 'Rh2',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 기전 최초 확인" 2024-10-28 15:36:00
시작하는 단계)에서 정지(arrest)와 세포사멸을 유도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Rh2 성분이 항암치료제와 달리 독성 없이 안전하게 암세포를 억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김명옥 교수팀은 "기존에 학계에서는 홍삼의 Rh2 성분이 자궁경부암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암 전이와 관련된 물질인 AXL의 신호 전달...
금호타이어, 빅데이터·AI 활용 타이어 디지털트윈 시스템 가동 2024-10-15 10:45:21
위해 제품 컴파운드, 패턴, 구조 등 설계 인자들을 최적으로 디자인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금호타이어는 타이어 디지털 트윈 기술로 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혁신을 유도해 개발 기간 단축, 성능 향상, 개발 비용 절감 등을 꾀할 예정이다. 이어 성능 예측 시스템 개선, 차량 동역학 해석과 연계한 드라이빙 시뮬레이터 기술...
항암제에 癌정밀 타격 기술 입힌다…메딕 세계 첫 기술에 한미·LG 투자 2024-10-14 17:24:34
항암제에 대한 바이오마커(환자의 치료 반응 인자)를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음을 네이처지에 발표했다. 2차원(2D)이 아닌 실제 암과 비슷한 3D 종양 배양 기술을 개발하고 기존 항암 후보물질을 합성치사 항암제로 탈바꿈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 모두 메딕의 세계 최초 성과다. 합성치사란 두 유전자 기능이 동시에 상실됐을...
역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는…115회 걸쳐 229명 영광 2024-10-07 18:48:41
= 성체 세포로 유도만능줄기세포(IPS) 개발하는 방법 발견 ▲ 2011년 : 브루스 보이틀러(미국), 율레스 호프만(룩셈부르크), 랠프 슈타인만(캐나다) = 면역체계 활성화의 핵심원칙 발견 ▲ 2010년 : 로버트 에드워즈(영국) = 불임치료 길을 연 체외수정 기술 개발 ▲ 2009년 : 엘리자베스 블랙번, 캐럴 그라이더, 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