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블록처럼 쌓아 인공 신경망 만든다…KIST, 뉴로모픽 소자 개발 2023-12-21 12:00:13
최적화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2차원 물질인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이용해 수직으로 쌓아 올린 구조의 멤리스터 소자를 개발했다. 멤리스터는 전압에 의해 저항이 바뀌는 반도체 소자로 저항 정도에 따라 '0'과 '1' 같은 정보를 표현하는데, 이는 연결 강도에 따라 신호가 바뀌는 뉴...
5월 과기인상에 신현석 교수…초저유전물질 합성법 개발 2023-05-03 12:00:15
더불어 신 교수 연구팀은 같은 질화붕소 소재인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를 이용해 박막의 층수를 조절할 수 있는 단결정 hBN 합성법을 개발, 반도체 소재의 대면적화 해법도 제시했다. 관련 내용은 네이처에 2022년 6월 게재됐다. 신 교수는 "초저유전물질 원천소재 개발은 반도체 칩 전력 소모를 줄이고, 정보 처리...
한국 연구진, '반도체 기능저하 막는 기술' 세계최초 개발 2022-06-02 11:44:45
학술지 '네이처'에 게재됐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신현석 교수팀은 육방정계 질화붕소(hexagonal boron nitride, hBN) 단결정(單結晶·single crystal)을 여러 층으로 합성할 수 있는 기술을 처음 개발했다. 육방정계 질화붕소는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하 트랩, 전하 산란 등의 기능 저하를...
UNIST팀, 반도체 2차원 절연체소재 세계 첫 합성…네이처 게재 2022-06-02 00:00:00
'육방정계 질화붕소' 단결정 형태로 다층 합성 "차세대 고집적 반도체 칩 만들기 위한 핵심 원천기술 선도적 확보" (서울·울산=연합뉴스) 문다영 김용태 기자 = 크기는 더욱 작고 성능은 더욱 뛰어난 차세대 고집적(高集積) 반도체 칩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핵심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UNIST '꿈의 신소재'로 디스플레이 만든다 2020-10-28 17:35:52
“그래핀과 육각형 벌집구조 모양의 물질인 육방정계 질화붕소 경계면에서 청색 발광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1㎚=10억분의 1m) 크기 이하의 그래핀 입자가 심어진 질화붕소 막을 수직으로 쌓는 방식을 활용해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연구팀은 발광현상의 원인도 찾았다. 연구팀은 “원래 반듯한 육...
한국 연구진 일냈다…더 작고 빠른 반도체 핵심 신소재 발견 2020-06-25 10:13:48
연구돼온 소재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가진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며 절연체로 사용되고 있다. 원자 배치가 불규칙한 비정질 질화붕소도 1960년대부터 연구돼 왔으나 유전율이 3~6 정도로 주목받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기판에 증착되는지 연구하던 중...
반도체 초격차 전략 비밀병기?…소형화 한계 극복할 신소재 개발 2020-06-25 00:00:00
연구돼온 소재로 규칙적인 결정구조를 가진 육방정계 질화붕소(h-BN)는 '화이트 그래핀'으로 불리며 절연체로 사용되고 있다. 원자 배치가 불규칙한 비정질 질화붕소도 1960년대부터 연구돼 왔으나 유전율이 3~6 정도로 주목받지 못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육방정계 질화붕소가 기판에 증착되는지 연구하던 중...
10분 걸렸던 그래핀 10㎠ '3분 완성'…최고속도 경신 2019-07-16 00:00:01
육방정계 질화붕소)과 반도체 물질(텅스텐 이황화물)에도 기술을 적용했더니 불소가 성장 속도를 빠르게 하는 역할을 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펑 딩 그룹리더는 "불소를 국소적으로 주입하는 간단한 방식만으로도 상용화 걸림돌을 제거할 수 있었다"며 "불소 같은 반응성 좋은 물질로 다양한 2차원 물질을 빠르게 합성할...
'화이트 그래핀' 반도체 나올까…대면적 합성 성공 2019-05-23 02:00:00
재료로는 그래핀과 화이트 그래핀(h-BN·육방정계 질화붕소)이 주목받는데, 지금껏 반도체를 만들만한 면적으로 화이트 그래핀을 합성하지는 못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 중국, 스위스 연구진과 함께 화이트 그래핀을 100㎠의 대면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 유연한 차세대 반도체 제작 가능성을...
울산과기원, 입자 고르고 균열한 '그래핀 양자점' 개발 2019-01-16 19:00:00
나노입자가 배열된 실리카(SiO₂) 기판 위에 육방정계 질화붕소를 올린 뒤, 메탄(CH₄) 기체 속에서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를 통해 백금 입자 크기에 따라 그래핀 양자점 크기가 결정되고, 원자 한 층의 육방정계 질화붕소 내부에 그래핀 양자점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소재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