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관리비만 '月1400만원'…"캠퍼스에 모여 살아요" 파격 실험 [현장+] 2025-02-18 04:03:53
“은퇴하기 전보다 더 바쁘게 지내는 것 같지만 어느 때보다 뿌듯하다”고 말했다. 미국 대학은 UBRC를 단순히 동문에게 주는 혜택을 넘어 평생교육, 세대 간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은퇴 전 대학 교수·기업 최고경영자(CEO)·엔지니어 등 다양한 직업을 갖고 있던 은퇴자들의 참여에 대학 교수진의 반응도 좋다....
대학서 인생 2막 사는 美 은발청춘…상위 1%는 '고급 별장' 공유 2025-02-17 18:32:50
개의 주거 타입으로 구성된다. 대부분 은퇴자는 독립 주거 형태로 거주한다. 집 구조는 침실 1개부터 3개까지 천차만별이다. 혼자 입주하는 사람과 부부 단위로 들어오는 사람에 맞춰 방 형태를 다양화했다. 형태에 따라 월 관리비도 4500달러(약 630만원)부터 1만달러(약 1400만원)로 다양하다. ASU 동문 및 교수진, 동문...
교육수준 높고 바잉파워 갖춰 2025-02-17 18:28:09
한국 산업 발전의 중추를 담당해 온 베이비붐 세대는 은퇴 전후에도 우리 경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 노인들과 달리 고등 교육을 받고 소득 수준이 높아 시장 판도를 흔들 ‘소비 파워’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2차 베이비부머(1964년~1974년생)는 944만 명에...
문화·소비 新인류…'파워시니어'가 온다 2025-02-17 18:09:44
지 오래다. 은퇴 전 쌓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활발하게 기여하는 것도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기업도 파워 시니어의 구매력과 달라진 패턴에 주목한다. 미국 중앙은행(Fed)에 따르면 미국 베이비붐(1946~1964년생) 세대가 보유한 총자산은 82조4800억달러(약 12경원)로 미국 전체 가계 자산의 51.6%에 달한다....
"한 달에 100만원은 써야죠"…6070 요즘 여기에 꽂혔다는데 2025-02-17 17:57:06
“은퇴 이후에도 활력 있게 살기 위해 나에게 투자하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 수준이 높고 구매력을 갖춘 파워 시니어 세대가 핵심 소비층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은퇴 후에도 능동적인 삶을 살면서 자신에게 투자하는 데 돈을 아끼지 않는다. 외모 관리와 운동 등 일부 업종에선 60~70대 시니어 세대의 소비 증가율이 전...
[MZ 톡톡] 세대 소통의 지름길, 디지털 전환 2025-02-14 17:45:51
세대인 M세대도 일상에서 디지털기기에 매인 것은 마찬가지여서 오프라인 문화를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다. 기업에는 끊임없이 새로운 고객이 필요하다. 아랫세대가 계속 고객으로 유입돼야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고 브랜드를 이어갈 수 있다. 자원이 풍부한 대기업 걱정을 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한국인 평균 퇴직 연령은...
"뭐해먹고 살지 막막하네요"…30대 女, 당근에 글 올렸더니 2025-02-14 13:18:14
교수는 “현 2030세대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 과거보다 큰 세대”라며 “지역 커뮤니티를 통해 스터디를 구하는 것도 포모(FOMO·나만 소외된다는 두려움)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모임을 통해 비슷한 처지인 사람들끼리 모여 자신이 뒤처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위로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퇴 후...
中군수기업 고위임원 부패 조사…'호랑이 사냥' 군 외부도 겨냥 2025-02-13 11:25:57
혐의에 대해서는 공개되지 않았다. 1966년생인 류 부총리는 은퇴까지 1년을 앞두고 있으며, 그룹 내 서열 4위다. 연구원급 엔지니어 출신인 그는 중국 완성차 기업인 둥펑자동차의 부총경리를 지냈다. '차이나 사우스(China South)'로도 알려진 CSGC는 소총, 탄약, 대테러 장비 등을 개발하고 제조하는 업체로...
[신간] 35억 벌고 퇴사한 '파이어족'…4년 뒤 지금은 2025-02-13 11:22:54
않을까." MZ세대 '파이어족'(조기 은퇴자)의 대표적 인물로 꼽히는 한정수 연두컴퍼니 대표가 신간 로 돌아왔다. 코로나19 당시 폭락장에서 주식과 가상자산으로 약 35억원을 벌어 퇴사한 지 올해로 4년째다. 그 사이 한 대표의 삶은 새로 조립됐다. 카드사 홍보팀 사원이란 명함을 포기하는 대신 '감독'과...
[기고] 이제는 연금개혁을 완수해야 할 때 2025-02-11 18:19:10
20조원에서 2033년 35조2000억원으로 증가할 것이다. 미래 세대 부담을 증가시킬 것임에 분명하다. 국내에서 2차 베이비부머(1964~1974년생) 940만 명이 본격적으로 은퇴하기 시작했다. 이들의 연령별 평균 인구는 86만 명인 데 비해 같은 해 출생아는 23만 명에 불과하다. 당연히 심각한 부양 문제가 예상된다. 이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