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경에세이] 세종은 왜 모내기를 금지했나? 2023-01-10 17:36:03
간행하셨다. 그런데 이 책에서 모내기(이앙법)를 매우 위험한 농법이라고 엄하게 금지했다. 이앙법은 못자리에서 튼튼한 모만 옮겨 심을 수 있어 수확이 크게 늘어난다. 모내기 전 빈터에 보리를 키울 수 있어 이모작도 가능했다. 벼를 물속에서 줄 맞춰 키우니 잡초 뽑기도 쉬웠다. 직파법 대비 노동력 투입은 5분의 1,...
17세기 후반 이앙법 등 경작 혁신으로 자립농 늘어…노비제 해체됐지만 ‘소농경제 자립’은 20세기에나 2019-12-23 09:01:01
곧 이앙법(移秧法)이 보급됐다. 이전에는 논에 직접 볍씨를 뿌려 벼를 키우는 직파법(直播法)이 일반적이었다. 이앙법은 직파법에 비해 제초 노동을 절반으로 감소시켰다. 이에 노동력이 적은 소규모 가족농, 곧 소농(小農)의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졌다. 밭농사에서는 보리와 콩을 연달아 심는 1년2작이나 조, 보리, 콩을...
소농 자립 길 터준 17세기 경작 혁신…뿌리 깊은 노비제 흔들어 2018-11-02 17:25:11
좋은 종자가 개발됨으로써 해소됐다. 이앙법은 직파법에 비해 제초 노동을 절반으로 감소시켰다. 이에 노동력이 적은 소규모 가족농, 곧 소농(小農)의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졌다. 이앙법으로 절약된 노동은 다른 작물의 제초에 투하돼 농가의 생산구조를 다각화했는데, 이 역시 소농의 자립성을 높였다.밭농사에서는 보리와...
[책마을] 15세기 세계 과학계 휩쓴 세종의 '창조적 질문' 2018-09-13 18:23:06
했다. 그 결과 천문을 연구하고 가뭄에 대비한 이앙법 등 새 농법을 개량했다.세종은 또 ‘왜’라는 질문을 남이 아니라 자기 자신과 사물, 환경, 제도에도 던졌다. 항상 신하 또는 백성들과 대화하며 질문을 던졌고 여기서 현실의 문제와 처방을 찾았다. 저자는 이스라엘이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현대 예술로 표현한 실학자 홍대용…실학박물관 특별전 2017-09-21 15:59:46
벼농사 재배법이 이앙법으로 바뀐 조선 사회를 반영한 음향 설치물 '건곤일초이앙법'을 구상했다. 장덕호 실학박물관 관장은 "이번 특별전은 실학박물관 개관 이래 처음으로 유물을 전시하지 않고, 작품으로만 관람객들을 만나는 새로운 시도"라면서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 발맞춰 앞으로도 현대 작가와 연계해...
김병원 농협중앙회장 동행 인터뷰 "벼 직파재배 확대로 영농시간·비용 대폭 절감" 2017-05-17 17:43:41
㏊당 생산비가 677만원으로 기존 기계이앙법(752만원)보다 75만원(10%) 낮다. 노동 시간(73시간)도 95시간에 달하는 이앙법에 비해 22시간(23%)이나 적게 든다. 김 회장은 “직파는 생산비는 물론 영농 시간을 대폭 줄여 우리 농촌의 고질적 문제인 일손 부족을 해결해준다”며 “여유 시간을 과수나 밭작물...
"의림지 '어미-아들못 이중구조' 첫사례…세계유산 기준 충족" 2017-02-08 13:51:40
위한 홍수 방지용으로 축조된 뒤 수전 확대, 이앙법 발달 등으로 관개 시설로 바뀌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진은 "의림지 축조 방식은 고대 토목공법인 부엽공법(敷葉工法)을 주요 기술로 삼았으며, 소성(燒成) 과정을 통해 점토층의 견고성을 강화하는 등 1차 농업혁명의 유산도 엿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치에...
[역사 속 숨은 경제이야기] 시전상인의 독점권을 철폐한 신해통공(辛亥通共) 2016-09-02 16:35:41
매개로 하는 거래도 성행했다. 여기에 이앙법의 보급으로 농업 생산성이 증가하고,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도시 인구의 증가로 상업 발달의 기초가 마련됐다.이처럼 상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도 금난전권을 통한 상업 통제가 계속되자 이를 혁파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18세기 후반...
모내기법의 장점, 수확량 2배↑-노동력은 절반↓...조선후기부터 ‘인기’ 2016-07-01 17:10:00
농사법인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퍼지며 큰 인기를 얻었다.‘이앙법’은 모판을 만들어 볍씨를 촘촘하게 뿌리고 싹을 틔워 일정하게 자랄 때까지 키운 다음 물을 댄 논에 옮겨 심는 방법으로 조선 후기 들어 농민들이 저수지를 늘리고 수리 시설을 확충하면서 본격적으로 모내기법을 이용해 농사를...
통계는 행정의 힘…조선시대 측우기 관측서 배워라 2015-06-05 20:47:41
이앙법’이 있었다. 농경 기술이 발전하면서 물 고인 논에 모를 심는 ‘모내기’ 방식이 퍼진 것이다. 볍씨를 땅에 바로 심는 ‘직파법’보다 김매기가 쉽고 수확량도 많았다. 풍년의 관건은 모내기하는 6월에 장마가 시작되느냐였다.세종은 지방의 수령이 강우량을 관측해 중앙에 보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