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 "소비자보호 강화, 스스로 안일한 점 진단·개선" 2024-10-22 18:08:10
의견이 제도 개선으로 연결된 우수 사례 발표에 이어 진옥동 회장 및 그룹사 CEO들이 우수 개선 의견을 전달한 5명의 고객에게 감사장을 전달하는 시간이 진행됐다. 서울대 경영대학 이유재 교수가 기조강연을 맡아 고객가치 경영과 금융소비자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이어진 그룹사 직원들과의 토론 자리를 통해...
옥용식 교수, 2023년 대한민국 분야별 최다 피인용논문 기록 달성 2023-11-22 16:14:25
연구기관별로 살펴보면 경제경영 분야의 이유재 서울대 석좌교수를 포함하여 서울대학교가 6인으로 최다 선정됐으며, 성균관대는 재료과학 분야 박남규 석좌교수 외 5인, 카이스트 3인 순으로 선정됐다. 고려대학교에서는 옥용식 교수가 유일하게 선정됐으며, 한국 기업의 경우 물리 분야 삼성전자 김기남 부회장과 함께 ...
삼일회계법인, ‘제9회 삼일투명경영대상 시상식’ 개최 2023-09-21 18:08:19
이유재 서울대 석좌교수는 "기부자들은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자신의 기부금이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법인에 기부하고자 한다"며 "오늘 수상한 법인이 앞으로도 비영리 공익법인들의 신뢰도 제고에 모범이 되어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삼일미래재단은 2008년 삼일회계법인이...
"국민연금 적자 1~2년 늦춰서 될 일 아냐…구조개혁도 함께해야" 2023-06-11 18:32:04
했다. ▷이유재 서울대 경영대 석좌교수=윤석열 대통령은 연금개혁의 핵심 방향을 ‘미래세대를 위한 개혁’으로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인가. ▷조 장관=청년층은 ‘공정성’을 중시한다. 자신이 낸 만큼 받길 원한다. 청년들도 연금개혁 필요성에 공감한다. ‘덜 내고 덜 받고 싶어 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지만...
한국표준협회미디어, SK텔레콤의 고객가치 혁신을 다룬 '1등의 Secret' 출판 2023-05-29 09:00:00
있다. '고객의 탄생'을 저술한 이유재 서울대 석좌교수는 추천사를 통해 "국내 기업 중 이러한 고객가치의 의미를 경영 활동에 가장 잘 적용하고 있는 곳을 꼽으라면 SK텔레콤이 단연 눈에 띈다. 통신 서비스 회사를 넘어 끊임없이 고객가치를 연구하는 SK텔레콤의 사례를 많은 기업들이 벤치마킹하길 권한다"고...
삼일PwC·삼일미래재단, 삼일투명경영대상 공모 2023-05-08 14:00:00
공시자료를 제출한 법인이 공모에 지원할 수 있다. 기업출연법인, 종교·학교·의료법인, 역대 대상 수상 법인은 지원할 수 없다. 제9회 삼일투명경영대상의 운영위원장을 맡은 이유재 서울대 경영대 석좌교수는 "최근 동향에 맞게 발전시킨 심사 기준을 도입한 만큼 공익법인이 조직 운영과 관리를 객관적으로 점검할...
[책마을] 20대 디자이너는 왜 '80세 몸'으로 3년을 살았나 2023-03-03 18:00:00
부응하려는 노력의 결과다. 저자인 이유재 서울대 석좌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한국인 최초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미시간대에서 교수로 정년을 보장받은 경영 전문가다. 서울대 경영대학장, 한국마케팅학회장, 한국소비자학회장, 미국소비자학회 자문위원, 한국소비자원 비상임이사 등을 역임했다. 스탠퍼드대 ...
"혁신 없는 대학엔 정부 지원 못 해…폐교 쉽게 법적절차도 보완" 2023-02-26 18:44:39
▷이유재 서울대 경영학과 석좌교수=서울대도 교원이 오지 않아 충격에 빠졌다. 경영학은 경제학보다도 해외 대학과의 교수 급여 차이가 심하다. 대학 재정을 감사할 때 인건비 지출이 높으면 지적당한다. 인건비를 투자가 아니라 비용으로 보는 시각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 ▷이 부총리=대학 등록금 이슈는 지난 10년 동안...
[이유재의 경영 인사이트] 조용한 직원, 조용한 고객 2023-01-11 17:37:16
2022년 7월 동영상 플랫폼 틱톡에 올라온 짧은 영상 한 편이 세계적으로 큰 열풍을 일으켰다. 미국 뉴욕에 거주하는 엔지니어 자이들 펠린이 올린 ‘조용한 사직에 대하여(on quiet quitting)’다. 그는 “일은 삶이 아니다”, “당신의 가치는 노동 결과로 정의되지 않는다”, “허슬 문화(hustle culture)를 지지하지...
"우리 함께 무엇을 할까요"…고객은 가치 창출 공동 주체 2022-12-23 09:49:56
더 중요한 것은 소비하는 것이다. 상품의 완성은 고객이 상품을 이용할 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야 말로 상품의 가치가 실현되는 순간이기 때문이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다. ※ 한경닷컴에서 한경 CMO 인사이트 구독 신청을 하시면, 이유재 석좌교수의 글과 다른 콘텐츠를 메일로 받아보실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