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2월 서울 아파트 입주전망지수 2년 만에 최저 2025-02-13 11:37:23
5대 광역시는 57.2%였다. 서울은 82.5%로 1.1%포인트 상승했다. 인천·경기 입주율이 79.1%에서 69.9%로 9.2%포인트 하락했다. 인천은 입주 물량 대부분이 연수구에 몰려 있다. 주산연은 연수구의 적정 신규 수요의 2~3배에 달하는 과잉 공급이 이뤄져 입주율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강북 최대' 성산시영, 7월께 조합 설립…최고 49층 재건축 2025-02-12 17:50:19
최고 40층, 30개 동, 4823가구로 변모한다. 기존 마포구 내 최대 단지인 마포래미안푸르지오(3885가구)보다 1000가구가량 많다. 일반분양 물량은 590여 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용면적 66㎡대 중소형 가구가 많아 전용 84㎡를 배정받을 경우 분담금은 4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4인 가족 아니면 강남권 당첨 어려워 2025-02-12 17:49:31
방배’ ‘래미안 원펜타스’ 등이 모두 최저 당첨 가점이 69점이었다. ‘청담 르엘’은 최저 점수가 74점으로 5인 가족이 얻을 수 있는 최고 점수였다. 업계 관계자는 “강남권 아파트는 인기가 계속 높아지는 데다 일반분양 물량이 많지 않아 청약 당첨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성산시영, 오는 7월께 조합 설립…49층 재건축 추진 2025-02-12 10:30:14
40층, 30개 동, 4823가구로 변모한다. 기존 마포구 내 최대 단지인 마포래미안푸르지오(3885가구)보다 1000가구가량 많다. 일반분양 물량은 560여 가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 전용면적 66㎡대 중소형 가구가 많아 전용 84㎡를 배정받을 경우 분담금은 4억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재건축 추진·토지허가구역 해제 기대…목동 잇단 신고가 2025-02-11 17:15:20
했다. 일각에서는 재건축이 추진 중인 단지는 이번 토지거래허가제 구역 해제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목동 D공인 관계자는 “한창 허가구역 해제 기대가 컸던 지난달에 비해 분위기가 다소 가라앉았다”며 “올라간 호가가 쉽게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 소폭 반등했지만 여전히 '부정적' 2025-02-11 11:00:03
지수가 100을 크게 밑돌고 있는 것에 대해 이지현 주택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주택 가격이 하락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전국적으로 미분양 주택이 증가한 것도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이 가격엔 못 팔지"…또 '1억 급등' 들썩이는 동네 2025-02-10 15:53:11
구역 해제가 어려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점도 거래를 제약하고 있다. 목동의 D 공인 관계자는 “한창 허가 구역 해제 기대가 컸던 지난달에 비해 분위기가 가라앉았다”며 “다만 해제 기대는 계속 작용하고 있어 올라간 호가는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서울 아파트 월세 비중 44%…"높아진 전세 문턱 원인" 2025-02-10 13:52:39
한도가 축소될 수 있다. 수도권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부족도 전세값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전세 보증금 마련이 어려워지게 되면 순수 전세보다는 반전세나 월세로 전활될 수밖에 없다”며 “이른바 ‘전세의 월세화’가 당분한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
서울 아파트값 반등…강남·용산·마포가 주도 2025-02-06 17:53:38
난해 10월 이후 3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잠실 삼성 대치 청담 등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대가 반영돼 서울 집값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거래량은 여전히 위축돼 추세적 상승 전환이라고 보긴 힘들다”고 말했다. 임근호/이인혁 기자 eigen@hankyung.com
서울 아파트값 5주 만에 다시 올라…전국 하락폭 축소 2025-02-06 14:08:47
대비 보합 전환했다. 수도권(-0.01%→0.00%)은 보합, 서울(0.00%→0.01%)은 상승했다. 시도별로는 울산(0.08%), 광주(0.03%), 충북(0.03%), 부산(0.02%) 등은 상승, 경기(0.00%) 등은 보합, 대구(-0.08%), 대전(-0.06%), 제주(-0.03%), 강원(-0.03%), 충남(-0.02%) 등은 하락했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