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눈물의 여왕' 모슬희 계략, 현실서도 가능할까 [더 머니이스트-김상훈의 상속비밀노트] 2024-04-28 14:45:51
후견인)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해야 합니다. 그런데 사례에서와 같이 임의후견인 M은 자신의 사익을 위해서 대리권을 남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M이 임무에 적합하지 않은 자임을 가정법원에 어필해서 임의후견인에 대한 해임을 청구하는 것입니다(제959조의17). 임의후견인이 해임되면 임의후견은 종료하게 됩니다. 두...
상속 위한 자산관리…"마이클잭슨式 유언대용신탁 주목해야" 2022-05-29 17:02:25
사례”라고 평가했다. 임의 후견계약도 노후에 자산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됐다. 나이가 들었을 때 신상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비치면 누군가의 성년 후견 심판 청구 등으로 원치 않는 사람이 후견인으로 지정될 수도 있어서다. 임의 후견은 자신의 재산 관리와 신상 보호에 관한 사무를 다른 사람에게 위탁하고...
부모님이 치매로 의심된다면…성년후견인 지정 생각해보자[더 머니이스트-정인국의 상속대전] 2022-05-19 07:29:50
대비해서, 자신의 사무처리를 맡을 후견인을 미리 지정하는 것이지요. 다만 임의후견계약은 그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해 공정증서로 체결해야 하고 등기까지 필요합니다. 계약 체결 후 혹시 모를 위조나 변조를 방지하고 계약사항을 객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서 분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지요. 임의후견계약을...
김수환 상속전문변호사 "혼외자로서 상속 자격을 인정받고 싶다면 인지청구권 활용" 2021-08-06 10:38:04
`임의인지`와 피인지자의 소송을 통한 `강제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부 또는 모가 임의인지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혼외자가 스스로 인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데, 이처럼 인지청구권은 포기할 수 없는 권리이며, 부 또는 모가 생존해 있는 한은 제소기간의 제한도 없다. 다만, 부 또는 모가 사망한 경우에는 그...
구하라법 제정·미혼부도 출생 신고…법무부 "1인 가구 위한 법제도 개선" 2021-03-09 17:45:50
1인 가구를 보호하기 위한 임의 후견제도 활성화 방안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임의후견 제도는 치매나 고령 등으로 의사 판단 능력이 흐려질 때를 대비해 자산을 관리할 후견인을 지정하는 절차다. 법무부는 “임의후견 제도는 2013년 도입됐지만 신청이 저조한 상황”이라며 “표준계약서 도입, 홍보 확대 등을 검토하고...
'사공일가' TF 발족한 법무부…'1인가구' 위한 법 개선 나선다 2021-03-09 16:04:23
후견제도 활성화 방안도 들여다볼 계획이다. 임의후견 제도는 치매나 고령 등으로 의사 판단 능력이 흐려질 때를 대비해 자산을 관리할 후견인을 지정하는 절차다. 법무부는 "임의후견 제도는 2013년 도입됐지만 실제 신청은 저조한 상황"이라며 "1인 가구를 보호할 수 있는 임의후견 제도확대를 위해 표준계약서 도입, ...
[취재수첩] 성년후견인 분쟁, 남의 일 아니다 2021-02-08 17:48:44
성년후견인 선임 문제를 놓고 다투게 됐다. 이런 갈등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에, 즉 피상속인에게 정신질환이 발생하기 전 미리 정리하는 것이다. 법조계에선 “내가 정신을 잃는다면 누가 후견인이 돼 이런 권한을 행사하게 하라”고 미리 계약을 체결하는 방법을 조언한다. 이를 ‘임의후견’이라고...
부동산·증시 활황에 "상속 대비하자"…로펌 문의 '봇물' 2020-12-13 17:48:03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임의후견에 대한 자문도 늘고 있다. 임의후견은 정신질환 등이 발생하기 전에 “내가 정신을 잃는다면 이런 사람이 후견인이 돼서 이런 권한을 행사하게 하라”고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뜻한다. “국제법 연구도 중요”국경을 뛰어넘는 ‘크로스보더’ 이슈도 대표적인 쟁점 중 하나다....
상속전문변호사, “빚의 대물림 방지 위한 한정승인제도 꼭 알아둘 것” 2020-10-08 15:07:40
정지, 조부모 등 위탁양육자 미성년후견인 선임, 아동의 상속포기 또는 상속한정승인 등의 법률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법무법인 한중의 홍순기 상속전문변호사는 “빚의 대물림 방지에 관한 법률이 바로 상속한정승인제도”라며 “망인이 사망한 날부터 3개월 이내 진행하는 것이 원칙이라 자칫하면 법적 대응 시기를...
한국타이어 분쟁 본격화?…장남도 "아버지 후견심판 참여하겠다" 2020-08-25 12:22:42
능력이 지속해서 결여된 성인에게 후견인을 지정해 주는 제도다. 법정후견과 임의후견으로 구분되며, 이 가운데 법정후견은 정신적 제약 정도와 후견 범위에 따라 성년후견·한정후견·특정후견으로 나뉜다. 한정후견은 사무처리 능력이 부족한 경우로 일부분에서 후견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hanajjang@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