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사이테크 플러스] "2차원 자성물질 내 전자 얽힌 상태로 존재…새 양자상태 발견" 2020-07-20 14:00:01
연구진은 2차원 반데르발스 자성물질인 삼황화인니켈(NiPS₃)에 흡수된 뒤 다시 방출되는 빛을 측정하는 광방출시험을 통해 파장 여러 개의 주파수와 파형이 일치해 증폭되는 '결맞음'(coherence)이 강한 빛 신호를 발견했다. 2차원 반데르발스 물질은 그래핀 등처럼 층 사이가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불리는 약한...
반도체 세상 만들었던 '전자공학' 대체하는 '스핀트로닉스'가 온다 2020-01-19 12:00:02
생기는 느슨한 결합이다. 따라서 반데르발스 물질 내 층 간 결합을 선택적으로 깨뜨리면, 단일 원자층으로 이뤄진 2차원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데르발스 자성체에 대한 연구가 최근 세계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다. ‘꿈의 신소재’ 그래핀도 반데르발스 물질 가운데 하나다. 연구팀은 기존에 알려진 ...
국내 연구진, '기묘한 물질' 비밀 푸는 열쇠 찾았다 2019-01-21 22:52:07
시료의 자성을 관찰하기 위해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copy)을 활용했다.연구팀은 이를 기반으로 원자층의 개수에 따른 자성 변화를 살핀 결과 수 원자층 두께의 시료에서 관찰되던 자기 상전이가 단일 원자층 시료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점을 확인했다. 2016년 노벨물리학상의 주요 내용인 xy모델을 따르는 물질을 2차원...
이론에만 있던 `기묘한 물질`, 국내 연구진이 규명했다 2019-01-21 21:23:41
게 힘든 데다 얇은 물질이 가지는 미세한 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삼황화린니켈을 이용해 단일 층 자성 물질을 만들었다. 삼황화린니켈은 층상구조를 가진 물질로, 점착(粘着) 테이프를 반복해 붙였다 떼어내면 원자 한 층 두께 시료를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급 두께를 가진 시료...
국내 연구진이 이론에만 있던 '기묘한 물질' 규명했다 2019-01-21 19:00:01
게 힘든 데다 얇은 물질이 가지는 미세한 자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삼황화린니켈을 이용해 단일 층 자성 물질을 만들었다. 삼황화린니켈은 층상구조를 가진 물질로, 점착(粘着) 테이프를 반복해 붙였다 떼어내면 원자 한 층 두께 시료를 만들 수 있다. ㎛(마이크로미터)급 두께를 가진 시료...
[사이테크 플러스] 저전력으로 자성메모리 고속작동 구현하는 신소재 개발 2018-12-06 12:00:51
동작은 자성층의 두께가 1㎚(나노미터=10억분의 1m) 정도일 때 가능하고, 자성층 두께가 두꺼워지면 전류가 소재 표면에서 소실되면서 전력 소모가 급증, 두꺼운 자성층을 스위칭시킬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경진 교수는 "수개월 안에 해외에서 얇은 자성층을 이용한 자성메모리가 처음으로 상품화될 것으로 안다"며...
'스스로 자성 갖는 새 위상물질' 첫 발견 2018-07-24 12:00:12
위상 부도체처럼 자성을 띄지 않는 게 대부분이다. 그런데 위상물질이면서 외부 자기장 없이 스스로 자석이 되는 성질(강 자성)을 띤 위상 강자성체가 국내 연구진에게서 처음 발견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철(Fe)과 게르마늄(Ge)이 결합한 층 사이에 텔루륨(Te)이 껴 있는 'Fe₃GeTe₂'이 강자성과 위상성질을...
포스코청암상에 황철주 주성엔지니어링 대표 등 4명 2018-02-07 13:00:00
1세대의 대표주자이다. 2002년 반도체 원자층 증착장비, 2012년 반도체 공간분할 플라스마 원자층 증착장비를 개발, 세계 최초로 양산라인에 적용해 국내 반도체 장비시장의 경쟁력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렸다고 포스코청암재단은 설명했다. 손 교수는 그래핀 나노리본이 전기장으로 자성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론적인...
자성반도체 핵심소재 '2차원 자성원자층' 구현 2016-03-17 13:21:01
얻었는데 이런 산화물 기반 자성원자층은 원자 치환 등 기술적 응용이 힘들어상용화가 어려웠다며 이 연구는 2차원 자성원자층을 삼황화린니켈 덩어리에서 기계적으로 박리해 구현한 것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삼황화린니켈 자성원자층은 자성원소인 니켈을 다른 강자성 원소인철(Fe), 코발트(Co)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