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신라젠 BAL0891 혈액암으로 적응증 확대 나서 2025-02-12 10:00:13
겪고 있어 분열 기전을 직접 표적하는 신규 작용기전 약물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신라젠은 이번 IND 변경 승인이 완료되면 재발성·불응성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를 대상으로 초기 임상을 시작하고 용량 및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할 예정이다. 신라젠의 BAL0891은 기존 항암제와 다른 이중억제 기전을 보유한...
오름테라퓨틱 “SAE 발생 DAC 문제 아냐, BMS 기술이전 물질 임상 속도” 2025-01-13 10:02:45
페이로드와 항체 모두 완전히 다르게 설계해 차별화된 작용기전(MoA)으로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며 “ORM-5029은 임상 1상에 엔허투 내성 환자의 모집도 포함돼 있다”고 했다. ORM-5029의 링커는 Val-Cit PABc을 사용했다. Val-Cit PABc은 FDA의 허가를 받은 11개 ADC 중 4개가 사용하고 있다. 1세대 ADC...
아리바이오 AR1001, 英 글로벌데이터 기대되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선정 2025-01-09 09:58:03
임상적 점수는 효능, 안전성 및 내약성, 작용기전, 투여 빈도 및 경로, 임상 데이터의 공개 정도가 기준이며, 상업적 점수는 목표 환자군, 경쟁 정도, 기업의 평판, 치료 비용, 기업의 마케팅 영업 역량, 8개 주요 시장 출시 가능성이 평가항목이다. 아리바이오는 국내 기업으로 유일하게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글로벌 임상...
자이메디 신약 후보물질, 국가신약개발사업 우수과제 선정 2024-12-11 17:26:28
ZMA001의 작용기전과 기술을 검증해 발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김성훈 대표는 "지금까지 폐동맥 고혈압 치료는 혈관확장제나 혈관 내피세포의 리모델링 등을 통해 혈압을 조절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며 “지금까지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인 염증유발 인자를 직접 치료해주는 사례는 없었으며 ZMA001가 기존...
GC녹십자-동아에스티, 만성염증 신약개발 후속 공동연구 2024-12-09 11:17:15
대한 작용기전(MOA)을 추가 확인하고 전임상 모델에서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mRNA를 합성하고, 특정 조직에 전달 가능한 LNP(지질나노입자, mRNA 전달 역할)를 스크리닝, 최적화할 계획이다. 동아에스티는 도출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동북아 임상 3상 발표…허가 신청 계획 2024-12-09 11:17:07
작용기전을 규명해 기존 항경련제와의 차별성을 확인한 연구, 초기 발작완전소실 달성을 위한 용량 사후 분석을 통해 환자별 용량 최적화 가능성을 시사한 연구, 반응성 신경자극(RNS)에서 발생하는 뇌전증파(EE)에 대한 세노바메이트의 효과 등을 확인한 연구 등이 포함됐다.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은 “세노바메이트는...
GC녹십자·동아에스티,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약 공동연구 2024-12-09 09:47:08
동아에스티는 GC녹십자가 도출한 mRNA-LNP 물질의 작용기전을 밝히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은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만성염증질환 분야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양사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각 사의 역량과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것"...
"세노바메이트, 한중일 뇌전증 환자 대상 임상적 유효성 입증" 2024-12-09 09:35:22
작용기전을 규명해 기존 항경련제와의 차별성을 확인한 연구, 초기 발작완전소실 달성을 위한 용량 사후 분석을 통해 환자별 용량 최적화 가능성을 시사한 연구, 반응성 신경자극(RNS)에서 발생하는 뇌전증파(EE)에 대한 세노바메이트의 효과 등을 확인한 연구 등이 포함됐다. SK바이오팜 이동훈 사장은 "세노바메이트는...
[분석+] 美 알츠하이머 치료제 임상 잇달아 실패…치매 신약 개발 먹구름 2024-11-26 17:51:07
레켐비나 키순라(도나네맙)와 다른 작용기전으로 작동하며 먹는 약이어서 업계의 기대를 받았던 신약 후보물질이다. 알츠하이머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독성 단백질(아밀로이드)을 제거하는 레켐비 및 키순라와 달리 시무필람은 치매 진행 과정에서 손상된 ‘필라민A’라는 단백질의 구조를 정상화하는 저분자화합물로 설계됐...
KIST "극한 환경서 유해가스 검출 가능한 고분자센서 개발" 2024-11-07 12:00:04
어려웠다. 이에 연구팀은 이온성 작용기 그룹을 고분자 구조에 도입해 독성 용매가 아닌 친환경 용매에서도 쉽게 용해될 수 있는 고분자를 개발했다. 이 고분자는 이온 종과 전자적 전하 운반체를 결합해 전하 운반체 밀도를 높여 전도성을 키웠으며, 여기에 연구팀은 고분자 구조를 유해가스인 이산화질소를 검출하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