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유리지갑'에 기댄 나라곳간…반도체 불황에 세수기반 '흔들' 2025-02-17 06:01:11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잠재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하는 점도 법인세수 외 세수 대안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힘을 싣는다. 세수 기반 확보 대안으로 소비세인 부가가치세 개편 목소리가 끊이지 않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하지만 인플레이션 우려, 부자들의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은 소득 ...
서울역까지 단 10분…"분양가 7억 괜찮네" [우동집] 2025-02-13 18:05:01
60㎡ 이하 일반공급 신청자는 부동산과 자동차 소득기준을 충족하시면 됩니다.] 공공분양을 진행하는 S5블록과 S6 블록의 경우 특별공급 유형이 많고 물량도 많은데, 특히 신혼부부가 유리합니다. 맞벌이 신혼부부라면 월 평균 소득이 1,400만원이어도 접수가 가능하고요. 특공과 일반공급 모두 신청할 수 있고, 부부 간...
"AI 잘 쓰면 韓 GDP 최대 13%↑…근로자 24% 혜택·27%는 대체" 2025-02-10 12:00:02
개선되고 국내총생산(GDP)도 4.2∼12.6% 늘어날 잠재 가능성이 있다. 고령화·저출생에 따른 노동 공급 감소가 2023∼2050년 한국 GDP를 16.5% 깎아내릴 것으로 추정되는데, AI가 성공적으로 생산성과 산출을 늘리면 이 감소 폭도 5.9%까지 줄일 수 있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은은 AI의 노동시장 영향도 직업별 AI...
[마켓人] 최민규 한투운용 글로벌주식담당 "미국 나홀로 호황 1~2년 더 지속" 2025-01-20 06:05:01
이끌 여력이 크다는 점이다. 미국은 민간의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부채가 다른 국가보다 낮아, 민간 부문이 경제를 주도할 잠재 능력이 충분하다. -- 이런 미국 예외주의는 언제까지 지속될까. ▲ 정확히 예상하기는 힘들지만, 당분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독주를 견제할 국가가 마...
[강진규의 데이터 너머] 1%대 저성장 시대, 어떻게 봐야할까 2025-01-14 17:34:03
잠재성장률에 크게 못 미치는 1%대 초반으로 내려가면 경제는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경제 주체의 심리를 회복하는 일도 더 어려워진다. 정부가 단기적 부양책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한은이 이례적인 3연속 금리 인하 카드까지 배제하지 않고 고민해야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중장기적으로는 구조개혁이...
쌓여가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2025-01-12 10:25:55
소득이 감소했다는 사실을 깨달은 노동자들은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임금의 인상을 원할 것이다. 역시 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높이는 요인이다. 그리고 향후 노동자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면 인적자본보다 금융자산에 대한 과세가 증가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금융투자소득세 논의도 거시경제적으로는 이러한 흐름 속에...
[토요칼럼] 한국은 엄두도 못낸 아르헨식 '밸류업' 2025-01-10 17:50:22
단순 비교하기엔 무리가 있다. 경제 규모와 소득 수준, 재정 여건이 모두 다르다. 밀레이 대통령의 개혁 조치는 더 이상 미룰 수 없을 정도로 병이 깊어진 상황에서 나온 극단적 처방이라고 봐야 한다. 개혁이 성공했다고 결론 내기도 아직은 이르다. 그러나 연 2% 이하로 떨어진 잠재성장률, 초저출산과 급속한 고령화,...
[5대 금융회장 전망] "성장률 1% 중후반…환율 상반기까진 1,400원대" 2025-01-05 06:01:03
성장률이 잠재성장률(2.0%)에 못 미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한은(1.9%), 정부(1.8%)보다 낮거나 비슷하다. 이들은 공통으로 트럼프 2기 수출 약화 가능성과 정치적 불확실성에 따른 내수 위축을 성장 둔화 요인으로 꼽았다.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글로벌 교역이 둔화하면서 수출이...
韓 경제 골든타임! 딱 3개월 남았다! 정국 혼란 장기화, ‘GKE와 신용등급 강등’ 부른다! [한상춘의 지금세계는] 2025-01-03 07:55:44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요. 현재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 기반은 어떤 상황입니까? - 韓 경제 조로화, 저성장 국면 고착화 가능성 - 1인당 국민소득, 2022년 이미 대만에 추월당해 - 작년 2분기 이후 성장률, 사실상 ‘제로’ 국면 - 중장기 성장기반, 잠재성장률 0%대로 추락? - 인구, 저출산과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른 나라...
韓서비스업 노동생산성 세계 바닥 수준…'비용질병' 낳았다 2025-01-02 18:03:19
생산성을 둔화시키면서 잠재 성장률도 끌어내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월부터 10월까지 서비스 수지는 190억달러 적자를 냈다. 같은 기간 상품수지가 780억달러 흑자를 낸 것과 비교된다. 경상수지는 상품·서비스·본원소득·이전소득 수지로 나뉜다. 서비스 수지는 2000년부터 2023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