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장보고기지 지난달 최고기온 8.1도…역대 1월 중 최고" 2025-02-14 09:17:43
"장보고기지 지난달 최고기온 8.1도…역대 1월 중 최고"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극지연구소는 남극장보고과학기지의 기온이 지난달 8.1도까지 올라 역대 1월 중 가장 높았다고 14일 밝혔다. 직전에 기록한 1월 최고 기온은 지난 2021년의 6.7도다. 지난달 일 최고 기온이 7도를 웃돈 일수는 나흘이었다....
혁신본부장 "지속적 극지연구로 경제적 이용개발 토대 기대" 2024-11-21 14:00:15
류 본부장은 간담회가 끝난 후 남극 장보고기지 홍상범 월동연구대장과 통신 연결을 통해 월동연구대원 노고에 감사를 표했다. 또 기지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지원 의지를 밝혔다고 과기정통부는 전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남·북극은 기후변화 연구 최전선…먼 나라 얘기 아니다" 2024-11-11 17:44:52
지냈다. 2011년에는 제24차 남극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대장으로 근무했다. 신 소장은 “극지방 빙하와 퇴적물, 생물 환경 등에는 지구 전체 기후와 육상 생태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보가 많다”며 “해양생물을 공부하면서 해양 환경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극지 생태계에 관심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극지...
남극 가는 대구기계부품연구원…한달간 탐사 로봇 '극한 테스트' 2024-10-09 17:31:26
송규호)이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 간다. 극한 환경에서 탐사용 로봇의 시스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다. DMI는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3개 부처 연계 협력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에서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 이동체의 시스템 성능 평가를 한다고 9일 발표했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이 남극으로 가는 이유는 2024-10-08 10:45:16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를 간다. 극한지 개발및 탐사용 로봇의 시스템 성능평가를 위해서다. 대구기계부품연구원(원장 송규호, DMI)은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이하 해수부, 과기정통부, 산업부) 등 3개 부처 연계 협력사업인 「극한지 개발 및 탐사용 협동이동체 시스템 기술 개발 사업」을...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1년 여정 시작 2024-10-07 11:00:00
남극과학기지 월동연구대 발대식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남극의 세종과학기지 제38차 월동연구대 18명과 장보고과학기지 제12차 월동연구대 18명의 연구 활동을 응원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이들은 남극 하계 기간인 다음 달부터 내년 12월까지 약 1년 동안 남극 현장 연구와 기지 운영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한국, 2030년 남북극 극지학술대회 연다…개최국으로 첫 선정 2024-09-23 23:00:01
설명했다. 남극연구과학위원회와 국제북극과학위원회는 지난 2022년 12월부터 진행된 개최지 선정 과정에서 유치 의사를 밝힌 우리나라와 스위스, 스웨덴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투표를 거쳐 우리나라를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우리나라는 '얼어붙은 최전선, 함께 여는 내일 : 지구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협력'이라는...
극지연구소, 남극서 극한지 관측 시스템 실증 성공 2024-05-02 09:43:06
12월 장보고과학기지 인근 관측 거점에 자체 개발한 관측 장비와 극한지 로봇을 극한지 사물인터넷 통신 장비에 연결하고 시스템이 잘 운영되는지 두 달간 감시했다. 연구팀은 관측자료의 실시간 수집 여부와 전송 속도, 배터리 수명 등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테스트 결과 스마트관측 시스템은 극한지 사물인터넷 통신을...
우리나라 극지 연구 싱크탱크 '극지연구소' 설립 20주년 2024-04-15 14:51:54
세종과학기지, 2002년 북극 다산과학기지가 문을 열었으며, 극지연구소가 설립 이후 이들 기지를 관리 운영하고 있다. 극지연구소는 국내 최초 쇄빙연구선 아라온호(2009년)와 남극대륙의 첫 번째 기지 장보고과학기지(2014년)를 만들면서 활동 무대를 크게 넓혔다. 기후변화 대응과 미래가치 발굴, 지구 형성의 역사 복원...
극지연구소, 우리 기술로 3천500m 두께 얼음 탐사 2024-03-05 11:05:51
장보고과학기지와 약 1천300㎞ 떨어져 있다. 경비행기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개발된 빙하 레이더는 헬기를 사용했을 때보다 탐사반경이 6배 이상인 1천500㎞까지 늘어났다. 총탐사 거리는 2천800㎞ 레이더로 확인한 빙하의 평균 두께는 3천m에 달했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4년간 연구 끝에 최대 4천m 깊이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