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깜빡하고 '이것' 안 냈다가…몰랐던 세금에 '날벼락' 2025-02-15 19:09:36
기타소득 등이 매월 수집되는 자료다. 이 자료는 사회적 취약계층이 고용보험이나 재난지원금 등의 복지혜택을 받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일용근로소득과 인적용역 사업소득, 인적용역 제공자의 명세서를 매월 지급하는 제도는 2021년 7~11월 시행됐다. 국세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매월 평균 92만9000명의 사업자가...
법원 "코로나로 연금보상비 제외한 군인연금 급여 산정 위법" 2025-02-10 10:20:52
정부는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긴급재난지원금 예산 확보를 이유로 연가보상비 예산을 삭감했다. 이에 따라 A씨를 포함한 군인들은 해당 연도의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지 못했다. 이후 A씨는 2021년 7월 퇴직금을 받았지만, 연가보상비가 포함되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같은 해 9월 군인재해보상연금재심위원회에...
송석준 "전 국민 25만원=13조원…이재명 홍보비 전락 우려" 2025-01-22 10:46:06
25만원 재난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 지역화폐법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히자 "이 대표의 '선심 쓰기' 개인 홍보비로 전락할 우려가 있다"고 22일 비판했다. 송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1극 체제 민주당이 지역화폐 형태로 전 국민 25만원을 지급하는 추경 편성을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가성비 최악인데"…'이재명式 추경'에 갸우뚱한 기재부 [관가 포커스] 2025-01-20 07:27:56
가계의 씀씀이가 늘지 않는 것도 이 같은 재난지원금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를 뒷받침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가계의 평균소비성향(가처분소득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69.4%로 전년 동기보다 1.3%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성향이 하락하는 만큼 재난지원금이 소비로 전환하는 효과가 크지...
'포퓰리즘 열차' 한발 올라탄 韓…장기불황 터널로 달려가나 2025-01-06 17:41:03
임금 인상을 통한 소득 재분배, 장기적으로 급격한 물가와 실업률 상승 촉발 등이다. 공공부문 고용 증가와 최저임금 인상 등이 포함된 문재인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정기적으로 일정한 돈을 지급하는 ‘기본소득’과 ‘안심소득’ 등도 이 같은 범주에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중소기업인들 한자리에…"민생입법·경제정책 차질 없이 해달라" (종합) 2025-01-03 14:15:33
영세소상공인 점포에서 사용하는 신용카드 금액 소득공제율을 30%로 상향, 설 기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할인율을 15%로 높이는 방안 등도 언급했다. 최 대행은 또 "중소기업이 건의하면 신속히 응답하는 '중소기업 익스프레스 핫라인'을 이달부터 즉시 가동할 예정"이라며 "국회와 긴밀히 소통해 중소기업과...
올해부터 야간산불 진화 '5분 대기조' 운영한다 2025-01-02 17:01:53
재난의 대형화를 막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올해의 산림정책이 집중된다. 또한, 임업인의 산림소득 지원품목 확대와 재배시설 현대화를 통해 산림경영 활성화를 돕는다. 산림청이 최근 '2025년 달라지는 산림정책'을 발표했다. 올해 산림정책의 목표는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와 '임업인 삶의...
한국인의 문화 유전자와 리더십이라는 돌연변이를 기다리며[2025키워드, 한국인①] 2025-01-01 06:50:02
큰 사회적 변혁기이거나 국가적 재난의 시기였다. 이를 극복한 원동력은 대가를 바라지 않고 국가와 공동체를 위해 기꺼이 나선 이름 없는 시민들이었다. 누군가는 이들을 보며 ‘의병(義兵)’이란 단어를 떠올렸다고 했다. 영어로는 제대로 번역할 단어도 없는 의병. ‘army raised in the cause of...
결혼·출산 稅혜택 강화…최저임금 1만원선·병장 월급 150만원 2024-12-31 10:00:01
가구 소득상한금액(연 3천800만원)을 단독가구 소득상한금액(연 2천200만원)의 두배 수준인 연 4천400만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기업이 근로자(친족인 특수관계자 제외)에게 지급한 출산지원금에는 근로소득을 전액 비과세한다. 출생일 이후 2년 이내 최대 2회까지 적용된다. 육아휴직 급여액은 육아휴직 기간에 따라 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