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권성동 "민주당 폭거에 비상계엄…이런 야당은 없었다" [종합] 2025-02-11 10:55:55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반도체 특별법과 전력망 특별법 통과도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반도체와 전기가 부족한데, 어떻게 첨단 산업을 육성합니까? ‘쌀 없이 밥 짓겠다’는 거짓말입니다. 대한민국 조선업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도 우리 조선업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우리 조선업계가 미 해군...
崔 "내년 정원 제로베이스"…전공의·의대생엔 "미안한 마음"(종합) 2025-01-10 18:28:47
"내년 정원 제로베이스"…전공의·의대생엔 "미안한 마음"(종합) 사회분야 1차 업무보고…"사회부총리 중심, 전공의·의대생 복귀조치 적극 검토하라"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기자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의료계가 대화에 참여해 논의해나간다면 2026년 의과대학 정원 확대 규모도...
崔대행 "의료계 대화 참여해달라…내년 정원, 제로베이스 협의" 2025-01-10 16:00:03
"작년 2월 의대증원 발표 이후로 전공의 선생님들의 이탈이 장기화되면서 국민 여러분께서 걱정과 불편을 겪고 있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어려움 속에서도 현장을 지키는 의사와 간호사 등 의료인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를 중심으로 복지부·병무청 등 관계부처에는 전공의와...
[사설] 정국 혼란에 고용 한파까지, 경기 부양 서둘러야 2024-12-11 17:26:58
상환비, 전공의 지원비, 장병 인건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비 등이 뭉텅이로 깎였다. 가뜩이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데 경기 대응이 어렵게 됐다. 소비심리를 되살리고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해선 추가경정예산을 서둘러야 한다. 반도체특별법, 고준위방폐장법 등 민생경제 법안도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 이재명 민주당...
뉴욕증시, 엔비디아 실적 앞두고 강보합…국회 전세사기법 처리 [모닝브리핑] 2024-08-28 06:52:11
피해자 지원 및 주거안정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과 '구하라법' 등 민생 법안들을 처리합니다. 22대 국회 개원 이후 여야가 합의로 본회의에서 민생 법안을 처리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전세사기특별법은 전세사기 피해자 인정 범위를 확대하고 해당 주택을 피해자에게 공공임대로 최대 20년간 제공하는...
박단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의지 있나”...의협 “거수기 역할 뿐” 2024-07-23 18:21:30
비대위원장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의지가 있다면 정부가 전공의 특별법 시행령상 다른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보건복지부가 입법 예고한 것은 전공의 특별법 시행령 제7조 제1항 제6호상 3명을 5명으로 개정한다, 즉 ‘수련환경평가에 관한 전문가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하는 자’...
'어디 맛 좀 봐라'…의대 증원 의견 냈다고 집단 '신상털기' 2024-05-14 14:59:01
거부 의사를 밝혔다. 전공의대표인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회장은 전날 자신의 SNS에 "배정심사위원회 명단도 공개하시죠. 기자들이 많이 기다릴 겁니다"라는 글을 올렸다. 박 차관은 "(명단 비공개는)위원들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보호하고, 향후에도 관련 위원회에서 자유로운 토론이 보장되도록 하기 위한...
김선민 전 심평원장 "'사회권 선진국' 위해 조국혁신당 합류" [인터뷰] 2024-04-05 17:27:13
윤 대통령이 전공의들과 대화에 나서는 등 유화적 제스처를 취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는데. "저는 유화적 스탠스를 취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선 대통령이 담화문을 발표했으면 담화문에 대화하려는 의지를 강력하게 표명했어야 한다. 50여분 동안 발표한 내용엔 대화하겠다는 것보단 왜 2000명이 틀림없는 것인지...
환자들 팽개치고 '투쟁'…집회현장 몰려간 의사들 2024-03-03 18:31:47
딴 뒤 2~3년간 대학병원에 남아 추가 세부 전공기술을 익히며 환자를 돌보는 의사다. 외과 전문의라면 대장·항문, 간이식, 유방, 신장 등의 분야를 택해 추가 기술을 배운다. 전공의처럼 ‘피교육자’와 ‘근로자’ 사이 모호한 신분이지만 주 80시간으로 최장 근무 시간을 제한한 ‘전공의 특별법’ 적용을 받지 않는다....
[천자칼럼] 전공의의 자가당착 2024-02-20 17:58:31
7000만원 안팎으로 의사 평균에 훨씬 못 미친다. 전공의 생활은 빡빡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매일 새벽같이 출근해 밤늦게까지 환자를 돌본다. 평일·주말 당직을 서야 해 야근을 밥 먹듯 하고 잠도 제대로 못 잔다. ‘전문의 특별법’은 주당 최대 88시간까지만 근무를 허용하고 36시간 이상 연속 근무(응급상황은 40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