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팩트체크] 항공기 블랙박스는 검은색이 아니다? 2025-01-06 07:20:00
등을 저장한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모든 여객기엔 FDR는 25시간 이상, CVR는 2시간 이상을 기록하게 돼 있다. 이에 따라 통상 FDR는 작동이 멈추기 전 또는 사고 발생 전 25시간, CVR는 2시간 분량의 자료를 저장한다. ◇ 비행기 추락과 화재에 견딜 수 있게 설계 블랙박스는 사고 원인 규명이란 취지에 부합할...
'서울 3호선 감전 사망사고' 서울교통공사에 과징금 3억6천만원 2024-10-21 06:00:04
위반 사항을 발견했다. 해당 작업자는 전기실 고압배전반 스티커 부착 작업을 수행하던 중 감전으로 사망했다. 심의위는 공사 내규에 따라 전기실내 배전반 작업을 할 때 작업 범위 내 모든 전기설비를 단전해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일부만 단전했고, 고전압 전선을 취급할 때 절연장갑 등 장비를 착용해야 하는데도 공사가...
대통령실 "신한울 3·4호기 건설 허가, 원전 산업 재도약 계기" 2024-09-12 18:38:21
4호기는 전기출력 1,400MW 용량의 가압경수로형 원전으로, 경북 울진에 건설될 예정이었지만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건설이 중단됐다. 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 2022년 7월 5일 국무회의를 통해 ‘새 정부 에너지 정책 방향’을 의결했으며, 한수원의 신청에 따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2022년 8월부터 원전...
"돈 3배 넘게 주고 사게 생겼다"…'날벼락' 맞은 직구족들 2024-05-17 16:36:01
해외 직구를 차단하기 위해 어린이제품법, 전기생활용품 안전법, 화학제품 안전법 등 관련 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해외 플랫폼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특허청·관세청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차단 시스템을 이달 중 도입한다. 연내 상표법 개정을 통해 플랫폼 기업이 가짜 ...
발암물질 쇼크…'알·테·쉬 직구' 브레이크 걸렸다 2024-05-16 18:54:40
전기·생활용품 34개 품목도 해외 직구가 불허된다. 살균·소독제, 살충제, 기피제 등 생활화학제품 12개 품목도 KC인증을 받아야 수입할 수 있다. 정부는 이들 제품의 해외 직구를 차단하기 위해 어린이제품법, 전기생활용품안전법, 화학제품안전법 등 관련 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법 개정 완료 전이라도...
"KC인증 없으면 해외직구 안돼"…알리·테무에 칼 빼든 정부 2024-05-16 12:00:14
품목, 화재 및 감전 등 안전사고 발생 우려가 큰 전기·생활용품 34개 품목, 가습기용 소독·보존제 등 생활화학제품 12개 품목 등 총 80개 품목의 경우 KC인증 없이 해외직구를 금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중 어린이제품법, 전기생활용품안전법, 화학제품안전법을 개정할 계획이다. 해외직구 차단 대상 품...
원자로 조종 면허 6년마다 갱신…면허 대여시 1년 이하 징역 2024-03-14 17:02:01
1년 이하 징역 갱신 요건도 강화…원자력안전법 시행령·규칙 일부개정안 의결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원자로 운전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원자로 조종 면허 유효기간을 6년으로 정하고 갱신 요건을 강화한다. 또 면허증을 대여하거나 거짓으로 면허를 취득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신월성2호기 전출력 100% 도달 2024-03-10 23:12:03
도달했다고 밝혔다. 신월성2호기는 올해 1월1일 계획예방정비에 들어갔다. 정비를 마친 지난 6일 오후 9시13분께 발전을 재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월성2호기는 계획예방정비 기간 원자력안전법과 전기사업법에 따른 법정 검사와 원전 연료 교체, 원자로 건물 종합누설률 시험 등 각종 기기 정비와 설비개선을 해...
집중호우땐 어쩌나…제방 등 하천시설 20곳 '안전등급 최하'(종합) 2024-01-30 15:28:19
댐의 44.9%(62개)가 30년을 넘겼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안전 등급이 부여되는 시설물 중 99.2%(9만3천7개)는 보통 이상을 의미하는 A∼C등급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A등급(우수)이 4만7천197개(50.3%)로 가장 많았고, B등급(양호) 3만5천453개(37.8%), C등급(보통) 1만357개(11.1%)다. D등급(미흡)은 694개(0.7%),...
전국 인프라의 25%, 30년 넘긴 노후시설…'안전등급 최하' 69개 2024-01-30 11:00:15
댐의 44.9%(62개)가 30년을 넘겼다. 시설물안전법에 따라 안전 등급이 부여되는 시설물 중 99.2%(9만3천7개)는 보통 이상을 의미하는 A∼C등급으로 관리되고 있었다. A등급(우수)이 4만7천197개(50.3%)로 가장 많았고, B등급(양호) 3만5천453개(37.8%), C등급(보통) 1만357개(11.1%)다. D등급(미흡)은 694개(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