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달도 안돼 막힌 딥시크…높은 '가성비'에도 보안 우려에 제동 2025-02-17 16:33:31
등 기본 정보 외에도 인터넷 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키 입력 패턴까지 수집한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특히 중국에 위치한 딥시크 서버에 이 같은 이용자 정보가 전송된다는 점이 데이터 악용 우려를 키웠다. 딥시크가 톈안먼(天安門) 사태 등 중국 정부가 민감하게 여기는 사안에 대한 답변을 거부하는 현상이 나타나...
국내 반도체 시장, HBM과 CXL 기술 성장세 뚜렷 2025-02-17 13:51:43
고대역폭 메모리로, 기존 DRAM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자랑한다. 또한 CXL은 CPU와 GPU, 가속기 등 여러 장치를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연결해 메모리 대역폭과 용량을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장점들로 인해 HBM과 CXL은 현재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에...
[팩트체크] 중국산 '딥시크 포비아' 왜 생겼나? 2025-02-17 07:20:00
서버에 저장한다지만…중국 전송 의혹 여전 틱톡의 미국인 사용자 정보가 중국으로 전송된다는 의혹은 이후에도 이어졌다. 버즈피드뉴스는 2022년 6월 18일 기사에서 유출된 틱톡 내부 회의 녹음 자료를 토대로 이 문제를 심도 있게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사업체 매각 등을 운운하며 압박하자 틱톡은 미국인 사용자 정보를...
"개인정보 유출될까봐 무서워요"…딥시크 사용량 반토막 2025-02-09 14:37:55
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키 입력 패턴까지 수집한다고 밝혔다. 즉 웹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딥시크를 사용할 경우 개인정보가 실시간으로 딥시크 측 서버에 전송된다는 의미다. 딥시크의 이같은 광범위한 이용자 정보 수집은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비교해도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수준이라는...
커지는 딥시크 '개인정보 빨대' 논란…'PC내 설치' 대안 부상 2025-02-09 07:31:03
수집…"中통신사로 전송" 주장도 9일 딥시크가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따르면 딥시크는 AI 모델 학습을 위해 이름·생년월일 같은 가입에 필요한 기본적인 신상정보는 물론 인터넷 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키 입력 패턴까지 수집한다고 밝혔다. 즉 웹페이지나 모바일 앱을 통해 딥시크를...
대체거래소 출범 한 달앞…“2월 중순 참여 증권사 최종확정” 2025-02-07 16:01:09
안전장치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고육지책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증권사의 최선집행기준에 따라 마련된 자동주문전송시스템(SOR)과 관련해서는 “(전체시장 참여 예정인) 증권사 15곳 중 8곳이 넥스트레이드 솔루션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체거래소 도입에 따라 투자자는 거래수수료, 거래속도 등 각...
대체거래소 "애프터마켓 주식거래 중 중요정보 보도시 즉시 매매정지" 2025-02-07 12:17:03
설명했다. 이어 "애프터마켓에서의 안전장치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른 고육지책으로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증권사들은 투자자 주문을 가장 유리하게 체결해야 하는 '최선집행의무'를 지게 된다. 이를 위해 넥스트레이드의 자동주문전송시스템인 SOR(Smart Order Routing) 등을 활용해 거래소와 넥스트레이드 중...
공중 충돌 참사 美헬기, 사고 당시 자동위치추적 기능 해제 2025-02-07 11:49:26
위치, 속도 등 정보를 지상 및 다른 항공기에 전송해주는 첨단 기술이다. 크루즈 의원은 충돌을 일으킨 헬기가 당시 레이더에 포착되기는 했겠지만 ADS-B가 훨씬 정확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달 29일 미국 수도인 워싱턴DC의 로널드 레이건 공항에서 아메리칸 항공 여객기와 미 육군 헬기 '블랙호크'가 공중...
삼성의 ‘반도체 트릴레마’… 사상 초유 위기, 해법은?[퇴색하는 K반도체 신화①] 2025-02-03 07:24:53
큰 충격은 갤럭시S25의 D램 공급사였다. MX사업부가 스마트폰의 기억장치(메모리)인 D램의 1차 공급사마저 삼성전자가 아닌 ‘만년 3위’ 마이크론을 택하면서 메모리 경쟁력에도 의문이 따라붙고 있다. MX사업부는 마이크론의 LPDDR5를 공급받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LPDDR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주로 모바...
삼성, 데이터센터 속도 높이는 CPO 공략 나선다 2025-01-30 18:12:46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전송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광모듈 패키징’(CPO) 기술이 떠오르고 있다. 데이터센터 발열과 속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PO 도입을 서두르는 엔비디아, 브로드컴, 마벨 등 AI가속기 업체를 잡기 위해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소부장(소재·부품·장비) 등 반도체 회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