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김은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엔진결함 가능성도 조사해야" 2025-02-07 16:54:09
원인으로 '버드스트라이크(조류 충돌)'가 지목된 가운데, 엔진 결함으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의 피해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 간사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경기 분당을)이 6일 국토교통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항철위 "제주항공 사고 조사 1년∼1년반 내 마칠 것"(종합) 2025-02-06 18:11:50
차례 폭발 사고와 결함이 적발됐다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조류 충돌로 인한 사고 가능성이 무게가 실리지만 엔진 자체 결함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은 "사고기인 보잉737-800에 장착된 엔진은 과거 여러 차례 결함 사고를 일으켰던 것과 동일한 CFM56-7B26 엔진"이라면서 2018년 4...
모든 공항에 조류탐지 카메라·레이더…새떼 꼬이는 시설 옮긴다 2025-02-06 10:13:44
중 조류충돌 예방 인력 채용…시설 개선에 3년간 2천470억원 투입 항공사 실태점검서 행정처분 사례 4건 지적…"안전 근본 개선에 최선" (세종=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정부가 국내 모든 공항에 조류 탐지용 열화상 카메라와 레이더를 도입하고, 공항 주변에 새가 모여들도록 하는 과수원 등 시설을 안전한 거리로 옮기는...
[팩트체크] 연이은 사고…여객기 타도 정말 안전할까? 2025-02-03 07:20:00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해 안전도를 평가한 것으로 조류 충돌이나 난기류 고장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사고는 제외했다. 가장 안전한 LCC는 홍콩 익스프레스가 1위였고 젯스타, 라이언에어, 이지젯, 프런티어항공, 에어아시아, 위즈에어, 비엣젯항공, 사우스웨스트항공이 뒤를 이었다. 국내 LCC는 순위에 없었다. ◇ 여객기 ...
제주항공 참사 한 달, 본격 시작된 '분석의 시간'…남은 쟁점은 2025-01-29 06:00:01
둔덕과의 충돌이 항공기 폭발에 미친 영향 등을 면밀히 살핀다는 방침이다. 또 무안공항의 조류 충돌 예방 대책 등이 적절했는지도 따져볼 계획이다. 사고기는 겨울 철새인 '가창오리'와 충돌한 것으로 조사됐는데, 이는 겨울철 무안을 비롯한 국내 갯벌과 습지 등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철새다. 무안공항은...
"활주로 2㎞ 앞서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종합) 2025-01-27 09:10:20
접근 중 오전 8시 57분 50초에 관제탑으로부터 조류 활동(충돌)을 주의하라는 내용을 전달받았다. 그로부터 꼭 1분 뒤 블랙박스 기록이 동시에 중단됐다. 사고기는 그 직후인 오전 8시 58분 56초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3회 외치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01활주로 왼쪽 상공으로...
"사고 항공기,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 2025-01-27 08:31:40
블랙박스 기록 정지 시점으로부터 6초 뒤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보내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활주로 왼쪽 상공으로 비행하다, 오른쪽으로 선회한 뒤 당초 내리려던 활주로 반대 방향인 19활주로에 랜딩기어가 내려오지 않은 상태로 동체 착륙했다. 조류 충돌이 블랙박스 등 항공기...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첫 정식 조사보고서 2025-01-27 07:46:56
깃털과 혈흔이 발견됐다. 항철위는 정확한 조류 충돌 시점이나 충돌한 조류 개체 수, 다른 조류가 포함됐는지 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항철위에 따르면 사고기 조종사는 블랙박스 기록 정지 시점으로부터 6초 뒤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보내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
"활주로 2㎞ 앞두고 블랙박스 정지"…제주항공 사고 예비보고서 2025-01-27 07:17:51
깃털과 혈흔이 발견됐다. 항철위는 정확한 조류 충돌 시점이나 충돌한 조류 개체 수, 다른 조류가 포함됐는지 등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항철위에 따르면 사고기 조종사는 블랙박스 기록 정지 시점으로부터 6초 뒤에 조류 충돌로 인한 메이데이(비상 선언)를 보내는 동시에 고도를 높이는 복행을 했다. 이후 ...
제주항공 사고기 양쪽 엔진서 '가창오리 흔적' 발견 2025-01-26 16:40:14
로컬라이저(방위각 시설)와 충돌하기 4분7초 전부터 블랙박스 기록이 중단됐다고 설명했다. 관제교신 기록 등을 바탕으로 사고가 일어난 12월 29일 오전 8시54분43초 항공기가 무안관제탑으로부터 착륙 허가를 받은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8시57분50초 관제탑이 항공기에 조류 활동 주의 경고를 발신했고, 조종사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