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1446년 훈민정음 반포를 기준 삼은 '한글날' 2024-10-14 10:00:36
예찬론자였다는 사실은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조선어연구회의 ‘가갸날’이 시초‘데-’는 데이(day), ‘씨슨’은 시즌(season)을 적은 것이다. 외래어표기법도 없던 시절이었다. ‘축일’이나 ‘제일’ 같은 한자어보다, ‘데이’나 ‘시즌’ 등 외래어보다 한글이 읽기 좋고 알기 쉽다고 말한다. 사례만 다를 뿐 무겁...
오백일흔여덟돌 '한글날' 경축식, 9일 세종문화회관에서 2024-10-08 12:33:13
말했다. 우리 고유의 말인 한글은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이 1443년 창제했다. 세종은 3년 뒤인 1446년 한글을 반포해 시민들 사이에서 널리 쓰이도록 했다. 한글날은 1926년 조선어연구회가 지정하고 기념식을 연 '가갸날'이 시초로, 1928년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됐다. 1946년 한글날이 법정공휴일이 되어...
"한글 발전에 큰 족적"…세종시, 한글학회와 주시경 선생 기념행사 2024-09-18 17:57:58
세종국어문화원이 선별한 19대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근현대 한글 운동의 역사를 조명한다. 주시경 선생은 1876년생으로 황해도 봉산군 출신이며, ‘한글’이라는 명칭을 처음 만든 인물이다. 그의 저술·학술 업적을 이어받은 조선어연구회(현 한글학회)는 1926년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반포일을 가갸날(한글날)로 제정해 오늘에...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유네스코 등재 준비하는 '큰사전 원고' 2024-09-09 10:00:09
, 일부 재구성) 조선어학회 사건 때 분실했다 되찾아당시 잃어버렸던 ‘조선말큰사전 원고’를 서울역 창고에서 되찾은 것은 아득했던 사전 편찬 작업을 다시 일으켜 세운 ‘대사건’이었다. 1929년에 시작해 조선어학회 사건이 터진 1942년까지 모으고 다듬은 원고 뭉치였다. 13년간 기울여온 노력이 물거품이 될지도 모를...
김치를 파오차이로, 한국어를 조선어로…아이폰 번역 '논란' 2024-08-28 16:15:53
절임이다. 또한 'Korean'를 일본어로 번역하면 '朝鮮語'(조선어)로 나온다. 올바른 표현은 '韓?語'(한국어)다. 서 교수는 "전 세계 이용자가 많은 아이폰 내장 번역 앱에서 이런 오류들이 발생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류가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한국 문화 콘텐츠에 ...
北 교육상 방러…"러 교육기관 내 북한학생 정원 확대 논의" 2024-04-05 18:31:49
내 조선어 강의와 북한 내 러시아어 강의 수준을 높이는 문제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주북 러시아대사관은 설명했다. 또 북러 어학연수생 및 교원 교류, 학습 참고서 공동사업 등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대사관은 덧붙였다. 북한 대표단은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의 교육기관들을 먼저 방문한 뒤 모스크바에서 일정을...
[표] 日중학교 교과서 한국사·독도 기술 내용 변화 2024-03-22 14:37:29
신문 발행도 제│ 가르쳤고, 조선어 수업시간│ │││한했다. 그 때문에 먼저 식 │이 줄어드는 등 조선 사람들│ │││민지가 됐던 대만과 마찬가 │을 일본에 동화시키는 정책 │ │││지로 조선인들에게는 선거권│이 추진됐다. │ │││이 인정되지 않았고, 권리와│ │ │││ 자유도 제한됐다. 학교에서│ │...
대학생과 전통시장의 만남…‘전통시장 리플레이톤’ 성료 2024-02-29 13:58:13
상도-덕팀(중앙대학교+상도전통시장), 조선어사단팀(호서대학교+온양온천시장)이 수상했다. 공모전은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주관, 카카오임팩트 협력, 엠케이유니버스의 운영으로 지난 1월 22일부터 2월 18일까지 공모전 참여 대학 팀의 프로젝트가 전국 16개 전통시장˙상점가에서 16개의 ...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더 라이프이스트-성문 밖 첫 동네, 충정로 이야기] 2023-12-27 14:23:46
삼촌 현영운과도 살림을 차린다. 배정자의 조선어 교사였던 현영운이 농공상부 협판이 된 것은 다 그녀의 공이다. 끊임없이 남자를 바꾼다. 현영운의 후배 친일파 박영철과도 성대한 결혼식을 올린다. 서대문 정거장(서대문역) 옆에 있었던 스테이션 호텔에서다. 일본인 오하시 등도 농락했다. 한때는 중국의 마적단 두목과...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000 씨'는 높임말일까 낮춤말일까 2023-11-27 10:00:06
때 조선어사전편찬회를 구성한 뒤 순차적으로 1957년에 완간했다. 당시에는 ‘씨’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밑에 붙여 존대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풀이했다. 요즘 일각에서 오해하는 ‘씨’에 대한 생각 그대로다. 1961년에 나와 1981년 32쇄를 찍으며 국어사전의 대명사 격으로 널리 알려진 이희승의 (민중서림)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