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한글 발전에 큰 족적"…세종시, 한글학회와 주시경 선생 기념행사 2024-09-18 17:57:58
한글학회 관련 사진전이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글날을 기념해 한글학회와 세종국어문화원이 선별한 19대 주요 사건을 중심으로 근현대 한글 운동의 역사를 조명한다. 주시경 선생은 1876년생으로 황해도 봉산군 출신이며, ‘한글’이라는 명칭을 처음 만든 인물이다. 그의 저술·학술 업적을 이어받은 조선어연구회(현...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유네스코 등재 준비하는 '큰사전 원고' 2024-09-09 10:00:09
‘조선어학회 사건’이 터진 것이다. 학자·후원자 등 30여 명이 체포, 구금되고 사전 원고는 압수됐다. 당시 원고는 16만여 어휘를 풀이까지 마친 상태로 거의 완성 단계였다. 하지만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인해 한글학자 이윤재·한징 선생이 고문으로 옥사하는 등 사전 편찬을 주도하던 학자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편찬...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000 씨'는 높임말일까 낮춤말일까 2023-11-27 10:00:06
학회에서 펴낸 이다. 1929년 엄혹한 일제강점기 때 조선어사전편찬회를 구성한 뒤 순차적으로 1957년에 완간했다. 당시에는 ‘씨’를 ‘사람의 성이나 이름 밑에 붙여 존대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풀이했다. 요즘 일각에서 오해하는 ‘씨’에 대한 생각 그대로다. 1961년에 나와 1981년 32쇄를 찍으며 국어사전의 대명사...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우리말 좀먹는 군더더기 '~바 있다' 2023-10-23 10:00:13
일제의 억압에 신음하던 우리 민족은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를 중심으로 ‘가갸날’(한글날의 초기 명칭)을 제정했다. 우리말을 지켜내고 민족정신을 기르기 위해서였다. “우리 조선 문자는 세종대왕 훈민정음 서(序)에도 있는 바와 같이 ‘使人人易習 便於日用耳·사인인이습 편어일용이: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접속어 줄이면 문장에 힘이 생기죠 2023-10-09 10:00:02
아래 신음하던 시절이었다. 조선어연구회(한글학회의 전신)에서 민족정기를 되살리고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을 기념일로 삼았다. 그때가 1926년 11월 4일(음력 9월 29일), 훈민정음이 반포된 지 꼭 480년 되던 해였다. 한글날이 지금처럼 10월 9일로 된 것은 1940년 경북 안동에서 이...
[데스크 칼럼] 표준의 역습, 국가주의는 위험하다 2023-07-04 17:58:28
일제강점기 조선어학회가 쌓아 올린 금자탑이다. 언어생활 통제하는 표준언어는 태생이 혼돈의 복잡계다. 여러 층위가 있고 경계도 모호하다. 그래서 쪼개기 좋아하고 호기심 많은 연구자가 규칙을 만든다. 사전은 그 결과물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표준’이 붙은 이유가 무엇일까. 1991년 국립국어원이 출범했다. 가장...
[이근미 작가의 BOOK STORY] 이비인후과 전문의 눈으로 본 훈민정음 제자해 2023-04-24 10:00:11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최현배 선생은 조선어학회 창립과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에 참여해 일제강점기 때 3년간 복역했다. 광복 후 교과서 행정의 기틀을 잡고 등의 저서를 집필했다. 저자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회장을 맡은 2015년 을 접했다. 은 한글, 즉 훈민정음이라는 문자 체계의 사용 방법을 알리기 위해...
[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벤투 감독과 사도 바울에겐 공통점이 있다 2022-12-12 10:01:04
우리 외래어 표기의 기본 정신이다. 이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의 전신)에서 1933년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제정 공표한 이래 줄곧 적용해온 규범이다. 당시 통일안에서는 제6장 ‘외래어 표기’에서 외래어를 적을 때 표음주의를 취한다고 명시했다. 표음주의란 단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는 뜻이니, 결국 현지 발음을 그...
[게시판] 네이버·국립국어원·한글학회, 국어사전 자료 구축 사업 2022-07-22 10:58:19
[게시판] 네이버·국립국어원·한글학회, 국어사전 자료 구축 사업 ▲ 네이버는 국립국어원, 한글학회와 근·현대 국어사전 자료 구축 사업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네이버는 '큰사전'과 '수정증보 조선어사전'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고 검색 가능한 자료로 구축할 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끝)...
여주세종문화재단, '한글의 세계적 위상과 가치 조명' 학술도서 3종 발간 2022-04-01 14:32:29
세종대왕과 조선어학회 활동 이야기를 다뤘다.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현희 교수 등 여러 전문가가 참여해 훈민정음 창제에 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담아내 의미를 더했다. 이어 2권 '한글, 문해력, 민주주의 (2020)'는 언어적 사사회화 과정을 중심으로 문해력과 민주주의의 상관성을 살피며 한글의 나아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