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대구·경북은 이미 '초토화'…지방 미분양 쇼크 2025-02-05 17:36:01
당장 지난해에만 12곳의 종합건설업체를 포함한 29곳이 법정관리에 들어갔습니다. 5년만에 가장 많은 규모고요. 시공능력평가 100위권 내외의 업체들도 포함돼 있습니다. 올해 들어서도 벌써 58곳의 종합건설업체가 폐업을 신고하면서, 한 달간 하루 평균 두 곳씩 문을 닫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악성 미분양이...
건설사 하루 2곳씩 폐업…또 '4월 위기설' 2025-02-03 17:37:01
업체들도 어렵긴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신고는 총 641건으로, 조사가 시작된 2005년(629건)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부도업체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지난해 총 12곳의 종합건설업체를 포함한 29곳이 법정관리에 들어갔습니다. 역시 5년만에 가장 많은 규모고요. 이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경기침체에 '63빌딩 시공사'도 법정관리 신청…업계 위기감 고조 2025-01-06 17:42:50
2019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건설업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으나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에는 업계도 당혹스러운 모습이다. 지난해 부도를 낸 업체들이 대부분 지방 건설사인 것과 달리 신동아건설은 시공능력평가 50위권의 종합 건설사라는 점에서다. 신동아건설의 자금난 소문이 지난해 말부터 업계 일각에서...
대형 반도체 설비 공사에…3분기 건설공사 계약액 18% 증가 2024-12-30 06:00:05
1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건설산업종합정보망(KISCON)에서 종합 건설업체와 전문 건설업체가 계약한 1억원 이상 원도급공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건설 공사 계약액은 작년 동기 대비 18.0% 늘어난 53조7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공종별로 토목 계약액은 반도체와 같은 대형 산업...
치솟는 공사비 못 버티고 '부도'…부산 대표 건설사마저 문닫았다 2024-12-20 17:41:51
지난 19일까지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는 30곳에 이른다. 작년 전체 부도 업체(21곳)는 물론 2020년(24곳) 수치를 훌쩍 넘어섰다. 올해 부도 처리된 건설회사 대다수는 지방 업체다. 폐업도 속출하고 있다. 올해 1~10월 폐업한 종합건설사는 394곳, 전문건설사는 1710곳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20.85%, 8.9% 늘었다....
올해 건설사 부도 27곳, 2019년 이후 최다…지방업체가 85% 2024-12-10 09:45:29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부터 건설업 불황이 본격화하면서 부도 업체는 2023년 21곳으로 늘었고, 올해는 30곳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부도 업체를 보면 종합건설사가 11곳, 전문건설사는 16곳이다. 상대적으로 자금력과 경쟁력이 약한 지방 건설사부터 타격을 받고 있다. 올해 부도 건설사...
작년 사상 최대치 찍은 임금체불…올해 1분기에 또 40% 급증 2024-04-18 11:42:07
있다. 임금 체불 급증 배경은 경기 침체다. 특히 건설업계 불황이 심각하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 통계에 집계된 지난달 종합건설업 신규 등록업체는 전월 대비 68.7% 줄었고, 폐업 업체는 25.3% 늘었다. 부동산 PF 시장이 막히면서 도산하는 건설업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난해 건설업 임금체불액은...
건설사 폐업 17년來 최대 2023-11-26 18:34:15
고갈로 건설업계가 연말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지방 미분양 지속, 공사비 급증,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경색, 입주율 부진 등 ‘4중고’가 건설사를 짓누르고 있어서다. 도미노 부도 경고등이 켜졌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하고 있다. 26일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대전의 삼승건설을 포함해...
전문건설업 보호구간 3억5천만→4억3천만원 미만 공사로 확대 2023-11-22 17:59:51
상호 시장 개방을 둘러싼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계 간 갈등은 소강 국면으로 접어들게 된다. 정부는 건설산업 선진화를 목표로 2021년부터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 간 상호 시장 진출을 허용했다. 종합·전문공사에 필요한 건설업 등록 없이 상대 업역에 해당하는 공사의 도급 및 시공 자격을 부여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건설협회 "서울시 원도급사 직접시공 대책은 부실시공 양산" 2023-11-08 17:07:56
건설업은 시공범위가 시설물의 일부로 한정돼 원도급 참여 방법이 없어 하도급 공사를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종합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가 함께 공동 도급할 수 있는 '주계약자 공동도급제도'를 우선 확대 시행하고, 발주자가 주요 공종을 직접 관리할 수 있도록 분리발주를 통해 발주자의 감독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