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부안서 '규모 4.8' 지진…수도권·강원까지 흔들렸다 2024-06-12 18:35:04
이번 지진이 충남 부여에서 부안까지 이어지는 주향이동단층(수평으로 운동하는 단층)인 ‘함열단층’에서 발생했다고 보고 있다. 함열단층은 해당 지역에서 확인된 유일한 단층이다. 이날 첫 지진 후 규모 3.1을 포함해 총 17차례 여진이 일어나면서 규모 4.8보다 더 강한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홍태경 연세대...
올해 내륙 '최강 지진'…경주가 또 흔들렸다 2023-11-30 18:41:48
21.8㎞ 떨어진 곳이다. 기상청은 지진 원인이 주향이동단층의 운동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16년 경주 지진의 원인과 비슷하다. 주향이동단층은 두 땅덩어리가 수평으로 엇갈리며 운동하는 단층을 뜻한다. ○한반도 단층의 95%는 파악 못해영남권은 한국에서 대표적인 지진 위험지역으로 꼽힌다. 내륙에서 관측된 규모 5 이...
[튀르키예 강진] 쩍 갈라진 올리브밭…470㎞ 할퀸 지각 파열 포착(종합) 2023-02-15 12:06:25
지난 6일 시작된 지진은 지각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주향이동 단층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USGS는 설명했다. 단층의 주향이동은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쪽 지각이 엇갈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지각운동을 일컫는다. USGS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7.8 규모의 지진은 길이 190㎞, 폭 25㎞ 정도의 단층 파열을...
튀르키예, 470㎞ 곡선 따라 국토 `찢어졌다` 2023-02-15 05:56:14
수평으로 움직이는 주향이동 단층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USGS는 설명했다. 단층의 주향이동은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쪽 지각이 엇갈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지각운동을 일컫는다. USGS는 이런 분석 내용에 대해 "(균열 지역 일부는) 레이더 이미지를 토대로 (대략적인 위치를) 단순화해 표현됐다"며...
[튀르키예 강진] 470㎞ 곡선 따라 찢겨진 국토…지도로 본 단층 파열 2023-02-15 05:05:01
수평으로 움직이는 주향이동 단층운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USGS는 설명했다. 단층의 주향이동은 경계선을 기준으로 양쪽 지각이 엇갈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지각운동을 일컫는다. USGS는 이런 분석 내용에 대해 "(균열 지역 일부는) 레이더 이미지를 토대로 (대략적인 위치를) 단순화해 표현됐다"며...
[튀르키예 강진] 지표 밑 불과 18㎞…얕은 진원, 피해 키웠다(종합) 2023-02-07 11:53:55
동아나톨리아 단층은 대표적인 '주향이동단층'의 하나로, 수직으로 움직이는 다른 단층과 달리 수평으로 움직인다. 로이터는 "단단한 암석판들이 단층선을 가로질러 서로 밀어 올려지며 응력(물질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이 쌓이고, 마침내 수평 운동으로 미끄러질 때에는 지진을 유발하는...
[튀르키예 강진] 여진도 규모 7.5…왜 이렇게 강력할까 2023-02-07 10:16:35
발생하는데, 마이어스는 이번 지진이 단층이 수평으로 움직이는 주향이동(strike slip)이 원인이 됐다고 봤다. 튀르키예 동남부 지층 아래 아라비아판과 유라시아판이 만나는 무려 100마일(약 160㎞) 길이의 단층선을 따라 "지면이 미끄러졌다"는 것이다. 이는 흔히 말하는 '불의 고리'와 다소 차이가 있다. 불의...
10개월 만에 또…괴산군 4.1 규모 지진 2022-10-30 18:17:57
또는 동남동-서북서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향이동단층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주향이동단층은 수평으로 움직이는 단층을 말한다. 지리적으로 국토 정중앙인 괴산군에서 큰 지진이 발생하면서 충청 지역은 물론 서울, 강원, 경남 등 전국 곳곳에서 흔들림이 감지됐다. 인명피해를 비롯한 큰 피해 신고는...
경남 거창 인근서도 규모 2.3 지진 2021-12-15 23:47:52
‘주향이동단층 운동’이다. 주향이동단층은 상반과 하반이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단층이다. 수직 이동에 비해 같은 지진 규모라도 피해가 작다. 한반도 주변 남해·서해에서 주로 발생한다. 유상진 기상청 지진화산정책과장은 “규모 4.9 지진이 일어나면 여진이 수개월에서 1년까지 발생할 수 있다”며 “이번...
"한반도, 더이상 지진 안전지대 아니다" 2021-12-15 17:45:38
원인은 ‘주향이동단층 운동’이다. 주향이동단층은 상반과 하반이 단층면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단층이다. 수직 이동에 비해 같은 지진 규모라도 피해가 작다. 한반도 주변 남해·서해에서 주로 발생한다. 기상청은 이번 지진이 주향이동단층 운동인 만큼 해일을 야기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유상진 기상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