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中왕이 아일랜드서 "협력 강화"…美·유럽 '균열' 공략 2025-02-18 00:55:29
특파원 = 중국 외교 사령탑인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외사판공실 주임(외교부장 겸임)이 17일(현지시간) 아일랜드를 찾아 협력 강화를 부각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보도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주임은 이날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미할 마틴 아일랜드 총리와 만나 양자 대화를 확대하고, 상호 신뢰 강화와 이견을...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하정우도 우려한 딥시크 '결국' 2025-02-17 20:00:03
"당연하게도 수집한 사용자 정보는 중국 내에 있는 보안 서버에 저장(될 것)"이라고 말했다 개인정보위원회는 17일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잠정 중단됐다고 발표했다. 앱마켓에서 신규 앱을 내려받지 못하도록 제한한 것이다. 이미 앱을 내려받았거나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엔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중단 일시는...
'개인정보 침해 논란' 딥시크…앱 신규 다운로드 잠정 중단 2025-02-17 17:44:55
논란을 빚고 있는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한국 내 신규 서비스를 잠정적으로 중단했다. 최장혁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부위원장은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잠정 중단됐다”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과 보완이 이뤄진 후...
中, '딥시크 중단' 韓에 "경제·기술문제 정치화 않기를 희망" 2025-02-17 16:25:42
중국 정부는 일관되게 중국 기업에 현지 법규를 엄격히 준수하는 기초 위에서 해외 운영을 하라고 요구해왔다는 점"이라며 이같이 답했다. 궈 대변인은 "우리는 또한 관련 국가(한국)가 경제·무역·과학·기술 문제를 안보화·정치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는 이날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의 국내...
딥시크 신규가입 못한다…"국내 서비스 잠정 중단" 2025-02-17 11:13:37
과도한 개인정보 수집 논란이 불거진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의 국내 서비스가 잠정 중단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잠정 중단됐으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 딥시크 앱 잠정...
물가상승 부메랑…PC업체 에이서 "미국 판매가 10% 인상" 2025-02-17 09:59:11
지난주 가격 인상 결정을 내렸지만 2월 이전에 중국을 떠난 제품에는 관세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 인상된 가격이 적용되는 데는 몇 주가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일부 기업은 관세를 핑계로 가격을 10% 이상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에이서는 대만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노트북 제품 대부분은 중국...
[팩트체크] 중국산 '딥시크 포비아' 왜 생겼나? 2025-02-17 07:20:00
중국 정부가 검열한 내용이나 사회적·정치적 주제를 다룬 콘텐츠를 삭제하라는 내용의 틱톡 중국 본사의 규칙을 따를 것을 지시받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호주의 싱크탱크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는 2020년 보고서 '틱톡과 위챗'에서 틱톡의 미국인 사용자 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을 심도 있게 다뤘다....
일머리 좋고 똑똑한 한국인…아디다스도 반했다 2025-02-16 18:01:18
기업이 제품 기획을 강화하고 제조 혁신을 거듭하면 중국 업체의 추격을 물리치고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라톤 세계신기록 쓴 육상화…기술·노하우 갖춘 '韓 ODM 작품' 개발·디자인 인재 영입에 수월…신발 3300종 오차없이 뽑아내부산 사하구 신평동에 있는 창신INC 본사. 매년 6900만...
'역대급 순익' 5대 금융…은행 의존도는 3년만에 감소 2025-02-16 17:40:58
각각 2706억원, 799억원이다. 지난해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주식매매 계약을 맺은 우리금융은 금융당국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지난해 출범한 우리투자증권도 올해부터 본격적인 영업에 나선다. 정부의 가계대출 억제 정책과 기준금리 하락으로 인한 은행의 수익성 악화, 경기 침체에 따른 건전성 악화 추세도 금융지주 실...
'철강왕' 창과 트럼프 방패의 대결…'관세 전쟁'의 끝은 [최종석의 차트 밖은 유럽] 2025-02-16 07:30:02
따르면 생산력 기준으로 글로벌 10위 이내에 중국 철강기업들이 6곳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세계 1위 기업은 중국 국영기업 바오우철강입니다. 2위는 2018년까지 13년간 선두자리를 지켰던 룩셈부르크에 본사를 둔 아르셀로미탈입니다. 아르셀로미탈은 2006년 철강 1, 2위 기업이었던 아르셀로와 미탈이 합병하여 만들어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