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트럼프, 716조원짜리 'AI 굴기'…"미국의 황금기 다시 온다" 2025-01-22 14:51:51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오라클, 일본의 소프트뱅크가 합작사를 설립해 미국 내에서 신규 데이터센터를 짓는다. AI를 고도화해 인공 일반지능(AGI)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사전작업으로 풀이된다.美, AI 인프라에 716조원 투자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농축 우라늄 가격, 역대 최고 [원자재 인사이드] 2025-01-17 08:52:51
강화하고 있지 않습니까? = 맞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작년 9월, 미국 최대 원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 에너지와 데이터센터에 20년간 전력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해 화제가 되기도 했고요, 그로부터 한달 뒤, 아마존도 도미니언 에너지와 함께 소형모듈원전, 즉 SMR을 개발하는 협약을 추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Q....
반도체처럼 美 설계, 韓 제조…"600兆 SMR시장 열린다" 2025-01-15 17:56:19
“빌 게이츠(마이크로소프트·테라파워 창립자)가 두 번이나 찾아왔어요. 왜 소형모듈원전(SMR)을 지어야 하는지 마을 주민을 일일이 설득하자 반감이 확 누그러졌습니다.” ‘글로벌 1호 SMR 작업장’인 미국 와이오밍주 캐머러시(市)의 브라이언 무이어 부시장은 “주민 80%가 SMR 건립에 동의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데이터센터 옆 원전' 급증…치솟는 우라늄값 2025-01-13 18:18:27
원자력발전소를 지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려는 수요가 늘어나면서 원전 연료인 농축 우라늄 가격도 덩달아 상승했다. 원전은 높은 발전 효율을 자랑할 뿐 아니라 탄소 배출도 적어 친환경 에너지 설비로 재조명받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지난해 9월 미국 최대 원전 기업인 콘스텔레이션에너지와 데이터센터에...
"PBM 줄이겠다"…트럼프에 흔들리는 바이오주 [장 안의 화제] 2024-12-17 16:17:22
겁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손정희 회장을 만나서 소프트뱅크 회장이죠. 1000억 달러 대미 투자 계획을 지금 발표를 했습니다. 143조 원 규모입니다. 그렇다면 궁금한 건 이건 이제 시작에 불과한 것이냐. 내년부터 계속해서 대미 투자를 여러 기업들이 늘려갈 것이냐. 이렇게 되면 강달러가 계속될 수밖에 없으니까요. 어...
'장난감' 아닌 '무기'...재조명되는 드론 2024-11-16 19:08:28
드론의 비행을 방해하는 소프트 킬(Soft Kill) 방식과 직접 드론을 공격해서 격추시키는 하드 킬(Hard Kill) 방식의 미사일, 대공포, 충돌형 드론, 지향성 에너지 무기 등이 있다. 대중에게 다소 생소한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고출력 마이크로파나 레이저 등 고출력 에너지를 목표물에 집중시켜 전자 회로나 드론의 몸체를...
한국 산업계에 닥친 위기의 원인, 리더십의 실종 [EDITOR's LETTER] 2024-10-28 08:59:34
달 후인 10월 1일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의 소프트파워 지수가 세계 1위를 기록했다”는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2021년 기준으로 상업성, 문화, 디지털, 교육, 세계 영향력, 제도 등 6개 주요 항목을 분석한 결과였습니다. 이어진 노벨상 시즌에도 한국은 뜨거웠습니다. 노벨문학상을 한강 작가가 수상한 것...
원전, 언제 몇개 지어야 전력수급 문제 없을지…'Mr 수학'은 다 안다 2024-10-20 17:56:06
과정에는 막대한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최근 앞다퉈 소형모듈원전(SMR) 기술 보유 기업에 투자하는 배경이다. SMR은 송·배전 인프라 없이 기업이 보유한 공장 근처에 지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지난 6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시행되면서 SMR 등을...
AI를 활용한 업무 혁명...‘2024 넥스트 아이디어 포럼’ 개최 2024-10-15 09:12:29
이후 마이크로소프트 워드로 PR 담당자가 기사 구조를 설계하고 초안을 작성한다. 사람이 직접 검토하고 수정해 팀 내에서 피드백을 거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반면 생성형 AI를 활용해 PR 기사를 작성하면 요청 수신 이후 MS 365코파일럿, 챗GPT로 요청서의 내용을 검토하고 핵심 메시지와 목표를 빠르게 정한다....
[윤성민 칼럼] 어떻게 키운 경제인데, 폭망을 운운하는가 2024-09-19 17:42:34
관련지어 분석한 글에서 그는 한국의 경제·문화 발전을 얘기할 때 도외시된 김영삼 전 대통령을 소환했다. 1994년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영화 ‘쥐라기 공원’ 수익이 자동차 150만 대를 수출한 것과 맞먹는다는 내용의 첨단영상산업 진흥 방안을 보고한 것을 오늘날 문화 강국 한국의 시발점으로 지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