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기고] 쌀, 다시 소비자의 눈높이로 2025-02-13 18:09:41
쌀직불제 도입 이후에도 정부는 열두 번에 걸쳐 과잉 물량 해소 목적으로 시장에서 쌀을 매입했다. 심지어 쌀 소득 보전직불제가 폐지된 2020년 이후로도 정부는 최근까지 4년 연속 과잉 물량을 매입하고 있다. 정부 수매로만 이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다. 쌀 시장도 결국 소비자 입맛을...
"공익직불금 신청하세요"…올해 면적직불금 단가 5% 인상 2025-01-23 17:36:52
기본형 공익직불금을 신청받는다. 기본형 공익직불제는 농업·농촌의 공익기능 증진과 농업인의 소득안정을 위해 일정 자격을 갖추고 준수사항을 이행하는 농업인에게 직불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올해는 2020년 공익직불 시행 이후 최초로 기본형 면적직불금 지급단가를 5% 인상했다. 면적직불금 지급단가는 ㏊당 100~20...
농경연 "올해 벼 재배면적 8만㏊ 감축시 농업생산액 60조원" 2025-01-16 10:00:00
벼 재배면적 조정제와 전략작물 직불제 확대 영향으로 2%(1만6천㏊)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상반기 감자 가격은 공급량 증가로 작년보다 하락하고, 콩도 생산량 증가에 따라 8∼10월(단경기) 가격이 작년 동기보다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배추와 무, 당근, 양배추 등 엽근채소 재배면적은 6만86㏊로 작년보다 3.0%...
기후위기, 농촌 사막화, 통상파고 거세지만 K푸드 희망 있다! 2025-01-06 17:00:25
경영안정을 위해 직불제, 재해지원, 수급안정 등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의 농가소득·경영 안정정책의 가장 큰 골자는 농업수입안정보험인데, 이에 대한 쟁점사항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앞으로 선진국처럼 다층적·복합적 농가소득·경영 안전망 구축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농업계의 움직임도 활발해질 전망이다....
[신년사] 농식품장관 "먹거리 안정에 전력…식량안보 강화" 2025-01-01 00:00:02
"직불제는 5조원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수입안정보험, 재해 피해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산지 쌀값 하락 문제에 대해서는 "'적정 생산, 고품질 쌀 생산, 소비 확대' 방향으로 쌀 산업 구조를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전략작물직불 신규 품목을 발굴하고 지급단가를 인상해 식량자급률을 높이는...
[새해 달라지는 것] 농촌체류형 쉼터 도입·벼 재배면적 감축 2024-12-31 10:00:08
= 전략작물직불제 대상 품목에 깨가 추가된다. 동계 밀의 직불금 단가는 ㏊당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오르고, 하계 조사료 단가는 ㏊당 430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인상된다. ▲ 양식업 면허 심사·평가제 시행 = 양식업 면허 유효기간 만료 전 심사·평가를 실시한다. 평가항목은 어장 환경과 관리 실태다. ▲ 감척어선을...
내년 친환경 수산물 양식 어가에 직불금 410억원 지원 2024-12-30 11:00:00
직불제로 나뉜다. 내년에 배합사료 직불제는 지원 대상 어종을 4개 어종(넙치, 돔, 볼락, 가자미)에서 숭어, 능성어를 포함한 15종 이상으로 확대한다. 인증 직불제는 양식장 면적이 아니라 수산물 판매실적에 따라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양식어가는 다음 달 6일부터 관할 시·군·구를 통해 직불금을 신청하면 된다....
울산시, 월 최대 30만원 조부모 돌봄 수당 신설…난임부부 지원 확대 2024-12-20 08:19:49
경보 정확도를 높인다. 임업·산림 공익직불제 대상 임가에 연 최대 60만원을 지원하는 임업인 수당을 신설한다. 폐기물처리업 7개 업종을 대상으로는 적합성 확인 제도를 도입해 폐기물 처리 능력과 자격이 관련법 기준에 부합하는지 점검한다. 복지·건강·안전 분야에서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기준을 부부당 25회에서...
생산량 줄여 쌀값 반등 꾀하는 정부…내년 재배면적 8만㏊ 감축 2024-12-12 17:16:38
위한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은 올해 1865억 원에서 내년 2440억 원으로 확대했다. 하계 조사료와 밀은 내년 지급단가를 각각 ㏊당 70만 원, 50만 원씩 인상한다. 이 같은 조정에 따라 내년 벼 재배면적은 8만㏊를 감축한다. 올해 재배면적인 69만8000㏊의 11% 수준이다. 재배 면적 감축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쌀 과잉생산 막는다…내년 여의도 276배 규모 벼 재배지 '감축' 2024-12-12 14:00:04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을 올해 1천865억원에서 내년 2천440억원으로 확대했다. 하계 조사료와 밀은 내년 지급단가를 각각 ㏊당 70만원, 50만원씩 인상한다. 농식품부는 이런 방식으로 내년 벼 재배면적을 8만㏊ 줄이기로 했다. 목표한 감축 면적은 올해 벼 재배면적(69만8천㏊)의 11%에 해당하고, 여의도(290㏊)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