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식약처, 집단급식소 납품 농산물 수거·검사 2025-02-11 09:21:29
식약처, 집단급식소 납품 농산물 수거·검사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개학을 앞두고 학교 등 집단급식소에 납품되는 농산물의 선제적인 안전관리를 위해 오는 17일부터 21일까지 17개 지방자치단체와 잔류농약, 중금속 등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검사는 쌀, 감자 등...
울산시,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ㆍ소아응급 24시간 진료 추진 2025-01-23 07:58:23
집단급식소 선정·지원, 울산대공원 일원 '별천지 맛집거리' 조성, 식중독 발생 취약 시설 컨설팅 등을 추진한다. 최민호 울산시 시민건강국장은 "건강에 대한 시민 관심 증가와 초고령화에 대비해 지역·필수 의료 제공과 미래 의료비 부담을 절감하는 예방적 건강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면서 "구체적 성과 창출을...
수출 취소 식품, 국내 활용 용이해진다…한글 스티커 부착 허용 2025-01-05 06:01:02
조리를 목적으로 공급하거나 집단급식소 식단에 포함될 목적으로 공급하는 경우 한글 표시사항 스티커 부착이 허용된다. 수출 취소돼 국내 기부용이나 행사용 등으로 무상 제공하는 경우에도 제품으로서 관할 허가 관청에서 승인한 경우 한글 표시사항 스티커를 부착할 수 있다. 현재 수출 식품은 수출 계약 변경이나 파기...
'나간다던 고객이 자리에'…고객변심으로 일회용품 사용 땐 면책 2024-12-06 06:01:01
잦다"고 말했다. 현재 식품접객업과 집단급식소에서는 플라스틱 컵·빨대·젓는 막대, 접시, 수저·포크·나이프 등의 일회용품을 사용할 수 없다. 자원재활용법상 일회용품 규제를 어기고 매장을 이용하는 손님에게 일회용품을 제공한 사업주에게는 최대 300만원(식품접객업 일회용 플라스틱 컵은 200만원)의 과태료가...
카페·식당 일회용품 사용, '고객 변심'이면 과태료 면제 2024-12-02 17:23:14
지침을 개정해 카페·식당 등 식품접객업소나 집단급식소에서 '매장 외 사용을 조건으로 제공한 일회용품을 고객 변심으로 매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규정을 신설한다. 현재 식품접객업과 집단급식소에서 플라스틱 컵, 빨대, 젓는 막대 등 일회용품 사용은 금지돼 있다. 이를 어길...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절반 겨울철에 발생…"예방수칙 지켜야" 2024-11-22 10:29:30
많이 발생한 장소는 학교, 어린이집 등 집단급식소였으며 음식점, 가정 순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지하수를 섭취하거나 환자의 분변과 구토물, 침,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 노로바이러스가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식품으로 인한 노로바이러스 감염의 주요 원인은 생굴 등 익히지 않...
식약처, '식품위생법 위반' 집단급식소 등 20곳 적발 2024-10-25 09:39:34
식약처, '식품위생법 위반' 집단급식소 등 20곳 적발 (서울=연합뉴스) 유한주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학교·유치원 내 집단급식소 등 약 6천 곳과 학교 주변 분식점 등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내 어린이 기호식품 조리·판매 업소 약 3만 곳을 점검해 식품위생법을 위반한 20개 업소를 적발했다고 25일...
"가을철 퍼프린젠스 식중독 주의…대량 조리 음식은 즉시 섭취" 2024-10-11 11:10:08
가장 많이 발생했다. 식약처는 음식점이나 집단급식소 등에서 퍼프린젠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육류 등을 대량으로 조리할 때는 중심 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한 후 즉시 제공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가을철 야외활동 시 자주 섭취하는 김밥이나 샌드위치 등은 햇볕이 드는 차량 내부, 트렁크 등에 보관하면...
농관원, 양곡표시 특별단속…"부정유통 행위 점검" 2024-09-30 11:00:05
대상은 양곡가공업체와 단체급식 납품업체, 집단급식소, 양곡 판매업체, 최근 5년 이내 양곡 표시 위반으로 적발된 업체 등이다. 사이버단속반 350명은 인터넷 쇼핑몰 입점 업체 등의 양곡 표시 위반 여부를 조사한다. 쌀의 생산 연도, 원산지, 도정 일자 등을 거짓으로 표시한 업체는 양곡관리법에 따라 형사처벌을 받고,...
코로나 때 급감했던 식중독 환자, 작년엔 3년 전 3배 2024-08-22 10:15:51
시설별로는 지난해 음식점이 200건, 학교를 제외한 집단 급식소가 47건, 학교 21건 순으로 식중독이 많이 발생했다. 원인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가 62건으로 가장 많았고 살모넬라 48건, 병원성 대장균 46건 등이었다. 지역별 환자 수는 경기도가 1천841명, 서울 1천535명, 광주 901명, 부산 822명 순서로 많았으며, 인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