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4분30초 '해를 품은 달'…지구에 8조 경제효과 2024-04-09 18:58:19
수 없던 홍염(태양표면 소용돌이), 채층(태양 대기층), 코로나도 관측할 수 있다. 이번 개기일식은 2017년 나타났을 때보다 더 넓은 곳에서, 더 오래 관측됐다. 이번에 관측된 경로의 너비는 108~122마일(약 174~196㎞)에 달한다. 2017년 62~71마일(약 100~114㎞)의 두 배 수준이다. 미국은 개기일식 관측 지역에 거주하는...
인도 태양관측 위성, 궤도 안착하면 하루 1천440장 사진 전송 2023-09-02 18:08:51
상층부 대기인 코로나와 태양 광구면(光球面) 주위 백열 가스층인 채층(彩層), 광구(光球), 태양풍 등을 연구하게 된다고 인도우주연구기구(ISRO)가 밝혔다. 탑재 기기별 임무를 살펴보면 '아디티아 태양풍 분자 실험'(ASPEX)은 분광계를 갖고 있어 태양풍 입자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고에너지 L1 궤도 엑스...
인도 달남극 세계 첫 '터치다운'…글로벌 우주 경쟁 불 댕겼다 2023-08-24 10:00:35
채층과 가장 바깥층을 관측하는 계획이다. ISRO는 또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함께 지구 궤도를 돌며 육지와 얼음 표면 등 기후변화 영향을 관찰하는 합성 개구 레이더가 탑재된 인공위성 '니사르'(NISAR)를 공동 개발·발사할 예정이다. 인도는 두 번째 화성 탐사선도 발사한다는 목표다. 인도는 지난 2014년...
지구에도 피해주는 태양면 폭발 예측 단서 코로나서 찾았다 2023-01-18 10:35:06
위해 태양 표면인 광구(光球)와 주변 가스층인 채층의 활동을 주로 관측해 왔다. 하지만 연구팀은 채층 위에 있는 바깥 대기인 코로나에서 실마리를 찾아냈다. 제1논문의 저자인 NWRA 책임연구원 K.D. 레카 박사는 "태양 표면인 광구에서 얻는 것보다 코로나에서 확연히 차이가 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면서 "이번...
지구 위협하는 태양 고에너지 입자 발원지 처음으로 찾아 2021-03-04 11:15:34
규소(Si) 성분이 태양 대기에서 가장 아래에 있는 채층의 상부에 억제돼있는 플라스마와 같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곳은 코로나 루프(고리)의 "족점"(foot point), 즉 태양의 자기장과 플라스마가 대기 외곽까지 뻗어나갔다가 되돌아가며 형성한 고리의 밑부분이 닿는 지점이다. 연구팀이 첨단 기술로 이곳의 코로나 자기장...
전파망원경 앞에 숨겨진 몸집 드러난 적색 초거성 '안타레스' 2020-06-17 11:00:58
반경만 놓고 볼 때 태양의 700배에 달한다. 그 바로 위로 채층(chromosphere)과 항성풍 가속지역 등의 대기가 펼쳐지는데, 고감도 고해상도 전파망원경을 동원한 이번 관측을 통해 적색 초거성의 가장 상세한 대기 지도가 만들어진 것이다. 연구팀은 ALMA를 이용해 단파장으로 광구와 채층을 관측하고, 바깥 대기는 VLA를...
태양 미스터리 '코로나 고온' 원인은 '스피큘'로 밝혀져 2019-11-18 14:43:02
스피큘을 관측했다. 스피큘은 태양 광구 바로 위의 가스층인 채층(彩層·chromosphere)에서 코로나로 온천처럼 자화 플라스마를 분출해 가스 기둥을 형성한다. 약 200~500㎞ 넓이에 초속 100㎞로 약 5천㎞ 높이의 가스 분출 기둥을 형성하지만, 지구에서 보면 바늘 모양으로 얇게 관측된다. 스피큘은 많을 때는 100만개에...
태양계 밖 '뜨거운 목성' 자기장 목성보다 훨씬 강해 2019-07-23 00:01:01
크기를 산출했다. 이온화된 칼슘은 별의 광구 위에 있는 얇은 가스층인 채층(chromosphere)이 자기적으로 뜨겁게 가열되면서 나오며, 이를 관측해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방출되는지 산출할 수 있다. 그 결과, 뜨거운 목성의 자기장은 20~120 가우스(G)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성 3.3G, 지구는 0.5G에 불과한 ...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망원경 없이도 관측 가능 크기 `핵무기 100만개 위력` 2014-11-05 15:27:22
당시 일어난 플레어(태양의 채층이나 코로나 하층부에서 돌발적으로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의 강도는 핵무기 100만 개를 동시에 폭발시켰을 때의 충격과 맞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신기하다”,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망원경 없어도 볼...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망원경 없이도 관측 가능 … ‘얼마나 크길래’ 2014-11-05 10:40:03
태양 흑점이 발견된 당시 일어난 플레어(태양의 채층이나 코로나 하층부에서 돌발적으로 다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의 강도는 핵무기 100만 개를 동시에 폭발시켰을 때의 충격과 맞먹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초대형 태양 흑점 발견, 신기하다”, “초대형 태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