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월요전망대] 금통위 앞두고 건설 부양책 발표…경제 심리 살아날까 2025-02-16 17:45:09
10월 말(0.48%)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20일 소비자동향 조사, 21일 기업경기 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잇달아 공개한다. 소비자와 기업이 체감하는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통계청은 19일 ‘2024년 3분기 임금근로자 일자리’ 동향을 발표한다. 작년 2분기에는 도소매업·건설업 등 내수 업황...
[그래픽] 체감실업률·'쉬었음' 청년 추이 2025-02-16 14:26:50
[그래픽] 체감실업률·'쉬었음' 청년 추이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여기도 저기도 경력직"…'일할 곳 없다' 청년층 최악 2025-02-16 07:31:12
청년층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이 전년보다 0.8%p 상승해 16.4%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2월 이후 가장 큰 증가 폭이다. 고용보조지표3은 실질적 일자리 수요를 포괄해 보여주는 지표로, 체감실업률로 불린다. 해당 지표는...
청년 고용한파 굳어지나…체감실업률·고용률 4년만에 최대 악화 2025-02-16 06:01:02
지난달 청년층(15∼29세)의 체감실업률과 고용률이 약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청년층의 고용보조지표3(체감실업률)은 1년 전보다 0.8%포인트(p) 오른 16.4%를 기록했다. 지난달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의 전년대비 증가폭은 2021년 2월(26.8%)의...
[다음주 경제] 소비자·기업 체감경기 한파 이어지나 2025-02-15 08:25:17
소비자·기업 체감경기 한파 이어지나 작년 3분기 일자리 지표도 공개…금감원장·은행장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이율 민경락 기자 = 다음 주(2월 17∼21일)에는 최근 소비자와 기업 체감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들이 공개된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주요 은행장들을 만나 현안을 주제로 의견을 나눈다....
[서미숙의 집수다] 지어놔도 안 팔리는 미분양…다음 주 나올 정부 해법은 2025-02-13 06:01:04
중 지방이 76%…글로벌 위기 때보다 적지만 체감 경기는 더 악화 업계 "다주택자가 미분양 매입할 대책 나와야"…정부, 투기 우려에 수위 고민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정부가 최근 지방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건설 경기 침체가 국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파장이 크기 때문이다. 올해 탄핵...
"초코바·콜라로 하루 버텨"…영화 '택시 드라이버'가 현실로? [김익환의 필름노믹스] 2025-02-09 11:39:22
교수는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2.2%에 불과하지만 체감물가는 더 높다"며 "물가 지표에 자가주거비(자기 집에 임대를 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비용) 등이 빠져있고 농산물의 가중치가 너무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태그플레이션도 무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용어풀이)스태그플레이션, 슬로플레이션 고물가(inflatio...
"단통법 폐지해도 통신사 보조금 출혈 경쟁 없을 것" 2025-02-09 05:00:00
급증한 반면, 이동통신 수익성의 핵심 지표인 ARPU(가입자 1인당 월평균 매출액)는 하락해 수익성이 악화했고, 주가 역시 부진했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소비자들이 보조금 규모에 따라 통신사를 옮겨 다니면서 시장점유율에도 유의미한 변동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 결합 상품, 장기가입 혜택 등으로 인해...
"서울시 자치구 중 1위"…강남구, 비만율·흡연율 최저 2025-02-06 09:00:08
구민 91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했다. 추출된 지표를 바탕으로 서울시·전국 평균 대비 양호, 동일, 개선필요로 나눠 분석했다. 가장 우수한 지표는 비만율과 현재흡연율이다. 비율이 낮을수록 건강을 위한 체중 관리가 잘 이뤄지고 있으며 흡연자가 적다는 것을 보여준다. 강남구의 비만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은 24.1%...
커피부터 대학 등록금까지…물가 또 '들썩' 2025-02-05 11:52:59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체감물가를 보여주는 1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5% 상승했다.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가장 큰 상승률이다. 생활물가는 지난해 10월 1.2%까지 상승률이 내려갔으나 이후 11월 1.6%, 12월 2.2%, 1월 2.5%로 석 달 연속 높아졌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