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최소 900조 원 시장’…가족신탁 눈독 들이는 금융사 2025-02-03 06:02:10
가족신탁을 상담하고 설계할 수 있는 전문가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일본의 경우 변호사연합회가 신탁센터를 만들어 가족신탁 관련 모델계약서, 금융기관의 신탁 계좌 가이드라인, 변호사의 가족신탁 업무 처리 가이드라인 등을 제정해 홍보하고 있고, 다양한 전문가로 구성된 사단법인 가족신탁보급협회가 가족신탁 상담...
시니어 케어 플랫폼 ‘오른손케어’, 장기요양 정보 서비스 제공 2024-12-09 10:00:00
확인과 신청은 물론 요양비용 계산, 요양 센터 매칭, 복지용구 상담신청 등 관련된 모든 절차를 앱에서 원스톱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 ‘복지용구 상담신청’은 최근 신설된 서비스로 휠체어, 전동 침대, 지팡이 등 장기요양수급자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신체기능을 보조하고 신체활동 지원에 필요한 복지용구에 대한 상...
사천 신수도에서 경남형 '찾아가는 복지서비스' 제공 2024-11-19 14:15:12
제공했다. 행사에는 경남광역치매센터·사천시보건소·삼천포종합사회복지관·사천시사회복지협의회·사천시 맥가이버봉사단 등 9개 기관 60여 명이 참여해 힘을 보탰다. 이날 주민들은 인공지능 돌봄기기와 스마트 건강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똑띠버스를 체험하고, 마음안심버스에서는 우울증·스트레스 검사와 상...
아리바이오 치매치료제, 한국 임상 대상자 250명으로 확대 2024-11-05 14:51:37
한국내 임상시험센터도 기존의 21곳에서 26개로 5개 센터가 추가된다. 이번 AR1001 한국 임상 확대에 대해 아리바이오 관계자는 "예상보다 환자 모집과 투약이 빠른 상태"라며 "치료제를 기대하는 환자와 가족이 많을 뿐 아니라, 임상 접근성을 쉽게 한 것이 주요 배경"이라고 말했다. 또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은 AR1001을...
손주 학비·결혼자금…특별한 선물이 될 신탁 2024-11-03 17:35:41
것이 가능해졌다. 보험수익자가 치매 또는 장애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울 경우 계약자가 사전에 신탁회사에 보험금 청구권을 맡겨 수익자가 안전하게 수령하게 할 수도 있다. 보험금 청구권 신탁은 생명보험사가 다른 신탁회사에 비해 보험계약 정보와 변경 사항을 실시간 파악할 수 있어 신탁계약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서울시, 내년 예산 48조407억원 편성…역대 최대 규모 2024-10-31 15:20:27
지원기구인 사회서비스지원센터를 설치해 중증 어르신을 2인 1조로 돌보는 등 서비스를 시작한다. 또 고립·은둔 시민을 위한 '외로움 없는 서울'(외·없·서) 정책을 펴고 우울감과 불안 해소를 위해 심리 상담 등 마음건강을 지원한다. 치매 어르신 돌봄에도 281억원을 편성했다. 어르신 재교육 프로그램인...
"우리 집 어디에요?"…'남일 아냐' 치매 실종신고 최다 2024-09-21 12:30:50
경우가 98.7%를 차지했다. 치매 노인 실종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가족들로 구성된 시민단체도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작년 8월 설립된 '이시다타미 인지증 실종자 가족 등 상호지원 모임'은 치매 노인의 행방불명 때 대응 매뉴얼을 만들고 상담 전화도 갖췄다. 이 모임의 설립을 지원한...
'노인대국' 일본 작년 치매환자 실종신고 1만9천명…역대 최다 2024-09-21 11:40:13
3일 이내 발견한 경우가 98.7%를 차지했다. 치매 노인 실종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가족들로 구성된 시민단체도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작년 8월 설립된 '이시다타미 인지증 실종자 가족 등 상호지원 모임'은 치매 노인의 행방불명 때 대응 매뉴얼을 만들고 상담 전화도 갖췄다. 이 모임의...
중증 치매 어르신에 요양관리사 '2인1조 돌봄' 2024-09-09 18:07:35
관련 상담을 제공할 ‘돌봄통합지원센터’도 내년 시범 개설한다. 일단 네 곳을 시작으로 향후 3년 내 시내 25개 자치구별로 한 곳 이상씩 운영하겠다는 구상이다. 돌봄 전문 콜센터 ‘안심돌봄 120’도 다음달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국번 없이 120(다산콜센터)으로 전화해 추가적으로 특정 번호를 누르면 전문 상담원과...
[한경에세이] 거주 공간과 돌봄의 '방정식' 2024-08-15 17:07:34
데이케어센터도 포함돼 있다. 데이케어센터를 준비하다 보니 실버타운, 요양원 같은 ‘시설 내 서비스’와 달리 특별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들이 눈에 들어온다. 부모님의 시설 입소를 상담하는 보호자들을 만나 보면, 집에서 모시고 싶어도 모두 출근하고 없는 낮에 돌봄이 어렵거나 또는 ‘노노(老老) 케어’의 부담 탓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