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요뉴스 한국경제TV에서 선정한 지난 주요뉴스 뉴스썸 한국경제TV 웹사이트에서 접속자들이 많이 본 뉴스 한국경제TV 기사만 onoff
데브시스터즈 '쿠키런: 킹덤', 전통 탈 장인과 협업 영상 공개 2025-01-16 11:41:10
1호 전통 탈 숙련기술 전승자 신정철 장인과 협업해 만들어진 탈춤 퍼포먼스 영상을 공개했다고 16일 밝혔다. 영상은 데브시스터즈 자회사 스튜디오킹덤이 모바일 게임 '쿠키런: 킹덤'내에 새롭게 출시한 캐릭터 '쉐도우밀크 쿠키'를 주제로 만들어졌다. 신 장인은 '쉐도우밀크 쿠키'의 탈을 전통...
[데스크 칼럼] 올해부터 학교에서 볼 수 없는 풍경들 2025-01-12 17:55:50
서귀포시 사계초에선 정진아 예술강사가 탈춤 수업을 이끌었다. 학교 체육관에서 약 40분간 이뤄진 수업에서 학생들은 ‘고개잡이’ ‘다리 들기’ ‘황소걸음’ 등의 춤사위를 익혔다. 올해부터는 이런 풍경을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볼 수 없게 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025년 예산을 편성하면서 ‘학교 예술강사 ...
권기창 안동시장, "1천만 글로벌 관광도시 달성" 2025-01-08 14:52:07
역대 가장 많은 방문객을 기록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비롯한 사계절 축제의 콘텐츠를 혁신해 세계로 도약하는 축제를 만든다. 올해는 210만 명의 방문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불어 구 안동역 복합문화관광타운 조성, 임청각~월영교 테마화 거리조성 사업 등으로 주요 관광지에 체류형 인프라를 조성하고, 안동호 권역...
고추장·간장 등 장 담그는 문화, 세계무형문화유산 됐다 2024-12-04 18:11:47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등재 결정으로 한국은 총 23개의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한국은 그동안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을 시작으로 가장 최근 등재된 ‘한국의 탈춤’(2022년)까지 총 22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대표목록에 올렸다. 2026년엔 ‘한지 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장 담그기 문화' 한국 23번째 세계무형문화유산 됐다 2024-12-04 08:29:28
등재된 '한국의 탈춤'(2022)까지 총 22건의 인류무형유산을 대표목록에 올렸다. 오는 2026년엔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이 등재에 도전할 예정이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장 담그기는) 그동안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음에도 보편적 일상 음식이라는 인식...
한국의 손맛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됐다 2024-12-04 06:20:36
최근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2022)까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총 22건을 보유해 왔다. 위원회의 등재 결정에 따라 한국은 총 23건의 인류무형문화유산을 가진 국가가 됐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장 담그기는 가족 내에서 전승되어온 집안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으며, 한국인의 일상 문화에 뿌리를 이룬...
[르포] 아르헨티나 아이들 "한국 음악, 한국 문화 너무 좋아요" 2024-11-25 07:24:36
1층 로비에서 개최된 사물놀이와 탈춤이었다. 'K-무형유산 페스티벌 공연'의 일환으로 개최된 전통 공연에서 상모를 돌리면서 꽹과리, 북, 징, 장구를 치면서 강렬하게 등장한 공연단을 관객들은 핸드폰 플래시 세례와 큰 환호로 맞이했다. 관람객들은 '얼씨구 좋다'란 추임새를 배워 크게 호응하면서 한국...
한국 '장 담그기' 문화…유네스코 문화유산 된다 2024-11-05 17:41:58
그간의 사례를 봤을 때 등재 권고 판정이 뒤집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최종 심사가 무난히 이뤄지면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된다. 한국은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아리랑(2012년), 김장문화(2013년), 탈춤(2022년) 등 22건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올렸다. 안시욱 기자...
아리랑·김장에 이어…韓 '장 트리오' 인류무형유산 등재 코앞 2024-11-05 15:16:28
시작으로 아리랑(2012), 김장문화(2013), 탈춤(2022) 등 22건을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에 올렸다. 장 담그기 문화는 한식의 기본양념인 장을 만들고 관리하는 모든 과정의 지식과 기술을 아우른다. 한국은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장을 만들어 먹었다고 알려졌으며, 조선시대 왕실에선 장을 보관하는 '장고(醬庫)'를...
한국 고유의 '장 담그기', 인류무형유산 등재 유력 2024-11-05 08:06:12
최종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등재 권고에 따라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는 한국의 23번째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을 첫 시작으로 최근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2022년)까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총 22건을 보유 중이다....